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현

傅玄
(217 ~ 278)

삼국시대, 서진의 인물. 자는 휴혁(休奕). 부간의 아들, 부섭의 손자.

북지 이양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아버지 부간을 여의고 가난했지만 박학해 글과 음악에 능했으며, 성품은 강직해 남의 허물을 덮지 못했다.

군의 상계리를 지내다가 효렴으로 천거되고 태위의 부름을 받았지만 나아가지 않았으며, 주의 수재로 낭중으로 천거되었다. 당시의 평판으로 저작에 천거되어 위서를 편찬하는 작업을 맡았으며, 사마소 휘하에서 안동참군을 지내다가 온현령, 홍농태수, 전농교위 등을 역임했다.

어떠한 관직을 맡아도 직무에 적합했고 상서가 되어 정치를 바로잡아 고쳤으며, 265년에 사마염이 진왕이 되자 산기상시에 임명되어 자작에 봉해지고 부마도위가 되었다. 서진이 건국되어 간관 제도를 두면서 국강의 기강에 대한 상소를 올렸다.

시중으로 옮겨졌다가 266년 9월에 황보도와 상소문을 올려 간쟁을 벌인 것으로 인해 면직되었다가 268년에 어사중승이 되었고 당시 수해, 가뭄 등이 일어나자 이에 대해 다섯 가지의 의견을 적은 오조정견을 올렸다. 269년에 태복이 되었고 강호가 소란스러워 공경들이 회의를 하자 이에 대한 상소를 올렸고 사례교위가 되었다.

278년에 무헌황후가 붕어하면서 장례가 열렸는데, 종래의 제도에는 궁성의 정문인 단문 바깥에서 사례교위의 자리는 여러 경의 위에 있는 별석을 마련하는 것이지만 알자는 홍훈궁을 궁 안으로 간주해 그 규칙에 따라 부현을 여러 경의 말석에 두었다. 부현이 이 조치에 격노하자 알자, 상서 이하의 관료들이 이를 꾸짖고 어사중승 유순의 상주로 면직되었다가 사망했다.

시호는 강(剛)으로 훗날에는 청천후(清泉侯)로 추봉되었다.

부현은 성정이 엄격하고 급해 매번 다른 사람의 죄상을 상주해 거침없이 탄핵했으며, 시간이 늦어지게 되면 탄핵문을 가지고 의관을 정제한 채로 공손히 앉아 날이 밝기를 기다렸다. 이로 인해 여러 귀인들이 두려워해 조정의 풍기가 변했다.

부현은 어려서 하내에 피난했을 때 학문을 마음 속으로 외우고 전했는데, 후에 지위가 귀해져도 저술에 힘써 국가에 대한 총 논평을 단 부자를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