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밀양을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전통 춤. 전통 춤 이름이 뭔가 좀 거시기하지만 우리가 아는 그 의미가... 맞다! 조선시대 당시 계급 차별의 한을 풀기 위해 서민들이 양반을 병신으로 묘사하여 비꼬던 춤이었다. 파생된 것으로 해골 병신춤(...)이 있다. 이쪽은 해골 분장을 하고 추는 춤이라고. 실은 양반을 병신으로 묘사해서 비꼬는 게 저 지방의 저 병신춤에서만 있는 것도 아니고,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실린 봉산탈춤에서도 양반 3형제 중 막내가 벙어리 + 언청이 + 지적장애 콤보로 나오는 등 그냥 저 시대 탈춤 자체가 저랬다.
일제강점기 당시[1] 장애인 비하라는 빌미로 집회단속령을 통해 금지되었지만 현대에 들어 공옥진에 의해 부활했다.
현대에도 장애인 비하의 소지 때문에 종종 문제시되곤 한다. 공옥진의 병신춤 공연 역시 장애인 인권 단체의 항의로 인해 난항을 겪었었고 2000년에도 대학가의 한 코미디 공연이 병신춤을 춰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양반에 대한 저항 의식이 담긴 춤이라지만, 양반을 비꼬기 위하여 장애인(병신)을 흉내낸다는 것 자체가 장애인에 대한 비하의 의미다. 설사 당시대 사고의 한계라고 해도 말이다.
당대의 시대 상황을 반영한 문화 유산임으로 마땅히 보존해야 할 것이나 공개적으로 장애인을 비하하는 공연이 대중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이에 대한 별다른 문제의식이 없을 만큼 그 당시 사회의 약자에 대한 배려가 모자란 시대상을 반영했다는 점도 동시에 기억해야 할 것이다.[2]
장애인 비하에 대한 비판과 시민의식이 담긴 전통문화의 보존 중 무엇을 더 우선시할지는 알아서 판단하자.
단어의 임팩트(...) 때문인지 개그 소재로 사용되는 일이 많다.
- ↑ 뭐 지금도 다른 의미로 병신인 일본산 방사능 괴생명체들이 태클걸긴 한다. 혐한류 참고.
- ↑ 혹자는 양반관료 중 장애인이 있었다는 얘기 등을 들어 조선시대가 현대사회보다 장애인을 우대했다는 얘기를 하곤 하지만 양반관료나 양반가문은 전 인구의 10%도 되지 않아 주류 문화라고는 볼수 있겠지만 조선의 보편적인 사회상을 보여준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양반 관료 중 장애인이 있었다는 사실은 당시의 인권수준이 높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양반가문의 일원이라면 계급의 힘으로 장애를 극복할 수 있을 만큼 조선사회에 계급제의 잔재가 많이 남아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에 불과하다.
- ↑ 원래 이 노래 제목은 'The Creep' 인데 이게 한국에 들어오면서 어떤 번역가가 가사의 'Do The Creep' 을 '병신춤을 춰' 라고 번역해 버린 것이다. 번역을 떠나서 이미 병신춤으로 보이는 춤을 추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