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멸망 이후의 지중해 세계

1 개요

일본인 작가 시오노 나나미의 서적.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5세기부터 지중해 세계에 황혼이 내린 16세기 후반까지를 주로 다루고 있으며, 이슬람 세력의 팽창과 프랑크 왕국에 의한 732년의 이슬람 팽창 중단. 이후 19세기까지 약 1000년 동안 계속된 이슬람 세계의 기독교 세계에 대한 해적행위 및 각종 군사행동과 이에 대항한 기독교 유럽의 움직임을 주로 다루고 있다. 대체로 이슬람측이 강세고 기독교측이 약세인 상황이 이어진다.

2 언제나 빠지지 않고 나오는 오류들

일단 제일 먼저, 로마 멸망은 15세기 중반이다. 비잔티움 제국 항목 참조.
상권에서는 주로 이슬람을 깐다. 기독교를 까는 거야 로마인 이야기에서 이미 달성했으니 기독교 측에 대해서는 비교적 조용한 편이고, 이슬람 측에 대해서는 세부적인 오류가 좀 있는 걸 빼면 대체로 사실에 부합한 묘사를 하고 있다.[1] [2]

하권에서는 16세기 유럽의 주요 군주들인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와 신성로마제국 황제 카를 5세[3]에 대해 소개하는데, 역시 네 서술은 결점 투성이다.

먼저 16세기의 각국 군주나 주요 인물들이 대부분 베네치아 화가에게 자기 초상화를 의뢰했다고 소개했는데, 그 가운데 유독 프랑수아만 예외라며 깐다[4]. '예술의 후원자로 역사에 남고 싶었겠지만, 화룡점정을 빠뜨렸다고밖에 생각할 수 없다.'라거나 '그의 업적이라면 말년의 다 빈치를 프랑스에 초청한 것인지도 모른다' 라는 식의 표현을 일말의 망설임도 없이 써 주는데, 만일 이 책이 프랑스어로 번역된다면 프랑스인들이 까무러치기 딱 좋은 소리. 오늘날 프랑스 르네상스의 아버지라고까지 불리는 프랑수아 1세가 다 빈치를 초청한 것은 그의 많은 업적 가운데 극히 일부[5]에 불과하며, 굳이 외국인 베네치아의 화가에게 초상화를 의뢰하지 않아도 프랑스 국내 화가들[6]의 손으로 그려진 그의 초상화는 여러 점 전해지고 있다. 반드시 베네치아 화가에게 자기 초상화를 의뢰해야만 문화군주라고 부를 수 있다는 생각은 대체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의문[7][8].

한편으로 카를 5세는 '말 위에서 치세의 절반을 보내고 싶어하는' 잔인한 정복군주처럼 묘사했다. 하지만 이것도 얼토당토않은 것이, 우선 카를은 크고 아름다운 주걱턱 덕분에 평생 소화불량에 시달렸던 인물이다. 또한, 카를이 호전적인 성격이었다는 증거도 찾기 어려운데, 신성로마제국 황제로서의 최고의 오점이라고 할 만한 로마 약탈도 카를이 명령하기는커녕 용병인 란츠크네흐트들이 멋대로 저지른 일이며, 그 일을 전해들은 카를은 난색을 표했다고 전해진다.(이건 당연한 노릇인게, 아무리 정치적으로 교황과 알력이 있었다고는 하나 카를 5세는 매우 독실한 가톨릭 군주였으며, 명목상으로도 유럽 가톨릭 국가들의 정치적 대표격인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다.) 또한 프랑수아 1세와 도합 네 차례 전쟁과 강화를 되풀이했지만, 그 가운데 카를이 선전포고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9] 네 번 모두 프랑수아가 선전포고하고, 카를은 그에 응수했을 뿐. 즉 몇몇 중요한 원정을 직접 지휘한 것은 맞지만, 말 위에서 치세의 절반이라는 이야기는 정말로 그랬다는 게 아니라 '치세의 절반동안 전쟁만 했다' 라는 비유적인 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10].

역시 하권에 나오는, 쉴레이만 대제의 뒤를 이어 즉위한 셀림 2세에 대한 서술에서도 오류가 있다. 장남으로서 일찌감치 후계자로 지명된 형 무스타파의 그늘에 가려 황위 계승은 꿈도 꾸지 못하다가 무스타파가 반역죄로 처형[11]되어 엉겁결에 황제가 되었다는 식의 서술이 나오는데, 시오노가 그럭저럭 높게 평가하는 메메드 2세가 보면 기도 안 찰 소리. 오스만 제국에서는 여러 황태자 가운데 가장 유능한 자에게 황위를 넘겨주지, 장남을 우대하는 법 따위는 없었기 때문이다[12][13].

이외에 자잘한 인물들에 대해서도 오류가 많다. 오스만 제국 쪽에서 몇 가지 예를 들면 오스만 제국의 해군 사령관이자 해적이었던 투르구트 레이스(Turgut Reis)가 제노바 함대에 붙잡혔다 풀려난 해가 실제로는 1544년인데 1540년으로 소개한다거나, 1550년대 내내 투르구트와 함께 오스만 제국 함대를 지휘하고 1565년의 몰타 공방전이나 1570년에 키프로스 섬을 공격할 당시 해군을 지휘한 피얄레 파샤(Piyale Pasha)를 평하여 '젊지만 무능했다' 라거나 '(몰타 공방전 이전까지)전쟁 경력은 알려지지 않았다' 라고 평하는 등. 특히 제국 역사상 해군 지휘관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부재상(Vizier)까지 승진한 피얄레 파샤를 이렇게 과소평가한 것은, 오스만 제국 함대에 대한 크나큰 결례로 여겨질 정도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사실상 레판토 해전을 끝으로 '그 이후는 잠잠하다가 해적이 사라졌음' 이라는 식으로 더 이상 서술이 없는데, 답부터 말하면 그렇지는 않았다. 오스만 제국이 이 전쟁 이후 적극적인 해양 패권 확보에 나서기를 포기한 것은 사실이지만 해적들에 대한 후원은 18세기 이전까지는 대놓고, 19세기까지는 비공식적으로 계속했고, 그 때문에 유럽은 18세기 말까지 지중해의 이슬람 해적과 대서양의 유럽 해적들 때문에 몸살을 앓아야 했다.[14]

여담으로 출판사의 교정 미스인지 아니면 게으름 탓인지 로마인 이야기에서 썼던 지도를 그대로 쓰고 있어, 레판토 해전과 고대 로마 가도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1. 이슬람은 기독교도를 '신앙심이 없는 개' 라고 멸시하기만 하는 악당이고 기독교도는 이슬람에게 일방적으로 당하는 피해자처럼 여겨진다. 실제로 십자군 전쟁 이전까지 기독교 세력은 이슬람에 철저하게 밀리는 입장이었지만, '칼 또는 코란' 이라는. 많은 학자들의 비판을 받고 있는 문구를 아무런 의심도 하지 않고 적어둔 것은 비판받을 만 하다.
  2. 단 이슬람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을 서술했다며 종교재판 시기에 살기 위해 이슬람으로 개종한 사람이 다시 기독교로 개종하는 것을 거부한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다. 이건 이슬람 세계가 아니라 스페인. 다시 말해 기독교 쪽의 문제다.
  3. 스페인 왕으로서는 카를로스 1세
  4. 오스만 제국의 술탄 쉴레이만 대제도 예외지만, 이쪽은 초상화를 별로 안 좋아하는 이슬람의 영향 때문이라나 뭐라나
  5. 건축, 교육, 언어, 문학 등등 다양한 방면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성군이다. 군사적으로 카를 5세에게 밀려서 그렇지, 내정만 놓고 보면 프랑스의 세종대왕이라 해도 조금도 지나침이 없다.
  6. 이라기보다는, 프랑수아가 프랑스로 초청하여 후원한 이탈리아 출신 화가들. 물론 프랑스인 화가가 그린 초상화도 있다.
  7. 애초에 '왜 하필 베네치아 화가였을까' 에 대한 의문도, 사료나 그림 등의 객관적인 증거에 기반을 두고 답을 내린 것이 아니라 자기 생각이라 쓰고 억측이라 읽는다을 써제낀 것에 불과하다.
  8. 시오노가 베네치아공화국 빠이기에 애정을 품고 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마침 '바다의 도시 이야기' 라는 제목으로 베네치아공화국의 역사에 대해서 쓰기도 했으니.
  9. 두 사람은 1521~1526년, 1527~1530년, 1536~1538년, 1542~1546년 이렇게 네 번 전쟁을 벌였는데, 1530년 시점에서 이미 카를은 이탈리아 거의 대부분을 정복. 더이상 전쟁을 할 이유가 없었다. 오히려 신성로마제국 내부에서 벌어지고 잇는 루터의 종교개혁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전쟁을 하지 않는 것이 훨씬 이득인 상황이었으며, 이후에 벌어진 두 번의 전쟁은 카를의 세력을 어떻게든 꺾어 보려는 프랑스의 처절한 몸부림에 지나지 않았다.
  10. 이에 대해서는 확인 후 수정바람
  11. 쉴레이만의 황후로 친아들을 황위에 올리고 싶어하는 휴렘 술탄의 음모 때문. 이에 대해서는 쉴레이만 대제 항목이나 휴렘 술탄 항목 참고.
  12. 이에 대해서는 아흐메트 1세 항목 참고. 참고로 메메드 2세라는 이름이 나오는 건, 그동안 관습으로 전해지던 황위 계승을 법제화한 사람이기 때문.
  13. 설령 한발 양보해서 '쉴레이만 때에는 이미 메메드의 법이 약화되었다' 라고 한다 쳐도(사실 전혀 그렇지 않았지만), 쉴레이만은 다른 후궁 소생인 무스타파 대신 휘렘 술탄에게서 얻은 아들들을 편애하다시피 했다. 무스타파는 일찌감치 변방 태수로 쫓아 보내고, 휘렘 술탄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인 메메드(이쪽은 이른 나이에 요절)나 셀림은 중요한 원정마다 데리고 다니며 직접 제왕교육을 하는 모습을 보인다. 물론 당시 오스만인들 사이에서는 무스타파가 다음 황제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식의 목소리가 높았지만 쉴레이만의 생각은 다른 데에 가 있었으니, '형 무스타파의 그늘에 가려' 운운은 쉴레이만 시대 오스만 제국의 사정에 대해 전혀 몰랐다는 말이 된다.
  14. 재미있는 점은 둘이 서로 붙는 일은 없었다는 것이다. 다만 제대로 붙었다면 술탄의 공공연한 후원을 받던 이슬람 해적의 완승으로 끝났을 공산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