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점박이사슴벌레

대한민국에서 자생하는 사슴벌레 목록
넓적사슴벌레왕사슴벌레톱사슴벌레
애사슴벌레홍다리사슴벌레다우리아사슴벌레
참넓적사슴벌레사슴벌레#s-2두점박이사슴벌레
두점박이사슴벌레
Prosopocoilus astacoides blanchardi Hope,1840
분류
동물계
절지동물문(Arthropoda)
곤충강(Insecta)
딱정벌레목(Coleoptera)
사슴벌레과(Lucanidae)
톱사슴벌레속(Prosopocoilus)
두점박이사슴벌레(P. astacoides)
아종
두점박이사슴벌레(P. a. blanchardi)


두점박이사슴벌레 한 쌍

멸종위기등급 2급

1 개요

몸길이가 수컷 4.5~6.5cm, 암컷 3~4cm정도인 소형 사슴벌레. 우화하고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에는 밝은 황갈색 빛이 나다가 점차 어두운 황갈색으로 변한다. 가슴 양쪽에 검은 2개의 점이 뚜렷이 나타나며 가슴 가운데에 적갈색의 세로선이 있다. 수컷의 경우 머리 부분 가운데에 2개의 돌기가 앞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큰턱이 시작되는 부분에는 안쪽으로 나온 큰 돌기가 있으며, 끝쪽에는 작은 돌기가 발달되어 있다. 6~8월경 썩은 나무에 산란을 하며, 약 2주 뒤에 부화한다. 애벌레와 어른벌레로 겨울나기를 한다.

한국에서는 제주도에서만 서식하며, 2012년 5월 31일부터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그러나 환경청에서 허가를 받고 키우는 사람들도 있다는듯 하다. 단 이들은 곤충사육가(브리더)가 아니라 인공증식을 목적으로 기르는것이다. 착각하지말자.

하지만 제주도에 가면 흔하게 로드킬당하는 게 이 녀석들이며, 밤만 되면 PC방 입구나 건물벽에도 다닥다닥 붙어있다고. 한국(제주도), 몽골, 타이완, 네팔,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 기타

서울에서 두점박이사슴벌레의 표본을 보려면 충우곤충박물관으로 가면 된다. 두점박이사슴벌레가 천연기념물화 되기 이전에 표본화 시킨것이다.

2010년에는 울산에서 인공증식에 성공했다. 이어서 2012년엔 강원도에서 인공증식에 성공.댓글들의 상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