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로

煖爐[1]
stove

1 개요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열로 실내 온도를 덥히는 장치. 여름철에 선풍기, 에어컨이 있다면 겨울에는 난로가 있다.
대부분의 주택이 온돌 방식으로 되어 있는 한국의 특성상, 난로를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흔치 않으며, 대개 교실, 사무실, 업소 등 비주거 공간에서 사용된다.

난로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한다. 인류가 을 발견한 뒤에 동굴 속이나 야외에 피웠던 모닥불이 장작난로의 시초이다. 이후 장작이라는 연료는 석탄이 발견되기 전까지 수천년간 사용되었으며 그 형태는 여러가지로 변해왔다. 전세계적으로 벽난로와 같은 방식인 불꽃을 공기중에 노출시켜 공기를 데우는 방식이 널리 활용되었다. 하지만 한반도에서는 전통적으로 방바닥 아래에 빈 공간을 만들어 그곳에 불을 지펴 방바닥을 뜨겁게 만드는 온돌 방식이 활용되었다.

현대에는 도시에서는 주로 가스를 이용하는 보일러전기난로를 많이 사용한다. 이쪽은 환기 등에서 훨씬 간편하다. 시골에서는 연탄이나 등유를 이용하는 보일러/난로도 많이 사용한다. 또 등유보다 저렴하다는 이유로 장작 난로도 종종 사용된다. 여의치 않으면 전기장판이라는 대체재도 있고.

세일즈맨에 대한 클리셰로 '이누이트에게 냉장고를, 중동 사막에서 난로를 팔아먹기'가 있는데, 실제로는 사막에서도 난로가 필요하다. 사막은 일교차가 매우 커서 해가 지면 거의 영하권까지 떨어져서 난로가 꼭 필요하다. 또한 중동 지역이라고 해서 사막 기후만 있는 것은 아닌데 가령 레바논이나 튀니지 등 지중해 연안 지역은 온대 지중해성 기후에 속해서 겨울에는 가끔 눈도 볼 수 있을 정도로 제법 춥다. 이 때문에 겨울엔 난로가 없으면 견디기 힘들 정도로 추워지는 곳도 많다.[2]

2 종류

2.1 연료에 따른 분류

2.1.1 화목 난로

숯, 장작, 갈탄 등 고체 연료를 태우는 난로로, 난로들 가운데 가장 원시적인 형태를 취한다. 고대~중세시대에는 집 안 1층 한가운데에 모닥불이 있는 것과 같은 형태였다. 현대에는 벽난로 같은 붙박이 형태의 장작난로와 따로 시공을 해서 설치하는 노출형 장작난로가 있다.

  • 장점
    • 일단 불에 태울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연료로 쓸 수 있다.
    • 구조가 단순하여 거의 평생 동안 고장 걱정 없이 쓸 수 있다. 단 주기적으로 굴뚝을 청소해 줘야 한다.
    • 기술이 낮은 곳에서도 비교적 쉽게 제작 가능하다.
    • 연료가 재생 가능한 사실상 무한대의 자원. 나무는 새로 심어서 키우면 되니까, 삼림 자원이 있는 지역이라면 큰 관점에서 볼때 연료자원의 고갈이나 보급 걱정이 적다.
  • 단점
    • 겨울이 오기 전에 일일이 나무를 베고 장작을 패서 건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아니면 다른 연료처럼 돈 주고 사든가. 장작 가격은 그리 비싸지는 않아 사는데 부담은 적다. 시골에서는 등유 난로보다 저렴할 정도. 어차피 난로는 어떤 연료를 사용하든 외부에서 연료를 공급 받아야 하므로, 큰 단점은 아니다.
    • 연료가 다른 난로의 전용 연료에 비해 순도가 낮기 때문에 불순물이 섞이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이게 열에 의해 터지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이로인한 화재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드물지만 발생한다.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나무를 태울때 타탁!! 하면서 불똥이 사방으로 튀는 경우이다. 야외라면 그다지 큰 문제는 아니지만 실내라면 문제가 크다.
    • 연료인 장작의 저장공간이 꽤나 크게 필요하다.
    • 숲이 없는 도시 지역이나 평야 지역의 경우 땔감으로 쓸 수 있는 장작을 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 불이 그리 오래 가지 않기 때문에 난로불이 꺼지지 않도록 수시로 땔감을 넣어 주어야 한다. 가장 불꽃이 오래 가는 연료인 참나무 장작의 경우 한번 넣으면 8시간 정도 불꽃이 타오른다.
    • 등유, 전기 가스와 달리 매일마다 연소 후 남은 재를 일일이 치워야 한다.
    • 불완전 연소이므로 연기와 그을음이 심하다. 때문에 굴뚝이나 연통이 반드시 필요하다.

다만 위 단점 중 끝의 두 개는 다중 연소실 난로를 만들면 그다지 걱정할 필요 없다. 예를 들어 이중 연소실 난로의 경우, 1번 연소실의 뚜껑을 열고 화목을 집어넣어 태우면 불완전 연소되며 생성된 가스가 바로 뒤에 붙어 있는 2번 연소실로 들어가 뜨거운 공기와 만나면서 다시 한 번 연소, 결과적으로 재와 연기를 거의 남기지 않고 타버린다.(분명 미친듯이 타고 있는데 굴뚝에서 연기는 정말 안 난다.) 2번 연소실로 뜨거운 공기를 어떻게 집어넣느냐면, 외부에서 2번 연소실로 바로 연결되는 파이프를 1번 연소실 밑을 지나게 하면 된다. 그럼 공기가 파이프를 지나면서 뜨거워지고, 파이프를 벗어나 연소실로 들어서자마자 화목가스와 섞이며 화르륵!
뭐 그래도 만능은 아니라 목초액이 환기구를 틀어막는 참사는 화목난로를 쓴다면 꼭 대비해야 하니 주의하자. 또 열이 철로 된 못을 시뻘겋게 달굴 정도로 높게 발생하므로 내열에 특히 신경써야 하며, 연료를 정말 빨리 태운다는 것도 감안할 것. 다만 열을 가둘 온돌같은 시설이 있다면 효율 만점이다.

2.1.2 연탄 난로

연탄을 연소시켜 열을 발산사키는 난로.

  • 장점
    • 구조가 단순한 편이라 값이 비교적 저렴하다.
    • 연료비가 다른 것에 비해 적게 든다.
    • 오래 탄다. 하나가 8시간은 지속된다.
  • 단점
    • 일산화탄소 중독 위험이 있다. 때문에 연통이 반드시 필요하며, 따라서 연통 설치에 따른 추가 비용이 든다.
    • 연탄에 불을 지피는 데 시간이 걸리고 또한 번개탄이 필요하다.
    • 연탄을 저장해 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 일정 시간마다 연탄을 갈아주어야 하며, 타고 남은 연탄재도 처리해야 한다.

2.1.3 석유 난로

석유, 특히 등유를 연료로 하는 난로.

  • 장점
    • 연통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
  • 단점
    • 연통은 필요하지 않더라도 약간의 석유 냄새는 나며 정기적으로 환기가 필요하다. 연통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재점화시 연기가 실내 공기와 바로 섞인다.
    • 연료비가 많이 든다.
    • 난로가 전복되어 화재가 날 경우 불길이 급속히 퍼질 위험이 있다.

2.1.4 가스 난로

LNGLPG를 연료로 하는 난로

  • 장점
    • 연통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 석유 난로에 비해서도 더욱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다.
  • 단점
    • 연통은 필요하지 않더라도 정기적으로 환기가 필요하다.
    • 연료비가 많이 든다.
    • 가스 누출 발생 시 폭발 위험이 있다.

2.1.5 전기 난로

전기로부터 열을 발생시키는 난로

  • 장점
    • 연기, 그을음, 일산화탄소, 석유, 가스 냄새가 없어 환기를 시킬 필요가 없다.
    • 설치 및 이동이 매우 자유롭다.
  • 단점
    • 월말에 날아오는 전기요금 고지서를 보면 안다. 소형 전기난로가 소모하는 전력량도 어지간한 중형 에어컨급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자면 열풍을 내는 계열은 2000~3600W, 복사열 히터는 1000~1500W, 대류식 히터에게 6kW 는 껌값.[3]
    • 공급되는 전기 용량이 충분하지 않으면 난방 용량이 제한되거나 갑자기 누전 차단기가 내려갈 수 있다.[4]
    • 전력선이나 콘센트 등의 상태가 나쁠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5]

2.2 난방 방식에 따른 분류

2.2.1 대류식

공기를 데워 일어나는 대류현상을 바탕으로 기온을 올리는 방식의 난로다.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난로의 형태. 공기를 직접 데우기 때문에 방 전체를 광범위하게 데필 수 있지만 그렇게까지 효과를 보기 위해 장시간 연료를 소모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2.2.2 히터식

공기를 데우는 대류식 난로와는 달리 열을 공기 외의 2차 매개체를 통해 전달하는 난로이다. 온돌이나 전기장판도 히터식 난로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범위가 좁은 대신 에너지 소모도 적다. 대신 열의 강도가 너무 세거나 피부를 직접적으로 대고 오래 있는 등 방심했다간 저온화상을 입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
  1. 暖爐로도 쓰인다. 暖과 煖이 둘다 따뜻할 난자로 쓰이기 때문. 단,暖은 자연 현상에 의해서 따뜻해질 경우에 주로 사용되고 煖은 사람이나 동물이 불을 내서 따뜻하게 만드는 경우에 주로 사용되기에 차이가 있다.
  2. 마찬가지로 이누이트에게도 냉장고는 필요하다. 이누이트들이라고 해서 일년 내내 빙하 위에서 이글루를 짓고 사는 건 아니며, 아무리 북극권이라 해도 여름에는 음식물이 충분히 상할 수 있을 만큼 기온이 오른다. 또한 냉동이 아닌 냉장이 필요한 식품 보관을 위해서라도 냉장고가 필요할 때가 있다.
  3. 도시가스의 경우에는 사용량만큼만 요금이 나오는 정량제지만 전기의 경우에는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요금이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는 누진제라서 가스보일러 대신 전기난로를 썼다가 난방요금이 더 나오는 경우도 있다.
  4. KS C 8305 상 최대 전류는 16A(3520W)이지만 대체로 벽의 배선은 1SQ 의 엄청 얇은 배선이 들어가있다. 1SQ 배선은 선제의 포설 상태나 선제 배관의 상태 및 길이에 따라 다르나 매입시 9A 정도로 심각하게 구리다. 정직하게 아주 정직하게 정상적인 자제를 사용한 곳이 아닐 경우에 전기난로는 포기하는 게 답이다. 차단기 역시 단락이 아닌 경우 거의 검출이 안되는 때가 많으므로 알아서 조심해야 한다.
  5. 상단의 이유처럼, 대부분의 꽂음기나 기타 접속장치가 그렇게 높은 성능을 보유하는 경우도 아니고 시간이 지날수록 접점이 열화됨에 따라 접촉저항이 증가한다. 또한 상부 문단에 있듯이 정상적인 1.5SQ~2SQ 배선을 사용하는 곳은 극히 드물기 때문에 배선의 열화에 따른 배선 자체의 저항도 증가하여 건축주를 믿고 3000W 히터를 꼽았다간 바로 불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