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

1 개요

한자 : 주방(厨房)
순우리말 : 부엌
영어 : Kitchen

아버지를 몰아넣는곳

단어 그대로, 요리를 하기 위한 전용 공간을 일컫는 단어이다. 쓰임이 거의 사어 수준이지만 부엌의 준말로 이 있다.

과거에는 여러가지 의미로 조리공간과 생활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야 했었다. 우선 위생적으로도 생활공간은 사람들이 많이 드나들며 이런저런 물건이 많기 때문에 조리하기에 영 좋지 않은 환경이였고, 또한 조리작업을 이른바 집에서 하는 일, 즉 여자가 하는 일로 분류했던 경우가 많아서 여성의 권위를 제한했던 문명권에서는 여자가 하는 일이라 해 공유하려 들지 않았던 것[1][2]도 이유였다. 그리고 기술이 발달할수록 조리기술로 발달하기 마련인지라 점점 조리용 도구가 늘어가는 추세인데 이것을 일반 생활공간에 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위생적 문제도 있고 미관적 문제나 보존 문제가 존재하기 때문.

물론 매우 원시수준의 문명이라면 그런 거 없다. 이런 곳에서는 농업보다는 수렵업으로 먹고 살기 때문에 안정적인 식량 조달이 쉽지 않으므로 구하는 대로 닥치는대로 먹는 것이 일반적인지라 모든 조직 구성원들에게 기회가 오는대로 먹을 것을 공유하는 게 일반적이고, 조리 방법도 매우 간소해서 굳이 남여노소로 구분해서 신경써야 할 만큼 큰 작업도 아니다.

또한 겨울을 대비해야 하는 지역의 경우 화기 사용시 조리와 난방을 겸해야 생존에 유리한 고로 거주지 안쪽에 조리공간이 설치되어 있다. 신석기 유적지등에서 불을 피우고 식량을 보관했던 장소가 별도의 공간이 아닌, 주거공간 한 가운데나 외곽에 딸려있는것도 이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원시수준의 문명의 구성원들은 특별한 조리공간이나 조리인원을 마련하지 않고 거주지 중앙 공터 혹은 집 가운데 등에서 모두 모여서 함께 조리하고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무튼 문명화된 국가들은 상기한 이유 때문에 조리공간을 별도로 할애하는 것이 일반적인 양상이 되었고 이에 주방이란 개념이 생겨났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오히려 원시수준처럼 주방의 개념이 점점 모호해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무엇보다 편의성을 추구하는 추세에, 과거처럼 특정인만 오고 가는 것과는 달리 남녀노소 누구나 주방에 출입할 필요성이 생기면서, 별도의 출입구까지 필요한 주방은 거추장스럽기 그지없으며, 환기 및 위생 기술이 많이 발달하였으므로 예전처럼 생활공간과 일체화되어도 큰 문제가 없기 때문. 물론 아직도 조리용 공간이란 개념은 남아있으나, 과거 주방에 비하자면 상당히 개방된 편이다.

또한, 주방이 여러 음식물이 오가며 가공되는 곳이니만큼 위생 문제에 민감해질 수 밖에 없게 되므로 오히려 개방된 주방을 선호하는 경우도 많다. 이용자들에게 개방된 주방은 그 상태가 이용자들의 눈에 확 들어오게 되므로 이용자들에게 좋은 신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식품위생법에서도 주방을 철저히 관리할 것을 명시해두었고, 이를 위해 식당 주방을 정기적으로 검사하기도 한다. 몇몇 업체는 주방 관리를 돕는 일을 해주기도 한다. 주방이 얼마나 대중에게 공개되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사례들이다.

2 관련 항목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주방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나이 드신 분들 중 일부가 아들이나 손자 등이 주방에 드나들면 '어딜 남자가 주방에!'라며 놀라는 것이 그 시절의 잔재이다. 물론 이 경우 혼나는 것은 그 남자가 아니고 여자란 것은 안 봐도 비디오
  2. 최초엔 남자와 여자의 구별을 두기 위해 남자의 주방 출입을 금지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여자들이 대부분 도맡는 집안일에 남자들은 참견만 하기 일쑤인데, 남자가 집안일의 세세한 부분까지 관여하면 여자도 피곤하고 남자도 그릇이 작아진다. 어쩌면 시아버님의 지혜가 아니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