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褕
뻑유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2 생애
대부경을 지내면서 고려의 여인들이 원나라에 공녀로 보내지는 문제로 인해 오행을 내세워 동방은 나무에 속해서 생수[1]가 되는 것은 8[2]이며, 홀수는 양이고 짝수는 음인지라 우리 나라에서는 남자가 적고 여자가 많은 것이라 했다.[3]
박유는 일부다처제를 도입할 것을 주장해 품계에 따라 차등을 두어 평민은 1처 1첩만 두게 하고 본처 이외에 다른 처의 아들에게도 벼슬을 할 수 있을 것을 주장했는데, 이를 안 부녀자들이 박유를 원망했다. 연등회가 벌어지자 박유가 충렬왕의 행차로 호송할 때 부녀자들이 "첩을 두자는 자가 저 요망한 늙은이다"며 손가락질하면서 욕했으며아마도 가운데 손가락으로 가리키지 않았을까 박유에게 뻑유를, 재상 중에서 공처가도 있어 박유의 건의는 시행되지 않았다. 이는 고려사에도 나오는 실제 기록이다. 참고로 고려사의 이 기사는 고려시대 여성의 지위에 대해 언급할 때 자주 인용되는 기록이다.
3 창작물
스포츠 경향에서는 엽기인물 한국사라는 것을 연재해 대화 형식으로 나오는데, 19 ~21편인 부국강경을 위해선 첩을 두어야 합니다에서 쌩뚱맞게 튀어나온 박유의 오행설, 남자부족 원인설은 조정 대신들이 박유가 좀 튀어보려고 나선 거라 생각했지만 박유가 만만찮은 인간이라 하면서 박유가 국가적으로 남자를 많이 출생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나온다.- ↑ 주역의 하도에 기초해 오행은 각각의 수를 가지고 있으며, 암흑과 혼돈의 우주 공간에서 창조되는 기운의 순서를 말하는 것으로 1은 물, 2는 불, 3은 나무, 4는 금속, 5는 흙 등 고유한 수를 가져 이를 생수(生數)라 한다.
- ↑ 생수와 5를 합쳐서 그 수를 이루는 것을 성수(成數)라 하고 물, 불, 나무, 금속, 흙으로 만든 생명체는 각각 6, 7, 8, 9, 10의 수로 이루어지며, 성수를 만들 때 각각 오행의 수에 5를 더하는 것은 흙의 기운이 포함되어야 하나의 물체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 ↑ 홀수는 양은 남자, 짝수는 음은 여자를 뜻하는데, 박유의 주장에는 홀수인 생수에 해당하는 3보다 짝수인 성수에 해당하는 8이 더 크다고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