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

無意識[1]
Unconsciousness

자신의 행위에 대해 자각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마디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각하지 못하고 저절로 행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자신의 행동이나 지각에 대해 의식하지 못하는 상황을 이야기하는 것이므로 인간 본연의 충동(리비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는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쓰인다. 에두아르트 폰 하르트만의 무의식의 철학,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무의식의 성적 충동으로서의 해석과 칼 구스타프 융의 집단 무의식에 대한 연구가 주요한 연구이다.

현대 심리학에서는 이 개념이 비과학적이라고 생각하여 중시되지 않으며 무의식의 존재에 대하여 학자간의 의견차이가 분분한 영역이다.[2]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무의식의 존재 자체는 과학적, 경험적으로 명백히 입증된다. 아래에서도 거론된 호흡 등 불수의적인 생리활동은 물론, 스포츠나 위급상황시의 반사적인 행동, 특정 상황에서의 왠지 모를 위화감 캐치 등등. 논란이 되는 부분은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좁은 의미의 무의식이다. 사실 의식과 무의식을 분간하는 것 자체가 쉽지는 않다.

라캉철학에서는 철학에 인식론 부분에서 이 개념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 유럽의 주된 철학 사조에서는 인정하지 않고 있는 영역이다. 현재 유럽 철학의 양대 사조는 현상학과학철학이며, 물론 칼 구스타프 융의 집단 무의식이라는 개념이 현대 철학 사조의 인식론적 부분에 인류학적인 측면에서 영향을 미친 것은 확실하나, 결국은 의식의 개념 안에서 해석하고 있다.

현상학에서는 무의식을 인정하지 않으며 이러한 부분도 의식의 작용으로 해석하여 기술하고자 하고 있으며, 과학철학 분야에서도 이러한 소위 무의식이라 불리는 활동을 인간 본연의 상상력의 작용으로 보고 있다.

생물체 대부분이 무의식적으로 잘 하는게 있다면 바로 쉬는것이다. 하지만 이 문장을 읽은 순간, 당신은 숨을 쉬는걸 인식하게 된다 호흡은 심장박동 등과 같은 다른 불수의적 생리활동과 차이가 하나 있는데, 무의식적으로도 가능하고 의식적으로도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래서 의도적인 호흡을 통한 심신이완의 방법이 민간에서든 임상에서든 흔히 사용된다.

동방지령전코메이지 코이시가 사용하는 능력이기도 하다.

  1. 이 단어는 일본의 소설가이자 영문학자였던 나쓰메 소세키가 조어한 것이다.
  2. 다만 인정하는 쪽은 주로 '적응 무의식'이라고 해서, 실험, 관찰을 통해 통계적으로 검증가능한 무의식에 대한 이론을 전개하는 쪽도 있다. 여기선 개별 사례연구 같은 방법론은 극도로 비판적이고, 생리학이나 뇌과학 등과 열심히 접목해 보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