푄현상

(높새바람에서 넘어옴)

1 개요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 덩어리가 바람받이 사면을 타고 올라가면서 비를 뿌린 후 바람의지 사면으로 내려올때 고온건조해진 공기의 상태가 지역적으로 가뭄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독일 지역에서 알프스 산맥을 넘어 부는 건조한 열풍을 뜻하던 말 Föhn(푄)[1]에서 유래했다.

foehn-bora.gif
반대로 낮은 산지를 타고 지형성 강수 없이 한랭건조한 공기가 그대로 직격해 내려오거나 고산, 고원지대쪽에서 만년설 등에 의해 차가워진 공기가 해안가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오듯 부는 바람은 보라(Bora) 현상이라고 부른다.

2 상세

공기가 산을 타고 넘어갈 때 이슬점은 100m당 섭씨 0.2도씩, 불포화 공기[2]는 100m당 섭씨 1도씩 떨어진다. 이 공기가 높은 산에 가로막히면 바람에 의해 강제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것이 단열반응이 되어 기온이 이슬점을 따라잡아 구름이 생겨 비를 뿌린다. 상대습도 100% 상태에서는 기온과 이슬점이 섭씨 0.2~0.8도/100m씩[3] 떨어지게 된다. 이후 산을 넘어간 후 다시 내려오면서, 산을 올라갈 때와 똑같은 비율로 기온과 이슬점이 각각 증가하는데, 산을 올라가기 전 공기상태보다 이슬점은 낮고 기온은 높은 덥고 건조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뭄이 일어난다. 심각한 경우에는 그 지역에 걸쳐서 아예 사막이 되기도 한다.

%ED%91%84%ED%98%84%EC%83%81.jpg

뉴질랜드 남섬에 위치한 산맥인 서던 알프스 산맥에서[4] 푄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히말라야 산맥에서도 나타난다.[5]

한국에서는 태백산맥의 영동과 영서 지방에서 부는 높새바람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높새바람으로 인해 봄에 서쪽 평야지방에 가뭄이 생기기도 한다.

건조한 바람으로 물기를 말린다는 특징 때문인지 독일 남부와 스위스에서는 헤어드라이기[6]도 '푄'이라고 부른다.(단, 구분을 위해 철자는 'h'가 빠진 Fön이라고 쓴다)

3 학교 교육 과정에서

이 푄 현상은 몇 안되는 과탐, 사탐에서 공통으로 배우는 현상이다. 다만 과목에 따라 보는 관점이 조금 다르다. 지구 과학Ⅱ[7]에서는 과학과목답게 위의 내용처럼 여러 그래프와 공식을 사용하여 정량적, 수학적으로 자세하게 탐구하지만[8], 물리Ⅱ에서는 단열 과정의 예로 아주 짧게 언급하고 지나간다. 한국지리·세계지리 혹은 중2 사회에서 배우게 되는 푄 현상은 그 지역의 지리와 연관되어 배우게 된다.
  1. 라틴어로 서풍을 뜻하는 Favonius(파보니우스)가 원형이다.
  2. 습도가 100%가 아닌 공기.
  3. 0.5도/100m는 평균치다.
  4. 산맥을 사이에 두고 기후가 달라질 정도로 심하다.
  5. 대부분의 높은 산지로 가로막혀 있는경우 쉽게 나타난다.
  6. 표준어로는 당연히 'Haartrockner'
  7. 과탐이 대거 개정되면서 지구과학Ⅰ에서 지구 과학Ⅱ로 넘어갔다.
  8. 이 경우는 어디서 이 현상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그다지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사실 이 '푄 현상'이라는 이름도 잘 쓰이지 않는다. 이과생은 '대기와 물의 순환' 단원의 일부분으로 이슬점 감률과 기온 감률이 다름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으로만 이해하고 있고 그 이름을 기억하기보단 포화수증기압 곡선을 더 잘 해석하는데에 더욱 관심이 있을 뿐. 이 각주는 개정 전 내용에 관한 것으로 자세한 내용을 아는 사람은 수정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