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도전

500px

1 개요

정도전이 아니다! 사람 이름도 아니다!

명도전은 춘추전국시대 그 중에서도 전국시대 때, 동아시아에서 통용되던 화폐이다. 통상 연나라의 화폐로 알려져 있으나 한반도와 요동에서 더 많이 발견되어 고조선의 화폐라는 설도 있다. 손칼모양의 청동화폐로 ‘明’자가 장식되어 ‘명도전(明刀錢)’이라 부른다.[1]

2 내용

과거 국정교과서에서 명도전의 이미지는 명도전 한개를 확대해놓은 흑백사진이였기에 자칫 명도전이 도축용 처럼 커보여서 살상용 무기처럼 보이기도 했다.[2] 하지만 위 사진처럼 모양만 낸 것으로 그렇게 날카롭지도 않고 사실은 작은 화폐이다. 명도전 하나의 무게가 현재의 100원 동전 3개 정도된다.

명도전은 형태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칼등이 활 모양으로 곡선을 그리고, 뒷면에 지명 혹은 숫자가 장식되어 있는 것 [3] 둘째, 첫째와 비슷하게 등이 활모양으로 휘고, 숫자 이외에 좌우(左右)자 등이 장식된 것[4] 셋째, 등이 각을 이룬 것으로 뒷면에 좌우(左右)·외(外) 등의 문자가 있고 분포지역은 둘째와 비슷하다.

주요 발견지로는 요동한반도지역 60개소로 기원전 3-2세기경으로 추정되는 연화보-세죽리유형의 문화가 분포하는 요동-서북한 지역에 집중 분포된다. 이들 명도전 유물의 연대를 기원전 3세기대로 예측한다면, 이 지방이 나라의 영향권에 있을 당시, 기원전 2세기대이면 교체기나 또는 위만조선 당시 이 지역에 거주하던 주민이 매납한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50 ~ 수천개가 한꺼번에 출토된 경우가 대부분인데 그 중에는 50개씩 묶어 2,000여 개를 상자나 단지 속에 매납한 사례가 많다.[5]

자매품으로 오수전, 반량전이 있다.
  1. 이 글자를 '명'(明)이 아니라 '언'(甗)으로 보기도 하는데 명으로 볼 경우에는 조나라나 연나라의 지명으로 해석되고 '언'으로 보는 경우는 연나라의 다른 이름으로 해석된다. 고향이 어디냐?
  2. 한국사 수업시간마다 칼을 어떻게 돈으로 썼냐는 질문이 쏟아졌었다.
  3. , 나라 지역인 산동성, 하북성 일부에 분포한다.
  4. 나라와 인접한 지역인 하북성, 내몽골, 요령(遼寧)지역, 그리고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 분포한다.
  5. 그 대표적인 예가 평북 영변 세죽리와 전천군 전천읍 출토 명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