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골

骸骨 / Skeleton

1 설명

우리의 미래

시체 부분을 이르는 통칭. 혹은 뼈 부분만 있는 사람을 이르는 말. 참고로 사람은 성인을 기준으로 206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고 각 개체마다 몇 개씩 차이가 있다.

경골은 사람이든 동물이든 대부분 몸에서 가장 단단한 부위이며 무기질이므로 부패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미라가 된다든가 하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다들 뼈만 남는다.

다만 엄밀히 말해 뼈 중량의 절반 이상은 유기물질이다. 단지 뼈 조직 자체가 매우 치밀한 조직이므로 다른 조직에 비해 부패가 매우 느리며 조직에 탄산칼슘이나 인산칼슘염이 침착된 상태라 부패가 진행되더라도 형태가 무너지지 않는 것 뿐이다. 뼈의 구조는 마치 철근 콘크리트처럼 유기질로 된 구조에 무기질이 침착된 것이라 유기질이 전부 소실된 뼈의 경우 꽤나 쉽게 부스러진다.

사람의 뼈대를 연구하는 분야를 골학(Osteology)이라고 하며, 주로 체질인류학에서 기본연구주제가 된다. 골학에서는 사람의 뼈대연구를 통해서 개체의 성별, 나이, 질병 등의 특징을 분석, 분류한다.

해골이라 할 때 머리 부분의 뼈인 두개골만을 칭하는 경우도 많다. 사람의 두개골이라는 것이 사실상 죽은 시체의 것인지라 대체로 죽음을 상징하는 표식으로 쓰이며 대부분이 이를 드러내고 활짝 웃는 느낌이라 섬뜩한 느낌을 주는 편이다. 해적선의 졸리 로저에 해골을 그린 것으로 유명하다.

르네상스계몽시대에 유행한 허무와 죽음에 대한 상징들을 모은 바니타스(Vanitas)라는 정물에선 주요 정물로써 다루어진다. 중세 이후 변형된 허무주의의 의미인 메멘토 모리를 뜻한다. 햄릿의 자신이 어릴 적 있던 어릿광대 요릭의 두개골을 들고 고뇌하는 장면은 유명한 문학 모티브. 이 때문인지 서구에서는 우리나라 문화와는 사뭇 다르게 유독 해골의 상징적 의미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다.

추가로 해골이 죽음의 상징이 아니라 먼저 간 선조의 흔적으로서 경외시 되기도 했는데 카타콤이 세워진 이유가 일종의 그런 것이었다. 후손들이 와서 '저기 옆에서 몇 번째 있는 해골이 너네 할아버지고 그 옆은 너네 삼촌(…)' 같은 식으로 선조들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현대 기준으로는 으시시해 보일 수 있으나 유럽에서는 의외로 근대까지도 공동묘지가 주거지 근처에 있다던가 마을에 지하 묘지가 있다던가 하는 경우를 쉽사리 볼 수 있었다. 오세아니아나 아프리카에서도 부족에 따라 조상의 해골을 집에 모셔두거나 심지어 배개(물론 딱딱하니까 여러 천을 덮어서)로 쓰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조상의 혼을 모시고 곁에 둔다는 뜻이 있었다. 아니면 적의 해골을 바깥에 둬서 액땜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지금도 일부 부족들은 조상의 해골을 저렇게 모시곤 한다. 결국 해골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알고보면 서구의 문화적 소산일 수 있다는 것.

한국에서는 끽해야 고인의 머리카락이나 화장 후 뼛가루, 또는 사리를 모시지만, 서양의 경우에는 과거 고인의 장기나 신체 일부를 따로 표본화 해 모시기도 했다. 위 두개골처럼 팔뼈나 심장 등등. 다만 한국도 원효회고상 같은 문화가 있었던 걸로 보인다.

원효대사는 이 해골에 담긴 물을 마시고 깨달음을 얻으셨다 한다. 의상대사와 당나라로 유학을 가기 위해 여정을 떠났다가 하룻밤은 동굴에서 묵었는데 한밤에 갈증으로 인해 깨어났는데 컴컴해서 앞이 잘 안 보일 때 어디선가 줏은 바가지에 담긴 물을 마시고 개운함을 느끼며 잠들었었다. 그런데 다음날 아침 날이 밝았을 때 보니 그것이 해골에 담긴 물이였고 처음엔 기겁했으나 잠시 생각해보니 '마음 먹기에 따라 해골에 담긴 물이 바가지에 담긴 물이 되기도 하고 바가지에 담긴 물이 해골에 담긴 물이 되기도 하는구나' 하고 깨달아서 유학을 포기하고 대신 이러한 마음가짐을 널리 설파하는데 집중하였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대중매체에서 해골을 표현할 수 없도록 규제하고 있다. 잔인함과 미신 숭배를 촉진한다는 이유로 추정되는데[1] 한국에서는 해골 모양이 어린이용 매체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상당히 규제가 엄격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자국에서 만들거나 외국에서 수입하는 모든 게임, 드라마, 영화 등의 매체에서 등장하는 해골을 철저히 검열한다.

2 대중문화에서

호러 영화 등에서 단골 출연하기도 한다. 또한 위험한 요소에 대한 상징 혹은 그것에 대한 경고 표식으로도 쓰인다. 또한 판타지소설 등에서는 좀비와 함께 언데드의 대표 주자로 활동한다.

파일:Attachment/he2.jpg

무한도전에서 멤버 혹은 게스트개그 일격(…)을 당하거나 모욕을 받았을 때는 해골을 먹는다[2]. HD방송 이전에는 심벌소리와 함께 먹었으며 위력이 강할수록 x숫자[3][4][5]가 커지거나 연타 혹은 난타로 얻어맞는다. 가끔 마스크를 쓰거나 냄새를 풍기거나 하는 등의 바리에이션으로도 나온다. 해골송도 있다. 그래서 해골만 보면 무한도전이 떠오른다는 사람도 몇몇 존재한다 2010년 레슬링 특집 WM7 쯤부터는 3D CG를 이용하면서 이 효과가 더 커졌다. 이제는 총으로 해골을 탕하고 쏴버린다.

2014년부터는 해골이 흔들리고 입이 벌어지는 등 애니메이션 효과가 추가됐다. 이 해골 임팩트가 컸는지 이후 놀러와, 뜨거운 형제들에서도 해골을 종종 먹인다.

600px

참고로 라디오 스타에서는 뼈다귀가 이 해골의 역할을 수행했으나, 해골이 없어진 이후로는 뭔가가 와르르 쏟아진다.

여담이지만 다른 예능프로그램에서는 꼬인 실뭉치 같은 그림이 해골의 기능을 하며, 폭탄이 터진다거나, 날아오는 표창에 맞거나, 냉장고가 날아와 머리에 직격하며 음식을 쏟아내는 경우도 있다.

가상의 세계관들에선 어째선지 두개골들을 모으는 자들이 종종 보인다. 적을 죽이고 나서 그 증표로 신체 일부를 떼어가는 경우는 비문명화 세계에서 종종 있어왔던 일인데 그 중에서 특히 두개골이 시각적 임팩트가 가장 강력해서가 아닐까 싶다. 다만 역시 두개골이라는 건 시각적으로는 흉흉한 물건인지라 두개골을 모으는 취미를 지닌 존재들은 십중팔구 '악역'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웬만한 판타지적 세계관 내에서 활개치는 마녀강령술사가 있다. 또한 각종 몬스터나 요괴, 귀신들도 두개골을 모으는 경향이 강하다. 주로 두개골을 모아서 장식용 혹은 주술용으로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장식용으로 쓰는 경우도 각양각색이라서 깃발이나 창, 장대에다 꽂아놓아 세워두거나 그걸로 마법 지팡이를 만들어 들고 다니거나 잔뜩 쌓아서 그 위에 올라앉아있거나 벽에 구멍을 내서 거기 박아놓는다던가 아예 그걸로 회반죽을 쳐서 벽을 쌓는다던가 들고 다니거나 줄로 이어서 팔찌, 목걸이처럼 두르고 다니기도 하고 어깨 보호구나 투구갑옷으로 쓰기도 하고 뿔이나 뾰족한 것이 나있으면 거기다 한두어개 꽂아놓기도 하고 두개골 위에 양초를 올려놓아서 촛대로 쓰기도 하며 안에 등잔을 넣어 들고 다니는 등불로 쓰기도 하고 오다 노부나가같이 받침대를 달아 컵으로 쓴다거나[6] 줄을 달아 양동이처럼 쓰기도 하고 고대 중국에서나 유목민 사회에서는 적국 왕의 두개골을 가지고 요강을 만들기도 했으며[7] 이나 거미 등 자기가 기르는 애완동물의 집으로 쓰기도 하고 문 앞에 주렁주렁 달아서 흡사 처럼 쓰기도 한다. 정말 창의적인 바리에이션이 다양하다. 굳이 악역이 아니더래도 해골 장식을 가진 인물들이 나올 정도. 굳이 두개골을 모으지 않더라도 두개골이 잔뜩 그려진 복장이나 해골 디자인을 채용한 장식품이나 장비를 입고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

Warhammer 40,000에서는 어떤 종족이나 병종의 힘을 묘사할 때 '인간의 두개골을 한 손으로 으스러뜨릴 수 있는 정도의…'라는 표현이 번번히 등장한다. 가히 기본소양 수준.

카오스 신 코른의 추종자들과 코른의 카오스 데몬들이 있다. 피와 용맹의 신이지 해골의 신이 아니건만 다들 열심히 갖다 바치고 있고 코른도 이를 좋아한다. 상기한 대로 승리의 증표로 쓰이기 때문이 아닐지 싶다. 오크들도 머리장대라고 해서 자신이 쓰러트린 적의 머리를 모으기를 즐긴다.

또한 인류제국에서 장식물이나 기계 들에서도 해골 모양이나 혹은 실제 해골을 쓴 것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황제의 분노를 상징한다는 말도 있다. 보조 로봇이나 용접 로봇에조차 해골을 들이붓는 정도로 많이 쓴다. 기계교의 마크 상징이 반 기계화된 해골인 수준이니…

그리고 네크론종족 전체가 해골이다. 일종의 로봇이지만 그것들의 형상은 기계화하기 이전 자신들의 신체 골격을 본따 만들어졌기에 해골의 형태를 가졌다고.

프레데터 역시 사냥을 하면 트로피로 해골을 모은다.

헤일로 시리즈에선 탄약 무한, 탄약 소모 2배 등등 각종 게임의 트윅 기능을 해골이라고 부르며 멀티플레이 모드 중 하나인 오드볼에선 해골을 공 대신 사용해 게임을 진행한다.

경상도 지방에는 병신춤의 파생형인 해골 병신춤(...)이 있다.

공익광고협의회의 구 로고는 사실 해골이다. 시각·청각 테러물 만드는 공해광고협의회답다.

모 리듬게임어떤 음악의 자켓도 해골이다. 그리고 플레이어를 해골로 만들 정도의 난이도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건 난이도 표기 자체가 해골이다.

디즈니에서 1929년에 만든 "해골 춤(The Skeleton Dance)"이 있다. 여기에 나오는 브금이 Spooky Scary Skeletons(무시무시한 해골바가지로 알려져 있다.)[8]인데 브금이 묘하게 중독성이 있는지라 리메이크도 나왔다. 리메이크 제작자는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관련 노래로 유명한 The Living Tombstone.
1991년작 게임인 원숭이 섬의 비밀 2에서도 이것의 패러디로 보이는 해골 춤이 나온다.
원본

노래는 1분 35초부터 나온다.

아래는 가사.

spooky, scary skeletons
send shivers down your spine
shrieking skulls will shock your soul
seal your doom tonight

spooky, scary skeletons
speak with such a screech
you'll shake and shudder in surprise
when you hear these zombies shriek

We're so sorry, skeletons
you're so misunderstood
you only want to socialize
(but I don't think we should)

'cause spooky, scary skeletons
shout startling, shrilly screams
they'll sneak from their sarcophagus
and just won't leave you be

spirits, supernatural
are shy, what's all the fuss?
but bags of bones seem so unsafe
(it's semi-serious!)

spooky, scary skeletons
are silly all the same
they'll smile and scrabble slowly by
and drive you so insane!

sticks and stones will break your bones
they seldom, let you snooze
spooky, scary skeletons will

wake

you

with

a

boo!

리믹스

그런데 리믹스가 원본보다 조회수가 더 많은건 안 비밀

2.1 해골을 중심 소재로 사용하는 캐릭터

2.2 해골과 연관이 있는 인물 및 단체

  1. 비슷한 이유로 중국 드라마등에서는 귀신도 등장하지 못한다.
  2. 2007년에 잠시 회색톤의 해골로 바뀐 적이 있었으나 오래 못가고 원래 해골로 환원된 적이 있다.
  3. x2이면 2배, x3이면 3배…이런 의미.
  4. 참고로 무한도전에서 해골을 제일 많이 먹은 사람은 정준하이다. 왜냐하면 122화에서 해골 무한(∞)개를 먹었기 때문.
    image.php?u=http%3A%2F%2Fimgpark.donga.com%2Fmbs%2FfileUpload%2F201602%2F27%2F56d1805b1ca1d3adb228.jpg
    이를 제외하면 박명수의 기습공격 당시 박명수가 먹은 해골 x 1,674,000(기습공격 실패로 박명수가 낸 식비)이 최고 기록이다.
  5. 여담이지만 x말고도 앞에 다른 단어가 들어가는듯...그래서 제시카가 제일 적게 받았다. 해골 -19개..어라?
  6. 이런 일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각국에서 자주 등장한다. 실제 유물도 발견되는 지경.
  7. 스키타이인의 사례나 불가리아 제국의 크룸 칸이 동로마 제국 황제 니케포루스 1세의 두개골로 술잔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중국 춘추시대 말기에도 조양자지백을 죽여서 술잔 또는 요강으로 썼다는 일화도 있다.
  8. 사실 원본 영상에서는 이 노래가 나오지 않는다. Spooky Scary Skeletons는 Halloween howls라는 음반에 수록된 곡으로 디즈니에서 만든게 아닌 andrew gold라는 가수가 부른거다. 그러니까 누군가가 원본 영상에 이노래를 합성한 것. 원래는 다른 브금이 나온다. 게다가 잘 들어보면 영상의 소리와 노래가 나올때의 음질이 다르다.그런데도 싱크로율이 높다
  9. 직업이 표본사로 죽은 동물의 뼈를 모으는 취미가 있으며, 인간의 해골을 레어 콜렉션 정도로 취급하는 뼈 매니아.
  10. 범인들이 변장함.
  11. 원래 인간이었던 스즈키 사토루가 이세계로 전이 후, 해골 뿐인 자신의 캐릭터 모몬가가 되어 이미 없어진 신체나 장기에 대해 언급할 때가 있다.
  12. 멤버 대부분이 해골 장식물을 달고 있다.
  13. 실존하는 짜가팩이다(…).
  14. 해골이 그려진 티셔츠, 소품 등을 애용한다. 아티스트의 경우 앨범 컨셉으로 죽음과 관련된 것을 나타낼 때 해골을 통해 표현하기도 한다.
  15. 손이 해골 모양인데다 이름을 한국어로 번역하면 해골이라는 뜻이 나온다.
  16. 사단 이름 자체가 두개골이다. 문장도 당연히 두개골.
  17. 일부 시리즈에 이 놈이 용암에 빠져 좀비쿠파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18. 스크래비 두에서 한정.
  19. 바이저가 해골 문양 이며 그외에도 여러곳에 해골 문양이 새겨져있다.
  20. 해골 가면을 비롯해서 전체적으로 그림 리퍼를 연상시킨다.
  21. 이말년 시리즈, 이말년 서유기의 매 회 처음과 끝에 해골 그림을 넣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