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호 유선형특실 (새마을호 격하형 무궁화호 특실 객차)
Streamlined first class of Mugunghwa train (Mugunghwa-ho First class coach downgraded from Saemaeul train)
セマウル号下げ型ムグンファ号特室客車
이 문서에서는 철도 동호인 들이 흔히 부르는 명칭인 '새마을호 격하형 특실 객차' 로 표기한다.
1 개요
새마을호 격하형 특실 객차는 중앙선과 태백선, 영동선을 운행하는 무궁화호 열차의 1호차에 특실 객차로 투입되며 원래는 새마을호 차량이었지만 내구연한 문제때문에 결국 무궁화호 특실로 격하해서 운행중이다.[1]
2 외부 모습 및 차량 번호
파일:IMG 3748 0000250356ms.png
0.1초 새마을
객차 외부 모습이다. 유선형 객차라는 이름에 걸맞게 차체가 유선형으로 날렵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객차의 차량 번호는 11280부터 11290까지 있는데, 이 중 11286에는 방송실이 있으며, 11280과 11281은 1991년에 제작되었다.
방송실이 있는 없든 간에 안 켜지는 LCD 모니터 좀 어떻게 안 되겠니, 코레일?
3 내부 모습
파일:IMG 5409 0000010496ms.png
객차 내부는 이렇게 생겼다. 사실 이 열차는 새마을호 일반실과 동급 객차이므로(실제로 새마을호 일반실 객차였다.)
새마을호 일반실과 완전히 똑같은 설비를 갖추고 있다. 특히 좌석은 이름값 하는 새마을호의 좌석만큼 안락하고 편하다.
통로문 위쪽에는 새마을호 시절에 코모넷 방송용으로 사용되었던 LG디스플레이가 만든 LCD가 달려 있으나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는 문구와 함께전원이 꺼져 있다.
4 운행 구간
경우에 따라 새마을호 격하형 특실 객차가 들어갈 수도 있고, 해태중공업 특실 객차가 들어갈 수도 있다.
- 청량리-안동, #1601~#1610 (홀수번호가 안동방면, 짝수번호가 청량리방면)
- 청량리-제천, #1627~#1628 (홀수번호가 제천방면, 짝수번호가 청량리방면)[3]
- 청량리-정동진, #1631~#1641 (홀수번호가 정동진방면, 짝수번호가 청량리방면)[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