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에론 1세

칠왕국의 국왕
타르가르옌 왕조
7대
아에곤 3세
8대
다에론 1세
9대
바엘로르
DAERON_I.jpg

Daeron I

타르가르옌 왕조의 8대 왕.

아에곤 3세의 장자로서 14살에 왕위에 올랐다. 생몰년은 143AL ~ 161AL(18년), 재위 기간은 157AL ~ 161AL(4년). 별명은 '젊은 용(Young Dragon)', '소년왕(The Boy King)'.

매우 잘생기고 성급했으며, 무예가 뛰어나 전사이자 정복자로서 명성을 쌓았다. '정복자'라고 불렸던 아에곤 1세도 해내지 못했던 도른 정복에 성공한 첫 타르가르옌 왕이었다. '도른 5만개의 창'이라는 말은 이 왕이 한 말이라고 한다.[1] 그는 '도른의 정복'이라는 책을 직접 저술했으며 그 책은 단순명료한 문체로 유명하다.

별명의 유래는 숙부이자 핸드인 비세리스 타르가르옌을 포함한 신하들이 드래곤 없이 어떻게 정복을 할 것이냐고 우려를 표하자 "그대들의 눈 앞에 드래곤이 (=내가) 있다" 라고 대답했다고. 좋게 보면 간지폭풍인데, 나쁘게 보면 중2병

존 스노우가 다에론 1세를 좋아하는 걸 보면 저런 업적 때문에 웨스테로스 소년들의 우상 중 한 명인 듯하다. 하지만 티리온 라니스터처럼 머리 좋은 이들은 내심 정복 놀이로 왕국을 위태롭게 한 소년에 불과하다고 평가절하하고 있다.

그가 정복에 몰두해 있는 동안 왕국을 실제로 통치한 건 그의 숙부 비세리스였다. 하지만 그의 도른 정복은 2주 후 그가 총독으로 남겨 놓은 티렐 가문의 영주가[2] 도른인들의 함정에 걸려 살해당하면서 도른 전역으로 번진 대반란에 의해 물거품이 되며, 반란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4만 명(...)의 병사를 잃고 전사하여 그 자신의 목숨조차 잃고 말았다. 전사하면서라도 반란 진압을 한 것도 아니라 적에게 속아서 방심하다가 와장창 깨지면서 전사한 것이다. 이때 정복왕 아에곤의 왕관이었던, 발리리아 강철로 만들어진 왕관을 잃어버린 것은 덤이다. 당연히 도른은 바로 주권을 되찾았고, 이는 결국 후계자인 동생 바엘로르가 직접 도른에 가서 평화 협정을 해야 하는 굴욕까지 견뎌야 했다[3].

잘생기고 용감무쌍한 대단한 전사이자 정복자로 당시 민중의 사랑을 받고 아직도 자국 소년들에게 전설적으로 화자되는 영웅이라는 점, 하지만 무리한 군사 원정을 계속하는 바람에 국고를 홀라당 날려먹은 암군이였다는 점, 원정지가 중동[4]이었다는 점, 사후 동생이 왕좌를 물려받았다는 점에서 영락없이 사자심왕 리처드 1세가 모티브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타르가르옌 가문/역대 국왕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도란 마르텔은 도른의 병력은 그리 많지 않다며, '도른 5만개의 창'이란 말은 당시 영광을 과장하기 위해 도른 병력을 두 배 뻥튀기 시킨 거라고 평했다.
  2. 전갈과 독사를 이용한 함정에 괴롭게 죽었다는 건 일치하지만, 다른 면에서는 평가가 상충된다. 오베린 마르텔은 침략자의 두목인 악당이라고 주장했지만, 철왕좌와 티렐 가문 측에서는 멀쩡한 성격에 상식적인 통치를 한 총독이었지만 도른인 협력자의 배신으로 죽은 인물로 기록되어 있다. 양측 주장이 "우리 착한 놈, 쟤네 나쁜놈".
  3. 정작 바엘로르는 굳이 직접 도른까지 맨발로 걸어가는 고행을 하고, 거기서도 수없이 무시당하는 시련을 묵묵히 받은 것을 보면 그냥 본인의 신앙심을 자랑하려고 그런 고난수행을 한 것 같다(...)
  4. 도른은 팔레스타인, 지중해 국가들,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모티브라고 작가가 밝힌 바 있다. 도른인들의 복장도 중동의 복장과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