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복

중국에서 임금이 즉위식, 책봉식, 종묘 제례 등 국가의 1등급 중요 행사시에 착용하던 복장으로, 면류관과 세트로 착용한다.
항상 면류관과 세트로 착용하기 때문에 면류관의 면 자를 따서 면복이라고도 부른다. 한반도에는 고려 인종 때 정식으로 도입되었다고 한다.

korea-Yi%20Ku.jpg
종묘제례에서 대한제국 황제 역할을 하고 있는 생전의 회은황태손 이구.


7장복을 입은 조선 익종 어진. 반쯤 불탔지만 소매에 그려진 화, 화충, 종이 문양을 확인할 수 있다.

원래 면류관과 마찬가지로 고대 중국에서는 황제나 왕의 일상 복장이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일상 생활에 불편함이 커져 면류관이 복두관이나 익선관에 일상용 왕관의 자리를 내준 것처럼 곤복도 곤룡포에 일상복 자리를 내주고 의례용으로 변했다. 군대로 말하자면 장군들이 입는 예복과 마찬가지.

cp0213822511_001_460.jpg
보다시피 한 벌의 옷이 아니고 여러 벌의 옷이 세트로 겹쳐진 구조를 하고 있다. 이 중 방심곡령은 제례 떄에만 착용하던 것이다.

옷에는 왕권을 상징하는 문양이 들어 있는데, 명나라 황제는 12가지 문양이 그려진 12장복을, 조선 국왕(명나라의 경우 황태자와 친왕)은 9가지 문양이 그려진 9장복을, 조선 왕세자(명나라의 경우 세자)는 7가지 문양이 그려진 7장복을 입었다. 12가지 문양은 일(日), 월(月), 성신(星晨, 별자리), 용(龍), 산(山),화(火).화충(華蟲, 꿩).종이(宗彛, 동물이 그려진 옛 술잔), 조(藻, 해초).분미(粉米, 쌀알).보(黼, 왕권을 상징하는 도끼).불(黻, '己'자 두 개를 서로 반대로 하여 왕권을 상징하는 문양)이며, 국왕은 여기서 일, 월, 성신 3개를 빼고, 왕세자는 일, 월, 성신, 용, 산을 뺀다. 대한제국이 성립된 후에는 곤룡포의 경우처럼 황제의 복식인 12장복을 도입하였고 황태자가 9장복으로 승격되었다.

의(衣, 여기서는 상의)는 문양을 그리고 상(裳, 치마라는 의미지만 여기서는 하의)에는 문양을 수놓는데 이는 음양오행설에 따른 것이다. 의는 양 속성이므로 양 속성인 그림을 그리고 상은 음 속성이므로 음 속성인 수를 놓은 것인데 아마도 그림은 주로 남성이 맡았고 수는 주로 여성이 놓기 때문에 그림을 양, 자수를 음으로 본 것으로 보인다.

여담이지만 명나라 정통제토목보의 변으로 몽골에 사로잡혀 갔다 돌아와 복위한 후 황제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그때까지 몸 앞뒤와 어깨의 용 장식 외에는 다른 문양이 없던 곤룡포에도 면복처럼 12가지 문양을 새기게 했다.[1]
  1. 비슷한 경우로 청나라의 곤룡포 또한 본격적으로 중국화를 추진한 강희제 치세부터 황제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무늬가 화려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