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껑

1 명사로서의 뚜껑

가장 완벽한 물질

무언가를 덮어두는 물건을 뜻한다. 다만 덮어두는 것만이 아니라 씌우거나 봉할때 쓰이는 물건도 뚜껑이라고 부른다. 뭉뚱그려 요약하면 어떤 물체의 출입구를 막아두기 위해 덮어두듯이 쓰는 물건 정도.

어떤 물건에 쓰이느냐에 따라 뚜껑 앞에 해당 물체의 명칭을 붙인다. 병에 쓰이면 병뚜껑, 냄비에 쓰면 냄비뚜껑, 솥에 쓰면 솥뚜껑, 왕에게 쓰면 왕뚜껑 등등.

다만 어디까지나 덮어두는 것에 의의가 있으므로, 덮어두는것이 아닌 입구에 끼어서 뚜껑 역할을 하는 물건은 마개라고 한다. 코르크 마개가 가장 대표적인 사례.

덮는 것이라지만 덮개와는 엄연히 다르다. 이쪽은 덮개보다는 비교적 더 정밀하게 덮어둔다고 보면 된다.

2 속어로서의 뚜껑

흔히 사람머리에 달려있다고 하는 물건.

평상시에는 절대 개봉 불가능. 주로 화가 났을 때 그 압력으로 열린다고 한다. 닫히는 것도 시간 외에는 해결할 방도가 없다. 아니면 뚜껑이 열린 원인을 해결하던가… 뚜껑이 열리는 상황은 천차만별이며, 사람에 따라 뚜껑이 열리지 않을 상황에서도 열리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뚜껑이 열리고도 남을 만한 상황에서도 뚜껑이 열리는 걸 볼 수 없는 대인배도 있다.

그 실체는 사람의 머리를 물이 끓는 냄비에 비유한 것. 냄비 속의 물이 열을 과도하게 받으면 끓어올라서 내용물이 넘치면서 냄비 뚜껑이 열리는 현상을 사람에게 적용시켜서, 사람이 열을 받으면 머리에서 열이 팍팍 솟구치는 걸 비유해서 만든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냥 '화가 난다'라는 표현보다는, 어쩐지 이 '뚜껑 열린다'는 표현이 임팩트가 더 강하다.

이외에도 전차의 포탑이나 해치를 뜻하기도 하며, '뚜껑을 딴다'는 말은 전차를 유폭시켜 포탑사출이나 불구덩이로 만든다는 소리다.

2.1 모자의 속어

머리에 쓰는 모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굳이 모자뿐만 아니라 확장시켜서 머리에 쓰는 모든 것(방탄모, 헬멧, 가발 등)도 뚜껑이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