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고사성어
고사성어 | ||||||
內 | 憂 | 外 | 患 | |||
안 내 | 근심 우 | 바깥 외 | 근심 환 |
1 겉 뜻
내부의 근심과 외부의 근심
2 속 뜻
나라 안의 근심 또는 분쟁과 나라 밖으로부터의 환난, 즉 인간은 항상 근심 속에 살고 있다는 뜻
3 유래
- 《국어(國語)》〈진어(晉語)〉편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춘추시대 중엽 막강한 초(楚)와 진(晉) 두 나라가 대립한 시대가 대립할 때 진나라 여공은 송(宋)나라와 동맹을 맺어 평화가 실현되었다. 그러나 수년 후 초나라 공왕(共王)이 정(鄭)나라와 위(衛)나라를 침략하자 다음해 진나라와 초나라의 군대가 언릉에서 마주쳤다. 당시에 진나라의 내부에서는 극씨(郤氏)ㆍ낙서(樂書)ㆍ범문자(范文子) 등의 대부(大夫)들이 정치를 좌우할 만큼 큰 세력을 가지고 있었다. 초나라와 충돌하기 전에 낙서는 진나라에 항거한 정나라를 치기 위하여 동원령을 내린 후 스스로 중군(中軍)의 장군이 되고 범문자는 부장(副將)이 되어 전열을 가다듬었지만 막상 진과 초의 두 군대가 충돌하게 되자 낙서는 초나라와 싸울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범문자는 이에 반대하여
‘제후(諸侯)로 있는 사람이 반란하면 이것을 토벌하고 공격을 당하면 이를 구원하여 나라는 이로써 혼란해지지. 따라서 제후는 어려움의 근본이오’
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오직 성인만이 안으로부터의 근심도, 밖으로부터의 재난도 능히 견디지만(唯聖人能外內無患) 성인이 아닌 우리들에게는 밖으로부터의 재난이 없으면 반드시 안으로부터 일어나는 근심이 있소(自非聖人 外寧必有內憂(자비성인 외녕필유내우). 초나라와 정나라는 놓아두고 밖으로부터의 근심을 내버려두지 않겠소이까?”
‘내우외환’은 여기서 유래되었으며, 인간은 항상 근심 속에 산다고 정의하고 있다.
4 기타
여담이지만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흥동(大興洞)의 원래 이름은 내환동(內患洞)이다. 원래는 내환동(內串洞)[1]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내환의 '곶 환(串)' 자를 잘못 봐서 '근심 환(患)'자로 잘못 기입되면서 그대로 쓰이게 되었다. 안 좋은 뜻이었으므로 결국 2002년 크게 일어난다는 뜻의 대흥동으로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따개비 한문숙어에는 '김내우씨가 외환은행에 취직...잘됐군요'라는 드립이 있다.- ↑ 또는 내곶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