랄까

1 개요

일본어 っていうか(~라고 할까)[1]의 번역 표기의 축약어. 오덕체와 함께 쓰인다.

주의할 것은 '랄까'를 쓴다고 해서 무조건 번역 어투가 아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문장 앞머리에 뜬금없이 '랄까'를 쓰는 거랄까 "뭐랄까", "oo랄까"와 같은 식으로 진짜 "~라고 할까"의 축약형이 필요한 곳에 넣을 수 있다. 뭐랄까의 문서에서 쓰이는 상황은 번역체 "랄까"가 끼여드는 상황과 다를까

  • 국어에 이미 있는 용례: "blood sausage[2] "를 대충 설명하자면.. 뭐랄까, 서양식 순대쯤 된다고 할 수 있겠다고나 할까?
  • 번역체 용례: (물건을 건네받으며) 이게 뭐야? 랄까 이거 너무 무거워랄까!

랄까는 번역체 문장이고, 한국어에는 없는 표현이기 때문에 삼가자는 의견이 많다. 주의할 것은, 문두의 랄까문미의 랄까는 완전히 다르다는 것. 간단히 검색 사이트의 뉴스 검색창에서 랄까를 검색해보면 알 수 있다. 랄까라는 어휘 그 자체는 번역체가 아니지만, 용례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 번역체가 된다. 마이너하지만 '랄카'라고 쓰는 베리에이션이 있다.

일본인들이 돌려서 표현하는 데 즐겨 쓰는 어휘지만, 본래는 일본어에서도 틀린 문법이다. 실제 만화나 소설 등에서는 동일 화자의 대사 상에서 접속사 계통으로 사용되는 경우뿐으로 웹이 발전하면서, 블로그2chan같은 영역에서는 상대의 말을 받아 쓰다보니 문두에 오는 경우가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3]. 자신을 내세우지 않는 일본인들은 잘 쓰지만, 한국 정서엔 주관이 없어 보인다.

일본 창작물에서도 캐릭터가 머리 나쁜 날라리 여자라는 것을 강조하고 싶을 때 이 말투를 쓰게 만드는 것을 볼 수 있다. 꼭 그런 캐릭터만 쓰는 건 아니다. 예를 들어 은혼/애니메이션의 경우는 거의 한 화당 최소 5~6회 이상 っていうか라는 표현이 나온다. 드라마 CD의 경우 거의 수십 수백 번은 나오는 것 같은 느낌. 그것도 특정 캐릭터만 사용하는 게 아니고 웬만한 캐릭터는 다 사용한다. 성우들의 호연이 돋보이는 작품이라 망정이지 그렇지 않았으면 랄까를 싫어하는 사람 입장에서 그야말로 귀가 괴로운 작품이었을 듯(…).

2 삼가야 할 단어

이것도 중독성이 있는 건지, 아니면 고상한 말투라고 생각하는 건지, 쓰는 사람들은 상황을 안 가리고 아주 밥 먹듯이 쓰기 때문에 보는 이들로 하여금 짜증을 유발한다(…). 이 표현 또한 남발하면 오덕체 못잖게 오덕으로 몰리기 쉽다. 오타쿠 선언하기 싫다면 아래처럼 사용하지 않길 바란다.

문장 간의 접속사로 쓸 경우, 일반적으로는 '그보다', '그나저나'로 번역하곤 한다. 애당초 '랄까'가 문두나 접속사로 쓰이는 게 비문이다.

  • 잘못된 용례: 랄까 머리를 잘랐는데 뭔가 촌스럽긔ㅠㅠ
    • 읽어 보면 알겠지만 어떻게 랄까를 문법적으로 해석해야 할지 감이 안 잡힌달까.

일본어에서는 っていうか를 문두나 접속사에 자주 쓰곤 하지만, 일본어에서도 이와 같은 용법은 엄밀히 말해 비문이다. 원래 っていうか를 쓰는 것은 대화 중에 상대방이 한 발언 전체를 받아서, "...라는 걸까, 그건 그렇고..." 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것이라는 것이다. 즉 문장으로 보면 당연히 비문이고, 굳이 너그럽게 해석하자면 상대방의 발언 전체를 자신의 문장 성분으로 삼아서 받아넘기는 접속사다.

한국어에서 쓰면 위에 적혔듯이 빼도박도 못하는 일본어식 번역체 어투이므로 쓰지 않는게 좋다. 나무위키에도 이 표현을 쓴 항목이 상당히 많다. 이미 쓰여진 문장을 (주로 부정하는 의견을 덧대는 경우) 보충하는 문장의 접속사로 쓰는 케이스가 많은데, 이런 비문까지 신조어와 같은 대접을 받으리라 생각하는 것은 대단한 오산이다. 번역체인 것을 감수하고 굳이 틀린 용법이라도 그대로 재현하자면, 서로 대화를 주고받는 상황에서 위와 같은 용법으로 상대방의 말을 받아넘기는 데 쓰는 것이지, 받아넘길 말이 없는데 뜬금없이 '랄까' 로 시작하는 것은 애초의 용법과도 어긋난다.

한국 오덕계에 '랄까'가 유입된 배경을 따져 보면, 우선 아마추어 번역자들이 1차로 위에 서술한 어투(っていうか)가 자주 나오는 일본 작품들의 번역물을 통해 이 표현을 여과 없이 그대로 직역하였고, 그걸 접한 독자들이 2차로 이 단어를 왠지 병신같지만 멋있어 뭔가 전달력 있는 문법이라 느끼고 별반 생각 없이 무의식적으로 학습해 따라서 썼다는것, 그들과 소통하는 이들이 또 3차, 4차… 로 전파하는 식으로 퍼져 나간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또는 아마추어 번역자들이 스캔본 만화에 나오는 だって[4]를 랄까로 땜빵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것에서 비롯된 것일 수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랄까가 소위 '덕후들이 쓰는 단어'라고 불리게 된 것 또한 여기에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사용 인구가 많다고 해서 뭐든 유행어나 신조어로 굳을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착각이다. 특히 문법의 기본 구조 자체를 파괴하는 경우라면 말할 것도 없다. 잘못 습관을 들이면 은연중 논문이나 레포트, 또는 보고서에도 이런 문장을 쓰게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간접 인용으로 쓰는 것 자체는 맞다. 문장 뒤에 쓴다고 해도 용언 바로 뒤에 쓰면 틀린 문장이다.

번역가 곽형준도 "랄까를 죽입시다 랄까는 번역자의 원쑤!"라 주장한다.

말머리마다 '랄까'를 붙이면 얼마나 역겹고 병맛이 넘치는지 절실히 느껴보고 싶다면 여기로. 백괴사전의 포풍 같은 랄까 디스

3 대체 용어

애당초 수식어가 아닌 っていうか 등의 독립된 사용은 일본어로도 문·어법상 틀린 표현이다.[5] 회화에서나 쓰이는 것이지, 문법상으로는 한국이든 일본이든 옳은 사용법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일본 만화 등의 매체에서 비슷한 느낌의 だって가 문장의 앞에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일 것이다.

'달까(다고 할까)'로 고치면 된다는 주장이 있는데 이건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의 차이일 뿐(예를 들면 '~했다.'라고 할까' / ~했다고 할까), 의미도 같고 '달까' 역시 문장 처음에 나올 수 없는 건 마찬가지다.

'뭐랄까'의 경우는 위의 번역체인 '랄까'와는 의미와 용법 자체가 다르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를 참고.

그나마 가능한 대안은 '그(것)보다'나 '그런데' '그전에' '그나저나' 등으로 앞뒤 문장 상황에 맞춰 번역하는 것이다. 원 문장의 느낌을 그대로 살릴 수는 없지만 차선책(또는 차악책)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외 랄까의 용법과 가장 비슷한 한국어의 신조어는 막이래. 그러나 이것 역시도 랄까로 시작하는 문장엔 사용할 수 없다. 나무위키가 오덕위키가 되는거 같다면 기분탓이다

4 랄까를 사용하는 인물

  1. 이를 줄여서 てゆか, てか, '랄까, つーか로 쓰기도 한다.
  2. 돼지의 피와 쇠기름, 빵가루와 오트밀로 만든 소세지. 육류 앙뜨레(주요리)의 일종이다.
  3. 이는 っ가 붙었다. 저 글자는 단독으로 첫머리에 오지 않는다.
  4. 이 단어는 접속사인데, '그렇지만', '그도 그럴 게', '왜냐하면' 등의 의미로 앞 문장의 원인, 이유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5. 일본에서 사전적 의미로 쓰이는 というか의 경우, 단어와 단어 사이에서 쓰인다. '국어, 라고 할까 표준어'라는 식. 다만 2008년의 한 논문에 의하면 문법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모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