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2033편 활주로 이탈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사고 요약도
발생일1994년 8월 10일
유형활주로 이탈
발생 위치한국 제주도 제주국제공항 부근
탑승인원승객 : 152명
승무원 : 8명
사망자승객 : -
승무원 : -
생존자승객 : 152명
승무원 : 8명
기종Airbus A300B4-622R
항공사대한항공
테일넘버HL7296
출발지한국 서울특별시 김포국제공항
도착지한국 제주도 제주국제공항

당시 블랙박스 음성녹음(CVR) 내용
당시 MBC 뉴스 보도. 참고로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필요하다.

1 개요

1994년 대한땅콩항공의 A300이 활주로를 이탈한 사고.

2 사고기/사고기편


위치 정보 추가바람.

사고기 HL7296 기체는 A300-600으로. 1990년 12월 6일 첫 비행을 하였고 1991년 2월 26일 대한항공에 인도되었다. 3년밖에 안된 새 비행기였다.

대한항공 2033편(KE2033)은 서울-제주 간 정기 항공편이었다.

3 배경과 발생

A300-Korean-Air-Cheju.jpg
1994년 8월 10일 김포국제공항을 출발한 KE2033편은 제주국제공항 6번 활주로(現 7번)에서 착륙 도중 그만 돌풍[1]을 만났고, 결국 속도를 줄이지 못하면서 활주로를 이탈하여 근처 밭에서 전소되었다.

다행히 승무원들의 빠른 대처로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다. 근데 기장과 부기장은 먼저 튀었다. 응? 20년뒤 비슷한 사건에서 똑같은 짓을 한 사람이 나타났다

4 원인

캐나다인 기장과 한국인 부기장의 의사소통 문제가 주된 사고원인이다.

조종사 양자 간 소통이 극악이었다. 기장은 부기장을 무시하는 행태를 많이 보였으며 당시 강압적이었던 조종실 문화는 외국인도 잘 써먹었던 모양, 부기장은 기장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모습까지 보여주었다.

이로 인해 두 조종사의 의견차이가 생겨 착륙 절차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 부기장이 속도가 빠르다고 경고하지만 기장은 무시하였고, 착륙 절차에서 플랩을 착륙 직전에 설정해 감속을 하지 못하면서, 이후 기장과 부기장의 상반된 기체 조작[2]으로 절차를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기체는 활주로 접지 이후 기수가 두 번이나 들렸다고 한다.

착륙 절차 당시 부기장은 계속 복행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기장은 착륙 강행을 주장한다. 근데 부기장이 착륙결심고도를 한참 넘긴 상황(50피트)에서 복행을 주장한 것이라, 기장으로서는 착륙을 해야 했을지도 모른다.

5 이후

이번 사고 당시 추락했던 A300의 경우, 이후로도 크고 작은 사고를 여러차례 내면서 사고다발 기종이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다.[3] 하지만 1990년대 후반 대한항공이 3년 연속으로 대형 사고를 다섯 건이나 일으키고 정비분야에 투자를 눈에 띄게 늘리기 시작하면서 사고다발 기종 타이틀을 어느 정도 벗게 된다.[4] 그 당시엔 보잉 747도 사고다발 기종이었지

사고 이후, 조사가 이루어지기 직전 기장이 본국으로 무단 출국해 큰 논란을 일으켰다. 기장은 1997년 캐나다에서 암으로 사망하였다고 한다. 잘 뒤졌다

제주국제공항에는 난기류 경보장치가 타 국내 공항보다 많은 11개가 설치되어 있다. 워낙 난기류가 많이 발생하기도 하거니와, 이 사고와 같은 사고가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1. 당시 제주도 상공에는 태풍 더그가 있었다.
  2. 기장은 착륙을 강행하려 했고, 부기장은 복행을 주장하였다.
  3. 특히 땅콩의 친구인 중화항공이 저 기종으로 4년에 2건 걸쳐서 500명 가까이 목숨을 앗아갔다!
  4. 근데 여기서 정비를 잘못했거나 의심되는 사고는 두 건밖에 안 된다. 이 사고저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