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가 다루는 내용은 대한민국 헌법 및 법령에 따라 제정 또는 승인된 법률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따라서 신중하고 사실에 근거해 편집해주시기 바랍니다. 왜곡된 사실이나 허위 사실을 게재하는 경우 경찰 · 검찰 및 기타 관계 기관의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우만위키는 정확하고 책임있는 법률지식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 문서의 정보는 기초 상식 및 학술적인 설명으로만 이용해주시기 바라며, 이와 다른 용도로 이용해 불이익이 발생한 경우 우만위키는 법적으로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이 문서는 법률의 개정과 상이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 법조인에게 법률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法服
1 개요
법관 등이 법정에서 입는 옷. 일종의 가운 형태로 되어 있고, 넥타이(여성은 에스코트타이)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옛날에는 법모까지 쓰던 시절도 있었다.[1] 당연히 나라마다 다르고, 우리나라에 한정해 보더라도 시대에 따라 제식에 변천이 있었다.
이하에서는 우리나라 법복의 제식을 대략적으로 설명한다. 다른 나라 법복에 대해서는 아시는 분이 추가 바람.
2 법관, 사법보좌관 및 재판참여관의 법복
'법관, 사법보좌관 및 법원사무관등의 법복에 관한 규칙(대법원규칙)'에 규정되어 있다.
(옛날에 사용되던 법복들.# 법원역사관에서도 볼 수 있다.)
(신임판사 임용식에서 법복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
법관, 사법보좌관, 재판참여관의 법복은 거의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르게 생겼다.
법정에 가 보면 법대 앞에 아무래도 판사는 아닌 것 같은 사람이 법복을 입고 앉아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사람의 정체는 재판참여관[2]이다. 유심히 보면 재판을 진행할 때 뭔가를 적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법정록'에 재판 진행 내용을 메모했다가 그걸 갖고 기일조서(변론조서, 공판조서 등)를 꾸미는 것이다.
3 검사의 법복
'검사의 법복에 관한 규칙'(법무부령)에 규정되어 있다.
(신임검사 임용식에서 법복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
딱 보기에도 법원 것과 분위기는 비슷한데 생긴 게(특히 장식단의 색깔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끔 공판기일에 검사석에서 법복을 입지 않은 사람이 나와서 증인신문같은 것을 공판검사와 함께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 사람의 정체는 그 사건의 수사검사이다.
4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법복
'헌법재판소 재판관의 법복에 관한 규칙'(헌법재판소규칙)에 규정되어 있다.
5 변호사의 법복
1966년 3월 이전에는 변호사도 법정에서 법복을 입고 법모를 착용하여야 하였으나(구 판사·검사·변호사및법원서기복제규칙(1966. 1. 15. 대법원규칙 제268호로 폐지), 지금은 법복을 입지 않는다.
2011년에 이르러 서울지방변호사회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