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르 스타르핀

Victor_Starffin00.jpeg

이름빅토르 콘스탄티노비치 표도르비치 스타르핀
ヴィクトル コンスタンチノヴィッチ フョードロヴィッチ スタルヒン
Виктор Константинович/Фëдорович Старухин
생년월일1916년 5월 1일
사망일1957년 1월 12일
출신지러시아 페름 주 니즈니타길
포지션투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34년
소속팀도쿄 교진군(1934~1944)
다이요 로빈스(1946~1947)
긴세이/다이에이 스타즈(1948~1953)
다카하시/돈보 유니온즈(1954~1955) [1]
지도자 경력없음

1 개요

러시아 출신의 일본프로야구 선수. 사와무라 에이지, 후지모토 히데오, 노구치 지로 등과 함께 일본 프로야구의 초창기를 빛낸 인물이며, NPB 사상 최초의 외국인 선수이자 통산 300승 투수이다.

2 유년 시절

1916년 러시아 제국의 니즈니타길 에서 제정 러시아 군대 장교의 아들로 태어났다. 러시아 혁명 당시 왕당파에 속했던 아버지는 새로이 수립된 공산주의 정부의 박해를 피할 수 없었고, 결국 1925년 가족들을 이끌고 일본으로 망명하여 홋카이도 아사히카와 시에 정착하면서 빅토르는 제 2의 고향 아사히카와에서 유년기를 보냈다.

3 학창 시절

Young20starffin.jpg

아사히카와 중학에 진학한 빅토르는 야구부에 들어가 강속구를 자랑하는 장신의 에이스로 자리잡았고, 1933~1934년 연속으로 학교를 고시엔 대회 지역 결승까지 진출시켰지만 번번히 수비수들의 실책에 발목이 잡히며 분패하는 바람에 고시엔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한편으로 아버지가 자신이 운영하는 찻집의 종업원을 살해한 혐의로 징역 8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옥사하는 사건으로 인해 빅토르는 살인자의 자식이란 오명을 쓰기도 했지만 빅토르는 자신의 야구 실력으로 이름을 높이며 스스로 어두운 그림자를 떨쳐내기도 했다. 하지만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급격히 기운 가세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창 시절을 보내야 했다.

중학교 3학년이던 1934년 11월, 일본에 초청된 메이저리그 선수단과의 친선 경기를 위해 결성한 전일본 팀의 투수로 선발되었다. 전년도 미국 팀과의 경기에서 17전 전패라는 기록을 남겼고, 그 해 시합에서도 5경기 내리 패배를 맛본 일본으로서는 미국에 대항할 만한 좋은 투수를 찾기 위해 전국을 탐색했고, 그 결과 홋카이도의 빅토르가 포착된 것이었다. 당시 전일본 팀 감독 이치오카 타다오가 직접 빅토르를 만나서 설득한 끝에, 학교의 결사 반대에도 불구하고 빅토르는 학교를 중퇴한 후 어머니와 함께 거의 야반도주 형식으로 도쿄 행 열차에 몸을 실었다. 그리고 그 해 11월 29일, 미국 팀과의 마지막 경기인 17번째 경기 8회에 패전처리 투수로 마운드에 올라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고, 그것이 빅토르의 사실상 첫 프로 데뷔 무대였다.

4 프로 시절

Starffin.jpg

미국과의 경기가 끝난 후 전일본 팀을 모체로 대일본 도쿄 야구구락부가 결성되었고, 1936년 대일본 도쿄 야구구락부의 후신인 도쿄 거인군의 창단 멤버로 프로야구에 발을 들였다. 그 해 7월 3일 다이도쿄와의 경기에 구원등판한 빅토르는 3이닝을 무실점으로 틀어막으며[2] 거인의 공식전 첫 승리를 이끌었고, 이듬해인 1937년 시즌부터는 사와무라 에이지를 대신하여 거인의 에이스 자리를 꿰차고 거인이 1938~1943년 6시즌 연속 우승하는데 크게 공헌했다. 1937년 7월 3일에는 노히트 노런을 달성했으며, 1939년엔 일본 기록인 시즌 42승으로 다승 1위와 MVP를 수상함과 동시에 통산 100승을 거두며 생의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3] 빅토르는 1940년에도 MVP에 선정되었으며, 1937년 추계리그 부터 1940년 까지 5차례의 다승왕을 수상하고 1938년 추계리그 평균자책 1위(1.05)를 기록했다.

그런데 빅토르의 1939년 시즌 42승은 한때 기록상의 실수가 있었다는 이유로 2승이 줄어든 40승으로 수정되었지만, 빅토르가 죽은 이후 1961년 이나오 카즈히사가 42승을 거두자 "빅토르의 기록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라는 목소리가 나왔고, 논의 끝에 결국 "그 당시 공식 기록원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는 커미셔너의 결정으로 다시 42승으로 환원되는 우여곡절이 있었다. 즉 빅토르와 이나오는 공동으로 일본의 시즌 최다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다.

1939년 할힌골 전투에서 일본군소련군에 참패하면서 일본 내 반 러시아 감정이 확대되기 시작했고, 위기감을 느낀 빅토르는 1940년 스다 히로시(須田 博)라는 일본식 이름으로 개명했지만 언제 일본에서 쫓겨날 지 모른다는 불안감 속에 살아야 했다. 특히 빅토르는 항상 길가에 늘어선 헌병들이 자신의 뒷덜미를 잡아챌까 두려워 했고, 어느 날 고라쿠엔 구장으로 출근하는 도중 다리 앞에 헌병들이 서 있는 것을 보고 겁에 질려 강을 헤엄쳐 건너서 야구장으로 갔다고 한다(...). 그래도 빅토르는 1941~1944년 시즌까지 총 85경기에 등판하여 57승 16패의 준수한 성적을 보였다. 그러나 1944년을 끝으로 프로야구는 중단되었고, 빅토르는 외국인 수용지역에 연금되어야 했다.

전쟁이 끝난 후 1946년, 빅토르는 거인 시절 스승이었던 후지모토 사다요시 감독의 부름을 받아 다이요 로빈스에 입단하면서 프로 무대에 복귀했고, 그 해 일본 프로야구 최초로 200승을 기록하였다. 1948년 후지모토가 긴세이 스타즈 감독으로 자리를 옮기자 빅토르도 그를 따라서 긴세이로 이적했고, 이듬해인 1949년 52경기에 등판하여 27승 17패, 평균자책 2.61의 성적으로 개인통산 6번째 다승왕이자 생애 마지막 타이틀을 따냈다.

이후 눈에 띄는 성적을 거두지 못한 빅토르는 1954년 다카하시 유니온즈로 유니폼을 갈아입었고,[4] 구단명이 돈보 유니온즈로 바뀐 1955년 9월 4일 다이에이 스타즈 전에서 승리를 거두어 일본 야구사상 최초로 통산 300승 이라는 전인 미답의 기록을 세웠다. 마침 그가 300승을 거둔 곳은 21년 전 미국 올스타를 상대로 처음 마운드에 올랐던 니시쿄고쿠(西京極) 구장이었고 공교롭게도 그 당시 전일본 팀 선발 투수였던 하마자키 신지는 돈보의 감독이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대로 1939년의 42승 기록이 40승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42승으로 원상복귀 되면서, 빅토르의 공식적인 300승은 같은 해 7월 30일 킨테츠 펄스로부터 거둔 승리로 변경되었다.

빅토르는 그 해를 끝으로 19시즌 동안 정든 그라운드를 떠났다. 586경기 등판, 303승 176패, 1960탈삼진, 평균자책 2.09 의 통산 성적을 남겼고, 더불어 최고승률 2회, 최저 평균자책 1회, 최다승 6회, 최다탈삼진 2회, MVP 2회,베스트나인 1회를 수상했다.

5 은퇴 이후

평소 상냥하고 유쾌한 성격의 빅토르였지만 외국인, 더구나 무국적자 였던 그의 쾌활한 웃음 이면에는 무언가 쓸쓸함이 묻어났다는 주변 사람들의 평도 있었다. 야구계를 떠난 빅토르는 1956년 부터 라디오 방송 패널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MC를 맡아 새로운 인생을 개척하는 듯 했다.

1957년 1월 12일, 빅토르는 도쿄 도내에서 열린 아사히카와 중학교 동창회에 참석하기 위해 자신의 자동차로 이동하던 중, 밤 10시 40분 경 시부야역으로 가던 열차와 정면 충돌하여 현장에서 즉사하고 말았다. 향년 41세.

빅토르는 1960년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고, 1984년 개장한 아사히카와 시영 구장의 애칭을 스타르핀 구장으로 명명하여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1. 긴세이와 다이에이, 다카하시와 돈보는 각각 팀명만 바뀐 것일 뿐 전부 같은 구단이었다. 이 구단들은 전부 1958년 치바 롯데 마린즈의 전신인 다이마이 오리온즈로 통합되었다.
  2. 지금 기준으로 따지면 세이브가 주어질 상황이었다.
  3. 빅토르는 165경기만에 100승에 도달하였고, 이 최단경기 100승 기록은 당연히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
  4. 빅토르는 아버지같은 존재이던 후지모토 감독과 계속 같이 뛰고싶어 했지만, 후지모토가 "자네가 앞으로 선수생활을 하면 얼마나 오래 하겠는가. 다카하시 에서는 계약금을 준다고 하니 그곳으로 옮기게" 라고 권유하여 이적에 동의했다고 한다. 빅토르는 그때 받은 계약금으로 은퇴 후 미용실과 약국을 차렸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