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나막신/삼국 나막신.jpg
평극이라 불리는 초기의 나막신. 게다가 아니다![1]
1 개요
나무로 만든 신발. 보통 동아시아 전반에 걸쳐 사용되던 신발을 일컫는다. 중국에서는 극(屐)이라 하였고, 한국에서는 목혜(木鞋) 또는 목리(木履)라고도 불린다. 걸어다닐때는 딸깍 소리가 나기 때문에 딸깍발이라고도 불렀다.[2]
'ㅠ'모양으로 기다란 나무 굽이 앞뒤에 두 개 달려있는데, 주로 비 오는 날이나 바닥에 돌이 많이 있는 등 걸어다니기 힘든 지형에서 신기 위해 발명되었다.
2 역사
width=60%
초창기에는 우리가 흔히 일본나막신으로 알고 있는 게다와 동일한 모양[3] 이었으나, 점차 갖신처럼 발을 넣는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두산백과 참조) 언제부터 형태가 변했는지는 알 수 없다. 삼국시대 유물 중에는 평극이 아닌 발을 넣는 나막신도 발굴되고 있다. 쌍북리의 백제 유적과 경기도 안성의 통일 신라 유적(죽주산성)에서 나무를 파 갖신 모양으로 만든 나막신[4]이 나온 것을 볼 때 상당히 오래 전부터 두 가지 형태의 나막신이 혼용되다가 점차 갖신 형태의 나막신이 대중화 된 것으로 추정된다.
400px | 400px |
문서 상단 사진에 있는 백제와 신라의 나막신은 형태는 유사하지만 구멍 수나 끈을 묶는 방법에서 약간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백제의 것은 구멍 3개로 게다와 동일하나 신라의 것은 구멍이 5개라 크게 두가지 설로 나뉘고 있다. 방법 1은 신라의 이형(짚신모양) 토기의 끈을 보고 그와 유사하게 추측한 모양이며, 방법 2는 백제의 것과 유사하게 신고 벗기 편한 슬리퍼 형태로 추측한 모양이다. 끈은 남아있는 유물이 없어 어떤 형태인지는 알 수 없으며, 둘 다 아닐수도, 둘 다일 가능성도 있다.
묘하게 현대에 들어서 한국 내에서는 이런 초창기 형태의 나막신을 오직 일본에서만 신는 고유의 신발로 보는 경향이 강한데, 잘못된 상식이다. 아무래도 삼국시대 나막신에 대해서는 대중들이 상당히 무지하기 때문에 백제나 신라 나막신을 보여주면 "이건 게다 아니냐"고 묻는다. 종이우산처럼 서브컬처 미디어의 악영향으로 볼 수 있을듯.
3 해외
당연히 초기형에 해당하는 판자형 나막신은 한중일을 가리지 않고 고대에 널리 신었으며, 실제로 현대의 티베트나 중국 등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는 초기의 나막신을 신는 경우가 많다.
달라이라마의 나막신
중국 운남 하니족의 전통 나막신 춤
- ↑ 참고로 상단 왼쪽에 있는 사각형 나막신은 신라 유물로서 97년 경북 경산시 임당동 유적에서 발굴됐으며, 상단 우측의 둥근 나막신은 백제 유물로서 2000년도에 시행한 충남 부여군 능산리사지(절터)의 7차 조사때 발굴된 것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2005년도 문화재지의 나막신 관련 논문을 참조하자. 아래의 왼쪽 나막신은 부산 용수리 가동 유적에서, 오른쪽은 충남 아산 갈매리 유적에서 출토된 것으로 마찬가지로 삼국시대 유물이다.
- ↑ 딸깍발이는 가난해서 마른 날에도 나막신을 신던 옛 선비들을 지칭할 때도 사용하던 말이다. 이희승 선생의 동명 수필이 교과서에 실린 적이 있다.
- ↑ 굽이 달려있는 납작한 바닥에 가죽이나 면끈을 달아서 조리처럼 신는것
- ↑ 금동 신발과 상당히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