감무

1 甘茂

생몰년도 미상

전국시대 나라 사람.

승상을 지내 당시 서쪽 촌놈변방의 다크호스에 불과했던 진이, 장차 중앙으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했다. 손자 감라는 무려 열 두살 때 승상을 지냈다는 전설같은 이야기가 있다.

원래 장의의 천거를 받아 혜왕을 섬겼는데, 혜왕이 죽고 무왕이 즉위하자 장위는 실각했고 감무와 저리질이 권력을 잡는다. 흔히 말하는 승상이 바로 기원전 309년 무왕 때 처음 만든 관직이며, 저리질이 우승상 감무는 좌승상을 맡았다.[1]

무왕은 중앙 진출을 위해 나라 삼천(三川)[2]까지 길을 닦을 작정이었는데, 도중 나라 의양(宜陽) 땅을 공략해야 하는 걸림돌이 있었다. 저리질은 '한을 공격할 경우 가 원군을 보낸다'고 반대했지만, 감무는 위와 함께 한을 칠 계획을 올린다.
감무는 위를 방문해 설득하는 데 성공했지만, 뜻밖에도 사람을 보내 '공격 중지'를 요청한다. 무왕이 식양(息壌) 땅까치 행차에 감무를 만나 이유를 묻자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준다.

어느날 증삼(曾參)[3]과 이름이 같은 사람이 살인을 저질렀는데, 그 소문을 듣고 오해한 사람이 증삼 어머니에게 '증삼이 살인했다!'고 고했다. 어머니는 태연히 '아들이 그럴 사람이 아니다'며 길쌈을 했다. 뒤이어 한 사람이 와서 같은 말을 해도 꼼짝달싹도 안했... 으나 또 다른 사람이 같은 말을 하자 그만 담을 넘어 튀었다(...). 이처럼 천하의 증자를 아들로 둔 어머니도 헛소리 세번에 흔들렸는데, 의양 공략이 길어지면 왕도 저리질이나 공손연의 참언을 듣고 마음이 바뀔 테고 결국 감무 자신만 이래저래 X된다는 것.

결국 무왕은 참언을 듣지 않겠노라 맹세까지 했고, 비로소 감무는 의양을 공략했으나 다섯달이 넘도록 지지부진했다. 아니나 다를까 무왕은 저리질이나 공손연의 말을 듣고 공격을 중지하라 명했다. 그러자 감무가 '식양 땅이 없어지기라도 했냐!' 발끈하니, 왕은 정신이 번쩍 들어서 '그대로 있소'하고는 총공격을 감행해 마침내 의양을 함락시켰다.

이 일화에서 식양의 맹세(息壤之誓)란 말이 생겼다.

그러나 진왕이 주나라에 길을 닦고 병사[4]한 뒤에는 저리질과의 권력다툼에서 져서 정계에서 물러났다.

  1. 전국시대를 다룬 사서에서 감무 이후에도 승상이라는 용어 말고도 이전에 쓰이던 재상직인 우서장, 좌서장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2. 이수(伊水)낙수(洛水) 하수(河水)의 발원지
  3. 공자 제자 가운데 효행으로 이름높은 증자
  4. 진무왕의 병사라고는 했지만 한편으로는 진무왕이 구정의 무게를 재다가 죽었다는 이야기도 존재한다.

2 監務

고려시대 군현에 파견되었던 지방관. 중앙집권체제 강화를 위해 예종 때 속군현이나 향·소·부곡·장·처 등에 현령보다 한층 낮은 지방관을 처음 파견한 것이 감무의 시초라 보고 있다.

조선 태종대에 현감으로 개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