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문서는 실제로 발생한 것으로 증명되지 않은 현상을 다룹니다. 따라서 카더라 통신에 기반한 증명되지 않은 비윤리적이거나 비과학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문서에는 일부 이용자들이 혐오하거나 범죄 등 불법적인 내용 및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일부 포함할 수 있으므로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세요. 또한, 문서의 하단에 이 틀과 함께 분류:도시전설을 포함해 주세요.
Operation Cat Drop
1 개요
1950년대 중반 말레이시아[1]에서 있었던 사건. 생물농축의 위험성을 알린 사건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사실은 환경론자들과 기자들에 의해 터무니없이 과장된 도시전설이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당시 보르네오 섬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지역에는 말라리아가 큰 골칫거리였다. 고열을 동반하는 이 병은 모기에 의해 전염되는데 적지 않은 사람이 이 병으로 사망하고 있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를 박멸하기 위해 마을에 DDT를 대대적으로 두 번이나 살포했다. 그 결과, 모기를 없애 말라리아를 퇴치하는데는 성공했지만 예기치 못한 문제에 직면했다. 이 마을은 말라리아의 위협에서 벗어나는 순간 흑사병이라는 새로운 위험에 처하게 된 것.
이 새로운 문제점의 원인을 조사하면서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것은 모기 박멸을 위해 살포한 DDT가 문제의 근원이었다. 다약 마을의 지붕은 풀이나 나무 줄기를 엮어 만든 초가집으로 거기에는 바퀴벌레와 도마뱀이 살고 있었는데, 모기 박멸을 위해 살포한 DDT에 바퀴벌레가 오염되고 이 바퀴벌레를 도마뱀이 잡아먹음으로서 도마뱀이 DDT에 오염되었다. 오염된 도마뱀은 행동이 민첩하지 못하여 고양이에게 쉽게 잡아 먹히게 되었는데, 생물 농축 으로 인해 고양이가 DDT에 오염되어 죽어갔다. 결과적으로 고양이의 먹이인 쥐의 수가 늘어나게 된 것.쥐는 곤충이나 도마뱀을 먹지 않는건가 쥐는 생존력 짱이잖아 결국 1955년 영국에서 고양이를 공수해 오게 되었다.
그러나 사건은 이걸로 끝나지 않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번에는 집의 지붕이 무너져내리는 사태가 발생했다. 그래서 원인을 조사해본 결과 이번에는 고양이가 문제였다. 고양이가 더 이상 잡아먹을 쥐가 없자 도마뱀을 잡아먹기 시작했고 도마뱀이 사라지자 천적이 없어진 나방 애벌레가 나무로 된 집을 갉아먹으면서 지붕이 무너져 내린 것이다. 산 너머 산
이 역사적 사실은 인간이 생태계에서 생물은 서로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고 저지른 착오로 빚어진 생태계 파괴의 한 예이다. 이 사례는 생태계의 군집에서 어느 한 요소를 제거했을 때, 전혀 예기치 못한 결과가 다른 요소에서 나타나고, 결국은 자신에게도 되돌아온다는 교훈을 준다는 훈훈한(?) 이야기로 끝나는 줄 알았으나...
그러나 문제는 이것이 역사적 사실이 전혀 아니라는 점이다. 그래도 우리들에겐 환경오염은 매우 위험하단 소리다 뭐 교훈주는 이야기들의 대다수가 다 그렇지 뭐
2 진실
사건의 진실은 도시전설에 불과하다. 사실과 거짓이 마구 뒤섞여 있는데다가 그 규모도 터무니 없이 과장되었다.
일단, 진실은 다음과 같다.
- 보루네오의 Sarawak 지역에 말라리아를 막기위해서 DDT가 살포된 것.
- 일부 지역에서 DDT를 피한 나방 에벌레의 수가 늘어나서 일부 초가집 지붕이 무너져 내린 것.
- 적은 수의 고양이를 공수로 보낸 것.
한편, 거짓 또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 과장된 것은 다음과 같다.
- 우선 쥐가 흑사병을 퍼트렸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과장. 쥐는 흑사병을 옮기기는 하지만 흑사병을 만들어내는 생물이 아니다. 20세기에 흑사병이 유행한 사례가 없는 것은 아니나, 보르네오에서는 발병한 적이 없다.
- 먹이사슬을 통해 생물연쇄농축이 일어나 고양이가 도마뱀을 잡아먹어 DDT로 죽었다는 것은 전혀 확인된 바 없다. 위에 기술된 것처럼 일부 고양이가 털을 고르는 과정에서 DDT를 핥아 죽은 것으로 추측될 뿐이다. 또한 이나마도 DDT때문인지 농약 때문인지 확인된바 없다.
- 결정적으로 보르네오 고양이 공수 작전이란 것은 아주 작은 규모로 겨우 수십마리의 고양이를 특수한 상자에 담아 마을에 보낸 것에 불과하다. 이 마을은 워낙 오지에 있어서 교통편이 아주 열악했기 때문에 영국 공군이 동원되었던 것 뿐. 또한 고양이 공수 작전이 정말로 DDT로 인해 죽어서 보낸 것인지 그냥 쥐떼가 늘어나서 보낸 것인지조차 확인되지 않았다.(#)
- 영국에서 고양이를 보냈다는 것도 오류. 영국에서 고양이를 14,000마리나 보냈다면 당시 사람들이 몰랐을리 없다. 하지만 관련 문서나 신문기사는 어디에도 찾을 수 없다. 고작해서 수십 마리의 고양이를 보낸 것이니 아마도 근처 해안가 마을에서 모아서 보낸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과장이 퍼져나가게 된 것은 1955년 뉴욕 타임즈의 한 기자가 이 사건을 우연히 듣고, 상상력을 발휘해서 14,000마리의 고양이가 낙하산을 타고 눈송이처럼 강하했다는 기사를 내면서 부터 였다. 여기서 생물연쇄농축으로 고양이가 죽었다는 기사를 썼고 이게 정설처럼 된 것. 기레기의 원조 비문학이 아니라 문학을 쓰고 계신 기레기
그러나 실제로 세계보건기구에서 조사해 본 결과 그런 일은 없었다. 세계보건기구가 발견한 것은 오직 고양이가 잘 도착했다고 영국 공군에 보낸 감사 편지 한 장 뿐이었다. 이걸 찾기 전까지는 아예 고양이를 보내기나 했는지조차 의심했다고 한다.(출처:세계보건기구)
여기에 어설픈 환경보호론자들과 호사가들이 합세하여 과장된 사실을 만들어낸 것이다.
다행이야. DDT에 오염되어 죽은 고양이는 없었구나.
3 기타
2011년 EBS 수능완성 생물2 '생태계' 파트의 문제 지문에 등장했다. 뭐?! 1
2015년 초등학교 5,6학년 1학기 사회 2단원에서 환경의 상호관련성 관련 사례로 제시되었다. 뭐?! 2
교학사 세계사 교과서에도 다음 이야기가 수록되었다. 뭐?! 3
19p. 이야기 세계사 - 과거에서 얻는 환경 문제에 대한 교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