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토카인

Cytokine

1 개요

사이토카인세포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어원 cyto와 움직임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어원 kine의 합성어로, 세포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비교적 작은 크기[1]의 다양한 단백질들을 일컫는 말이다. 세포에서 만들어져서 자신을 포함하는 다른 세포에 영향을 끼치는 물질이므로, 어찌보면 호르몬과도 개념적으로 유사하긴 하다. 다만 관습적으로 사이토카인을 호르몬과 생장인자와는 구분해서 쓰기는 한다.[2] 하나의 사이토카인은 보통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영향 역시 여러 종류의 세포에 끼친다는 점에서 호르몬과 어느정도 구분해서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면역 체계의 관리에 주요한 기능을 하며, 호르몬 대비 대단히 낮은 농도로 시스템 전체에 작용을 하는 경우가 많다. [3] 일반적으로 면역 쪽에서 많이 개념을 주고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면역 외의 다른 기능도 엄청나게 많이 갖고 있다.

2 종류

2.1 역할에 따라

최초로 발견된 사이토카인은 인터페론 I (1957년)이다. 이후 다양한 면역세포에서 다양한 물질이 발견되었고, 이름이 하도 복잡해지다보니 좀 정리하자고 해서 '임파구lymphocyte에서 나오니까 림포카인lymphokine'이라고 했다가 '모노사이트나 대식세포에서 나오는 건 모노카인'. 결국 그냥 세포에서 나와 세포로 간다고 퉁쳐서 사이토카인이 되었다.

  • 인터루킨 계열: 면역세포끼리 작용하는 물질을 퉁친다.
  • 림포카인 계열: 임파구에서 나오는 물질을 퉁친다.
  • 모노카인 계열: 단핵구(대식세포 포함)에서 나오는 물질을 퉁친다.
  • 인터페론 계열: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는 물질을 퉁친다.
  • CSF 계열: 골수에서 만들어지는 세포군들 (그러니까 온갖 혈구들)에 작용하는 물질을 퉁친다.
  • 케모카인 계열: 케모탁시스라고 부르는, 화학물질에 대한 작용을 매개하는 물질을 퉁친다.

2.2 구조에 따라

  • 알파나선 구조가 뭉쳐서 만들어지는 타입들
  • IL-1 계열
  • IL-17 계열
  • TGF 계열

3 하는 일

다양한 사이토카인 수용체에 붙어서 작용을 한다. 보통은 해당 수용체 아래에 붙어있는 복잡한 신호 전달 체계에 따라서 특정한 회로를 작동시키거나 (예: 세포 자살, 분화 등) 또는 특정한 회로를 막아서 길항작용을 일으킨다. 그리고 두 개 이상의 사이토카인이 작용하면 그 결과는 더욱 복잡해지며, 수용체의 숫자나 밀도, 발현 여부 등에 따라서도 또 복잡한 효과를 일으키게 된다. 지금도 많은 생물학자들이 해당 연구를 논문으로 쏟아내고 있는 중.

가장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사이토카인의 역할은 염증이나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이다. 감기걸리면 열오르고 재채기하고 가래나오고 그러다 낫고 하는 것이 다 사이토카인의 효과. 그리고 자가면역질환에서도 중요한 물질이다.
  1. 대략 20kDa 주변
  2. 관습적이므로, 개중에는 섞어쓰고 있는 사람도 있다는 말이다.
  3. 그러니까 사이토카인 폭풍 같은게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