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러코스터 타이쿤 시리즈/팬 사이트

1 개요

롤러코스터 타이쿤을 다루거나 다루었던 팬 사이트를 나열한 페이지.
예전에 영향력이 컸거나, 현재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이트만 추가바람.

2 국내 팬 사이트

2000년대 초에는 정말 많았다. 검색해보면 튀어나오는게 팬 사이트였고 활동량도 매우 높았던 편. 그러나 2000년대 중반부터 인기도 떨어지고 팬 사이트 인구도 감소했는데, 그에 대한 대비책으로 남아있던 국내 중대형 사이트들이 모여 롤러코스터 타이쿤 연합이라는 걸 만들었다. 그러나 이 대비책은 오히려 팬페이지 회원 간 친목질이 심화되는 부작용을 낳아 버렸다.

결국 초창기 설립된 국내 팬페이지들은 예외 없이 활동이 거의 중단되었고, 이를 대신하여 2004년부터 RCT School이 떠올라 2012년까지 국내 팬덤을 주도했으나, 롤러코스터 타이쿤 3D가 흥행에 참패하는 등 외부적인 악재와 함께 팬들의 학업 또는 직장 생활 크리 등으로 2013년부터 2015년경까지 침체기를 겪었다. 2015년 말에 잠깐 디시에서 롤코 붐이 일어나 롤코갤도 만들어지고, 타 놀이공원 제작게임도 각광받으면서 현재는 13~15년보단 약간이나마 활성화된 상황.

2.1 RCT School

RCT Revolution 21에서 활동하던 한 회원이 2004년에 설립한 네이버 카페. 애칭은 롤스쿨. 2012년까지 한국 팬덤을 주도했던 사이트로, 시리즈 발매 10여년이 지나면서 유저의 감소 등을 원인으로 침체기를 겪고 있다.
현재까지의 롤러코스터 타이쿤의 한국 팬사이트 중에서는 가장 많은 자료를 보유하고 있으며, 수준급의 실력을 가진 유저들이 많은 곳이다.

롤러코스터 타이쿤 뿐만 아니라 롤러코스터 시뮬레이션 전문 프로그램인 노리미츠도 다루고 있고, 2016년플래닛 코스터가 사전 공개되면서 플래닛 코스터도 함께 다루기 시작했다..

2.2 롤하트

2004년에 설립한 네이버 카페.

한때 RCT School과 자존심 경쟁을 할 정도로 활동량이 많았지만 2009년부터 서서히 활동량이 줄어들었다. 급기야 2011년 제2대 카페매니저에 의해 카페 주제가 휴대폰으로 급작스럽게 바뀌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현재 롤하트 카페는 카페 주제가 바뀔 당시의 다른 운영진들에 의해 새로 설립되었다.
여기에서 과거 롤하트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2013년 경에 카페 이름이 복구되었으나, 이름만 복구된 수준. 이름 복구하고 새로 옮긴 카페하고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이름 때문에 가끔 리그 오브 레전드 카페라는 오해를 받기도 한다.

2.3 아름다운 사람들의 타이쿤

통칭 아사타. 2000년 2월 29일 강정훈의 롤러코스터 타이쿤이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었다. 트랜스포트 타이쿤로코모션도 다룬다. 연합 멤버 사이트 중 하나였고, 운영자가 국방부 퀘스트를 수행중인 다른 연합 멤버 사이트의 운영까지 대신 해주기까지 했었다. 요즈음 롤러코스터 관련한 자료는 정말 가끔 올라온다.

2.4 지마의 행복한 환상

1편 초창기부터 존속한 역사깊은 사이트로 원래는 지마의 롤러코스터 타이쿤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었다. 관련 정보 제공에 충실하지만 업데이트가 별로 안되는 편이었고, 2005년 3편 관련 정보 업데이트 이후 전혀 업데이트가 안되고 있었다가 2013년 8월에 같은 운영자가 관리했던 자매 사이트에 통합되면서 같이 리뉴얼되었다. 심지어 최신 트렌드인 반응형 웹을 지원, 모바일에서도 큰 불편함 없이 볼 수 있게 되었다. 이건 사이트 운영자의 직업이 다름아닌 웹 프로그래머 및 웹 퍼블리셔이기 때문.

운영자가 사이트를 설립할 때부터 직장인이었다. 현재 남아있는 다른 사이트들은 대부분 설립했을 당시 운영자가 초등학생 또는 중학생인 것과 대조되는 부분.

개인 사이트로서 생긴 지 1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이트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감격해 하는 사람들의 글이 방명록을 가득 메우고 있고, 질문 게시판은 유저들의 공간으로 아직도 여기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트랙 자료실은 개방되었다가 계정 용량이 다 차버리면서 업로드는 막혀버렸다.

2.5 토할때까지 타이쿤

2007년 개설된 3편 중심의 팬 사이트. 개설 초기에는 다음 카페에서 3편만 다루었으나 이후 롤러코스터 타이쿤의 전편과 노리미츠를 다루게 되었고, 네이버 카페로 이전이 되어 그 절차가 사실상 마무리 되었다. 그 과정에서 게시물 수 증가가 폭발적이었던 덕분에 RCT School과 견줄만한 카페가 되었다.

2013년 초부터 게시물 수나 댓글 수나 전체적으로 회원들의 활동이 조금씩 줄어들었다.
2013년 3월부터는 심시티도 다루게 되었다.이때 일부 기존회원들의 반발이 있었으나 별 마찰 없이 병행운영 하기로 결정했다.

2.6 TELKLAND

2001년에 개장한 사이트 사이트로 연합을 주도했던 곳이다. 롤러코스터 타이쿤과 함께 OpenTTD도 같이 다루고 있지만 사실상 OpenTTD 중심의 내용만 주로 올라오고 있다. 이름이 자주 바뀌었는데 지금의 이름을 쓰기 시작한 것은 2009년부터. OpenRCT2이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OpenRCT2를 함께 다루고 있고, 운영자는 OpenRCT2의 한국어 번역에도 참여하고 있다.

2.7 Ala's View World

김형진의 롤코타 세상이라는 이름을 달았던 2000년대 초에는 한창 날리던[1] 사이트였으나 이 사이트의 호스팅을 맡았던 무료 서비스가 갑자기 중단 되어버리고, 설상가상으로 학업 크리까지 거쳐 잠깐 명맥이 끊겨버렸다.
이후 개인 홈페이지로 명맥을 이어가다가 팬 사이트로 바꾸면서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이 와중에 로코모션트랜스포트 타이쿤만 다루고 롤러코스터 타이쿤은 다루지 않기도 했었다. 개인 홈페이지로 다시 바뀌면서 롤러코스터 타이쿤을 다시 다루기 시작한 모양.

2.8 RCT Revolution 21

통칭 롤레. 1편 확장팩 시절부터 존재했었던 사이트이며, 가장 영향력이 높았다고 할 수 있는 사이트. 연합 멤버 사이트 중 하나였고, 미려한 홈페이지 디자인, 수많은 굇수들의 왕성한 활동으로 유명했으나 안타깝게도 운영자의 학업크리 및 계정 증발 등으로 사라졌다.

현재 운영자는 블로그 스킨 제작 관련 서적을 몇 권 내는 등 웹 디자인쪽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롤러코스터 타이쿤은 완전히 접었다 한다. 텔크랜드 처럼 과거 이름이 자주 바뀌었다.[2]

2006년 6월 당시의 사이트 모습. '미려한 홈페이지 디자인'이 무슨 말인지 실감할 수 있다.

2.9 디시인사이드 롤러코스터 타이쿤 마이너 갤러리

통칭 롤갤. 2016년 1월 14일 생성되었으나 초기엔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5월경부터 다음팟에서 롤코 방송인으로 유명한 Funz[3]가 갤러리를 홍보하면서 글리젠이 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아직 메이저 갤러리들에 비하면 글은 미미한 수준.

자작 시나리오가 올라오거나, 가끔 팁같은 글들이 올라온다. 하지만 이 갤러리를 펀즈방송 알리미(...)로 쓰는 사람들도 있다.

3 해외 팬 사이트

영어하고 실력에 자신이 있다면 들어가 보자. 괴수들이 정말 바글바글하다.

3.1 New Element

1편과 2편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해외 팬 사이트. 보수적인 성향이 있어서 색다른 시도가 들어간 작품은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3.2 shyguy's World

3편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해외 팬 사이트. 해외 팬 사이트이지만 한국어 전용 포럼이 있다. 한국어를 모르는 사람들도 이 포럼에 와서 스샷을 보고 간다.

3.3 Wikia 롤러코스터 타이쿤 위키

모든 시리즈를 다루는 위키. 문서마다 그리 많은 정보는 들어있지 않지만, 일단 대부분 요소들이 기재되어 있다.
  1. 하루에만 1000명이 접속할 정도. 당시 다른 사이트는 하루에 200명을 간신히 찍을 정도였다.
  2. 지녕이의 롤러코스터 공원(2000~2001) 지녕테마파크 (2001) Extreme Y&L(2002~2003) Extreme Wantyou(2003) Wantyou!!:D(2003~2004) RCT Revolution 21 (2004~2005)
  3. 펀즈위키의 창립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