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장군 | ||||
Giant water bug[1] | 이명: | |||
Lethocerus deyrollei Vuillefroy, 1864 | ||||
분류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Arthropoda) | |||
강 | 곤충강(Insecta) | |||
목 | 노린재목(Hemiptera) | |||
아목 | 노린재아목(Heteroptera) | |||
과 | 물장군과(Belostomatidae) | |||
속 | 물장군속(Lethocerus) | |||
종 | ||||
물장군(L. deyrollei) |
이름 그대로 장군이자 수생곤충계의 왕. 제너럴 워타 진짜 왕은 난데 성충 되고나서는 밖으로 나가니까 진짜 수생곤충계의 왕은 아니다
몸 길이는 약 몸길이 48∼65mm 정도로 노린재 중에서 가장 크다.[2] 한국·일본·중국·타이완·아삼주에 분포하며 몸빛깔은 회갈색 또는 갈색이다. 머리는 몸에 비해 작으며, 겹눈은 광택이 나는 갈색이다. 촉각(더듬이)은 4마디이지만 각 마디의 옆으로 여러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겹눈 밑에 가려져 있다. 주둥이는 짧고 크다. 앞가슴등판 뒤쪽에 가로홈이 있고, 그 앞쪽은 중앙선을 따라 오목하다.
작은방패판은 세모꼴이고, 중앙에 가로융기선이 있다. 앞날개 밑반부는 단단하고, 끝반부의 날개맥은 대체로 평행하지만 불규칙하다. 배면은 중앙선을 따라 솟아올라 있다. 앞다리는 포획다리로 변형되어 끝이 1개의 발톱으로 끝나 수생동물을 잡아먹는 데 알맞다. 가운뎃다리와 뒷다리는 종아리마디와 발목마디에 긴 센털이 있고 수중생활에 알맞게 변형되었다. 발목마디는 납작하고 3마디이지만 제1마디는 퇴화해 흔적만 남아 있다. 배끝에는 잘 늘어나는 짧은 호흡관이 있다.
특이한 산란행동과 부성애로 유명하다. 산란할 때에는 물 위로 나온 물풀이나 막대기에 70∼80개의 알을 무더기로 낳아 붙여놓는다. 따라서 알에 수분을 공급해 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수컷이 한밤에 물 밖으로 나와 자신의 몸에 붙은 물방울로 알에 수분을 공급한다. 이는 같은 과인 물자라도 비슷한 습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물장군은 물밖의 알을 돌보고 물자라는 알을 등에지고 돌본다.
또 수컷은 암컷이 가까이 오면 물 속에서 나와 몸 전체로 알을 감싸듯이 보호한다. 이는 암컷이 알덩어리를 떼어내거나 먹기 때문이다. 암컷은 수컷을 밀어내고 알덩어리를 없앤 후 다시 교미해 다른 식물에 알을 낳아 붙인다. 조금 늦게 나오는 유충도 있지만 대부분이 10일 이내에 나온다. 부화시기가 오면 알은 2배로 커지면서 껍질에 틈이 생긴다.
파일:Attachment/물장군/Example.jpg
케이론장수풍뎅이와 물장군. 사진만으로도 그 위엄을 느낄 수 있다.[3]
늪이나 연못 또는 하천의 고인 물에서 서식한다. 작은 물고기나 올챙이, 개구리 등 수생동물[4]을 날카로운 발톱으로 잡아 체액을 빨아먹는다. 뿐만 아니라 어지간한 크기의 물고기도 사냥하며 소형 크기의 거북이도 사냥이 가능하다. 가재잡는 물장군 성충은 5∼9월에 나타난다. 그야말로 물 속에서는 최강자이며 일단 저 앞다리에 걸리기만 하면 대형 참개구리는 물론, 두꺼비도 살아남기 힘들다.
전갈도 그냥 발라버린다전갈꼬리는 장식입니다
중국, 일본[7]이나 동남아시아에서는 길거리에서 요리해서 팔 만큼 인기있는 안주거리라고 한다. 또한 물장군을 이용해 간장으로 만들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먹는곳이 있다고 하는데, 전통적으로 먹어왔던건지, 일제시대때 전해진 식문화(?)인지는 알 수 없다.물론 지금 한국에서는 절대 먹어서는 안된다
과거 논이나 물웅덩이에선 흔히 발견되어 어린이들이 채집하던 추억 속의 곤충이었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물장군들은 환경오염으로 인해 서식지가 빠르게 줄어 육지에선 거의 사라졌고, 2012년 5월 31일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현재는 제주도와 강화도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발견되는걸로 알려져있다. DMZ 지역인 경기 파주에서 발견되었다는 소식 2016년 현재 충북 청주 산남동 두꺼비 생태공원에 물장군이 널려있다. 그나마 있던 서식지에서도 가로등 불빛쪽이나 도로로 날아들어 밟혀죽거나 로드킬당한다. 약간 충격적인 실화로 2009년경 서해안 지역에 위치한 육군 소속 부대의 목욕탕 바닥(...)에서 대형 성체 물장군이 발견된 적이 있다.도대체 거긴 어떻게 들어갔지 장군의 지극한 부대원 사랑(...)
보기보다 비행능력이 좋고 빛에 몰리기 때문에 민가 가로등 앞에 떨어지기도 한다. 태국에서는 위처럼 아예 등화로 채집한 다음 튀김으로 만들어 판다(...). 연안 어선의 불빛을 보고 갑판에 착륙했다는 믿기지 않는 이야기도 있다.함재기?
- ↑ 물자라도 포함 된다.
- ↑ 국내 2위는 게아재비, 3위는 장구애비, 4위는 왕침노린재
- ↑ 단 사진의 물장군은 타이완에 사는 Lethocerus indicus 이며 우리나라의 물장군보다 훨씬 큰 종류이다.
- ↑ 물방개등의 수생곤충도 먹이범주에 들어가는지는 의문이다. 동물이 주 사냥감인 듯.
- ↑ 단, 올챙이의 경우라 성체 황소개구리한테는 또 모른다. 물장군이 최대 두꺼비까지 제압할 수 있긴 하지만, 황소개구리는 두꺼비보다도 훨씬 크며, 말 그대로 커도 너무 크기 때문.
- ↑ 이 사진이 바퀴벌레튀김으로 잘못올라온 적이 있었다.
- ↑ 흔히 중국은 의자, 책상, 자동차를 제외하고 다리달린것은 다 먹는다고 하는데. 일본도 그에 못지 않다. 개구리를 먹는정도면 이미 말 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