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어

Ναμουβίκι, το δέντρο της γνώσης που καλλιεργείται από όλους ανθρώπους.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인도유럽어족
원시인구어†
CENTUM 어군SATEM 어군
게르만어파아나톨리아어파이탈리아어파켈트어파토카리아어파헬라어파발트-슬라브어파아르메니아어파알바니아어파인도이란어파
발트어파슬라브어파
북게르만어군서게르만어군동게르만어군라틴팔리스칸어군오스칸움브리아어군대륙켈트어군도서켈트어군동발트어군서발트어군동슬라브어군서슬라브어군남슬라브어군누리스탄어군다르드어군이란어군인도아리아어군
로망스어군
어군 위치가 비어있는 어파는 단일언어로 독립된 어파를 이루거나 소속된 제어들을 분류할 사료가 부족한 경우에 해당함.
세부적인 어군 분류는 각 항목 참조.
†가 있는것은 사멸된 어파 혹은 어군
Ελληνικά
그리스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그리스, 키프로스[1]
원어민약 1500만 명
어족인도유럽어족
그리스어파
아티케 그리스어
그리스어
문자그리스 문자
언어 코드
ISO-639EL
주요 사용 지역
그리스어Ελληνική γλώσσα[2]
터키어Yunanca
러시아어Греческий
불가리아어Гръцки
영어Greek language
프랑스어Langue grecque
스페인어Idioma griego
아랍어لغة يونانية
중국어希腊语 / 希臘語
일본어ギリシャ語
에스페란토Greka lingvo
라틴어Lingua Graeca

1 개요

그리스키프로스에서 쓰는 언어. 헬라어 또는 한자 가차로 희랍어(希臘語)라고도 한다.

유럽에 여러 언어들이 있고 대부분은 친숙한 로마자(로마 알파벳)을 쓰는데, 그리스어는 문자부터가 다르다. 수학이나 공학 관련 서적을 펴면 쉽게 접할 수 있는 알파(Α, α), 베타(Β, β), 감마(Γ, γ), 델타(Δ, δ)… 등이 바로 그것. 또는 천문학에서의 바이어명명법에서 별의 밝기순으로[3] 알파(Α, α), 베타(Β, β), 감마(Γ, γ) 순으로 쓴다. 뭐 익숙해지면 쉽다고는 하지만 그리스어를 배우려 한다면 문자 외우는 것부터 좀 고생을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여기에 발음을 돕는 악센트 기호나 이것저것 덧붙는 것도 많으며 ι, η, ει, οι처럼 같은 발음을 다르게 써놓는 경우도 많다.[4][5]

2 역사

워낙 오래된 언어인지라 시대별로 차이가 많이 난다.

현대 그리스와 키프로스는 인구도 그리 많지 않은편이고 그리스나 키프로스에서 제작된 TV프로그램이나 영화, 만화, 가요등이 해외에서 인기를 얻은 전례가 드물어 현대 문화분야에 있어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않기 때문에 별로 관심을 못받는 반면에[6] 고대에는 그리스 문화와 철학이 현대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주로 고중세에 쓰인 철학, 신학 서적 등이기 때문에 고전 그리스어나 코이네 그리스어가 학자들의 관심을 받는 경우가 많다. 서양학을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거의 라틴어와 동일한 포지션을 가지고 있으며, 고전 그리스어나 코이네 그리스어를 '헬라어'라고 구분하여 문어(文語)로 가르치고 있다. 때문에 대체적으로 그리스어에 능통했다는 분은 대개 읽는 것에만 능통한 경우가 다이며 신학과나 철학과, 사학과에서 행해지는 그리스어 교육은 사어나 다름 없는 언어의 문법과 단어를 암기하는 옛날 방식으로 교육이 된다.

2.1 원시 그리스어

훨씬 이전부터 사용되었을것으로 추측되지만, 남아 있는 실체는 기원전 2000여년경 크레타에서 번성한 미노아 문명과 이후 그리스 본토에서 융성한 미케네 문명의 문자자료뿐이기 때문에 정확한 정체를 알기는 어렵다. 현재까지 해독된 이 시대의 유일한 문자인 선문자B에 의하면, 고전 그리스어보다 문법이 복잡했던(!)것 같고 일부 어휘들, 이를테면 사신을 의미하는 akero (후대 그리스어로는 αγγέλος), 왕을 뜻하는 qasilew (βασιλεύς) 같은 것이 재구성되었다는 점 외에는 알려진게 없다.

이런 이유로, 원시 그리스를 인도-유럽 어족에 끼워넣는 것이 말이 되는 지도 의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2.2 고전 그리스어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시대에 쓰이던 그리스어.

현대에도 옛 스파르타 지방 인근에서는 '차코니카(τσακονικά)'라는 방언이 통용되는데, 이것은 고대 그리스어 특히 라코니아 방언의 직계후손으로 제주도 방언 이상으로 이질적이라 대부분의 그리스인들은 못 알아 듣는다. 다른 그리스어 방언은 모두 아티카-이오니아어에서 나왔으나 이 방언만은 도리아어에서 나왔다고 한다.

2.3 코이네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 방언간의 혼합으로 최초로 형성된 공통 그리스어.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그리스를 통일하고 남유럽-서아시아를 정복하면서 형성되었으며, 헬레니즘 문화가 널리 퍼지면서 남부유럽과 근동으로 전파되었고, 발칸 동부와 소아시아에서는 현지어를 완벽하게 대체하였다. 신약 성경에 쓰인 그리스어이며, 현대 그리스어의 직계 조상어이다.

고대 로마 제국이 그리스 사상의 영향을 받으면서 유럽에 널리 전파되었다. 국제어로써 기능했기 때문에 고전기 그리스어에 비해 수많은 외국어 어휘들을 차용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흔히 고대 로마 제국이 라틴어만을 쓰던 것으로 착각하기 쉬우나 제국 동부에서는 소위 '동서 로마 분열' 이전부터 그리스어가 공용어로 사용되었다.

2.4 중세 그리스어

중세에 들어서면서 서유럽에서는 그리스어가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으나 동로마 제국에서는 여전히 쓰였다. 헬레니즘 시대의 코이네 그리스어는 중세 그리스어로 연결되었다. 15세기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고 그 이후에 이르기까지 이어져 내려왔다. 오늘날 크레타키프로스 등등 그외 대부분의 그리스 지방에서 통용되는 방언은 모두 이 언어의 후손이다. 폰투스 그리스어, 카파도키아 그리스어 등 아나톨리아 반도 방언 역시 여기에서 파생되었지만 1924년 터키 독립전쟁 이후 체결된 로잔 조약에 의거하여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이뤄지는 대규모 이민족 교환인 이른바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에 의해 이스탄불을 제외한 터키 모든 지역의 그리스인들이 그리스로 추방되어 이 방언들은 소멸되었다. 오늘날 남아있는 중세 그리스어의 흔적은 이러한 방언들과 동방정교회에서 사용하는 그리스어의 억양과 어휘들뿐이다.

남아있는 아나톨리아 방언 화자들의 언어습관에 따르면 [7] 이들의 방언은 거의 그리스어-터키어 피진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터키어와 비슷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테면 거리(street)를 뜻하는 표준 그리스어가 οδός(odhos)인 반면에 이스탄불 방언으로는 터키어의 sokak과 비슷한 σοκάκι(sokaki)이다. 현대에도 크레타 방언에 남아있는 Ταμάμ (tamam, 터키어로 OK의 의미) 같은 어휘들과 같이 오스만 제국 시절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2.5 현대 그리스어

지금 그리스에서 쓰는 언어. 중세 그리스어에서 이어진 민중어(=디모티키)의 단순화된 문법에 많은 수의 코이네 그리스어 어휘를 이식해서 만들어진 사실상 '가공된 언어'이다. 현대 그리스어는 터키어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상당히 많은 어휘들을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부활시켜 사용하고, 근대시대에 걸맞는 어휘들을 기존의 그리스어 형태소들을 접합시켜 그리스화시켜서[8] 그리스어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왔다[9].

코이네 그리스어에서 현대 그리스어로 넘어가는 현상은 이중모음 발음의 변화에서 추이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이미 동로마 제국 초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가령 사도 바오로의 그리스어 표기는 'Ὁ Ἅγιος Παῦλος[10]'인데, 코이네 시기에는 'ho háɡi.os pá͜ʊlos'라고 발음했(던걸로 추측되)지만 4세기에 이르면 이미 이 발음은 현대어와 비슷한 'o áɣios πáβlos'로 발음되었다. 이후 9~11세기쯤에 현대 그리스어와 동일한 발음인 'o áʝios pávlos'로 굳어졌다. 코이네 그리스어의 형성 이후에도 여러가지 요인으로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의 사투리들이 계속 존재했고, 표기법도 제각각인 상태가 쭉 지속되다가 19세기 그리스 민족주의의 발흥 후에 서로 내 언어가 정통이네, 누구의 표기법이 맞네 틀리네를 가지고 서로 치고박고 싸우게 된다. 독립이후에는 터키어의 영향을 받은 단어들을 1,000여년 전에 이미 사라진 고대어들까지 부활시켜가면서 되살리기까지 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구어체와 문어체 간 차이가 외국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커지게 되는 바람에 그리스어 표준화를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이렇게 19세기 그리스가 독립하면서 그리스어에 내재한 터키어의 영향을 배제하고 고대 그리스어의 규범을 살려 새로이 만들어진 그리스어 형태를 카사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라고 했고, 당시 일반인들이 입말로 쓰고 있었던 그리스어는 디모티키(Δημοτική)라 했다. 카사레부사는 따로 공부를 하지 않았을 경우 일반인들이 알아듣기 어려운 수준이었기 때문에 문어체와 공식 언어로만 쓰여 그리스는 양층언어 국가가 되었다. 표준 그리스어를 향한 치열한 싸움은 갈수록 커져갔는데, 1911년 성경이 처음으로 디모티키로 공식 번역이 되자 반대파에서 대대적인 시위를 주도했을 정도니 말 다 했다.

결국 1976년 일상 구어체 그리스어인 디모티키(Δημοτική)가 고전 그리스어를 모방한 카사레부사(Καθαρεύουσα)를 누르고 현대 그리스의 공식 언어 형태로 채택되면서 이 다툼은 끝나게 된다.

2.6 방언

중세 그리스어가 현대어로 넘어가면서 전 국가적으로 언어순화 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지역별 사투리 편차는 그렇게 심하지 않다. 단 크레타와 키프로스, 펠로폰네소스 남부의 차코니카 방언 사용지역 그리고 섬지방 빼고. 대체로 섬지방은 사투리가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 크레타와 키프로스의 경우 본토보다 더 오랫동안 터키의 지배를 받았고 크레타섬의 경우 아예 터키인 인구가 전체 섬주민의 50%에 달할만큼 많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터키어와 섞이게 되었다. 결국 중세 그리스어+터키어 어휘들로 인해 본토 사람들은 도대체 못알아먹는 방언이 되어 버린 것. 그리스 코미디 프로그램 AMAN에서는 이런 크레타인들의 웃긴(?) 그리스어를 소재로 삼은 유머도 있다.

크레타 친구: 안녕 친구!

주인공: 오! 오랜만이네
크레타 친구: 어떻게 지냈어?
주인공: 나야 잘 지내지. 나 일하러 테살로니찌에 가게 됐어.
크레타 친구: 그래, 잘 갔다와. 근데 조심해야 할 게 몇 가지 있다구.
주인공: 지금 나 바보 취급하는 거야? 도대체 뭔데?
크레타 친구: 그러니까, 우리 말의 '찌'가 다르게 발음된다는거지. '까바' 처럼
주인공: 썅, 좀더 쉽게 설명해봐!
크레타 친구: 그러니까 '찌다' 발음은 모두 '끼다' 발음으로 바뀐다는 거야.
주인공: 하! '찌다' 발음은 모두 '끼다'가 되고, '쩨' 발음은 모두 '께'가 된다는거지?
크레타 친구: 브라보!
주인공: 그리고 '쩨바' 발음은 '까바'가 된다고?
크레타 친구: 브라보!
주인공: 설명 고마워. 잘 지내라구.
크레타 친구: 즐거운 여행 되길 바란다 친구야! 그리고 말야…
주인공: 좋아 좋아, 알았으니까 잘 지내!

(2일 후에)

주인공: 여기요! 여기 당신 가게요?
가판대 주인: 네
주인공: 그러니까, 탐패 1갑을 사려고 하는데요
가판대 주인: 뭐라고요??
주인공: 아 담패 있잖아요 탐패! 뻐끔뻐끔 탐패!
가판대 주인: 담배 달라고요?
주인공: 뭐야! 당신도 크레타 출신이었잖아, 왜 진작에 말 안했어 멍청아!![11][12]

Anatolian_Greek_dialects.png
1923년 그리스-터키 인구교환 이전에 소아시아에서 쓰이던 그리스어 방언으로는 폰토스 그리스어(주황)와 카파도키아 그리스어(녹색)가 있다. 폰토스 그리스어는 정확한 통계는 없으나, 그리스에서 40만 가량이 사용한다고 추정된다. 한편 터키어의 영향 또한 걸쭉하게 받은 카파도키아 그리스어는 1960년대 이후 멸종된 줄 알았으나, 2015년 조사에 따르면 그리스 북부와 중부에 거주하는 2800여 명이 모어로 사용한다고 한다.

이탈리아 남부의 몇몇 지방에 'Griko'라는 언어가 남아 있다. 현대 연구자들은 이탈리아 남부에 있던 그리스계 식민도시의 문화가 남은 흔적으로 추정하고 있다. 하지만 2000년대에는 급격히 사멸해가는 추세다.

3 그리스 문자

위에서 언급했듯 그리스어는 그리스 문자를 쓴다.

그리스 알파벳은, 고대 페니키아-그리스-로마자의 발달선상에서 현대 로마자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이후 그리스어를 적는 데 쓰이게 된 문자로서, 고전 시대에는 서유럽 로망스어는 로마 문자, 동유럽의 그리스 계통 언어는 그리스 문자로 적는 등 그 위세를 자랑했으나, 슬라브족동유럽에 정착하게 되고, 슬라브 쪽에 파견된 선교사[13]이 슬라브 언어를 적기 위해 키릴 문자를 개발하면서 현재는 그리스와 키프로스(그것도 그리스계 지역)에서만 겨우 쓰이는 안습한 처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래도 EU에서 인정받는 언어라서 유로화를 보면 밑에 그리스 문자로 ΕΥΡΩ(에브로)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14] 그런데 이나마 2006년 불가리아가 EU에 가입하면서 키릴 문자도 EU 공식 문자 체계로 지정되어서 요즘은 세 문자 체계가 사이좋게 적혀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애니메이션 라스트 엑자일에서는 그리스 문자를 주요 표기 수단으로 사용하는 세계관이 등장한다. (단, 간혹 영어 단어를 문자만 그리스 문자로 치환한 것도 눈에 띈다.) 이 세계관을 정리한 블로그1 2를 참조할 것.

엄밀히 말하면 언어를 기술하는 문자체계는 아니지만, 수학을 하게 되면 지겹도록 볼 수 있다. 보통 상수나 계수를 적는데 사용되며, 수학, 물리, 공학 등을 전공하는 사람이면, 음가(音價)는 몰라도 글자를 보여주면 글자 이름은 다 알아맞출 수 있다. 또 음가를 알면 이 개념에 왜 이 문자를 썼는지 유추하기도 쉬워지기도 한다.[15] (이과생 기준) 고등학생에게도 익숙할 그리스 문자에는 알파(α), 베타(β), 감마(γ), 델타(Δ), 세타(θ), (μ), 시그마(Σ), 파이(π), 오메가(Ω/ω) 등이 있겠다. 다만 이렇게 관용적으로 많이 부르는 이름은 영어식 발음이 일부 반영되어있기 때문에, 실제 그리스어 발음과는 조금 다른 것들이 있다. 예를 들어 μ는 고대 그리스어식으로는 '뮈', 현대 그리스어식으로는 '미'라고 읽으며, π는 고대와 현대 그리스어 모두 '피'라고 읽는다.[16] θ의 경우 현대 그리스에서는 '쎄따'라고 읽지만,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테따'였다.

4 현대 그리스어의 구조

그리스어는 영어독일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다. 고전 그리스어는 히타이트의 언어 등과 비슷한 발전상을 겪어왔지만, 이 언어들은 사어화 되었다. 로마 제국의 발흥 후에는 많은 고전 그리스어 단어들이 라틴어에 차용되었으며, 때문에 이 라틴어에서 파생되었거나 라틴어 단어를 차용한 다른 유럽어들에 그리스어 단어들이 남아있다. 그러나 영어, 프랑스어와 그리스어 단어는 사용법이 전혀 다른 경우도 많다. 이 후의 그리스어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거치며 터키어의 영향을 받는 등, 현대 그리스어는 다른 유럽계 언어들과는 다소 다른 발전과정을 거쳐왔다.

4.1 문법의 특이성

  • 고유명사에도 정관사를 붙인다.

나는 니코스 포르토칼리스입니다. 나는 그리스에서 왔습니다.
Είμαι ο Νίκος πορτοκάλης. Είμαι από την Ελλάδα.
(ime o nikos portokalis. eime apo tin ellada)
(I am the Nikos portokalis. I am from the greece) → 직역

그리스어의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성과 수에 맞춰서 명사가 굴절된다. 과거에는 호격도 존재했지만,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κύριε (키리에, 주님, 선생님)정도를 제외하고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그리스어의 정관사/부정관사 표

남성단수여성단수중성단수남성복수여성복수중성복수
주격ο/ έναη/ μία[17]το/ έναοιοιτα
소유격του/ενόςτης/ μίαςτου/ ενόςτώντώντών
목적,여격[18]τον/ έναντην/ μία(ν)[19]
το/ ένατουςτιςτα

그리스어 명사의 성은 어미를 통해 규정되는데, 남성명사의 경우 주격기준으로 -ας, -ος, -ης, -ούς, -ές 형태(ex: άντρας, σκύλος, τίγρης, παππούς, καναπές)가 있고, 여성명사는 -α, -η, -ος, -ού 형태(ex: Ελλάδα, όψη, οδός, αλεπού) 가 있고, 중성명사의 경우 -ι, -ο, -μα, -ος, -ας 형태(ex: τυρί, νερό, χρώμα, μέρος, τέρας)가 존재한다. 각각의 어미들은 나름대로 복수변화를 하고, 인칭에 따라 굴절한다. 초심자의 경우 중성명사인 πρόβλημα, χάρισμα 같은 명사들을 여성명사로 변화시키는 실수를 자주 하는데, -μα 어미로 끝나는 중성명사들은 복수형이 -ματα가 되므로 전혀 다르다.

ex>
ο άνθρωπος (그 사람), του ανθρώπου (그 사람의), τον άνθρωπο (그 사람에게, 그 사람을)
οι άνθρωποι (그 사람들), τών ανθρώπων (그 사람들의), τους ανθρώπους (그 사람들에게, 그 사람들을)

  • 접속사를 풍부하게 사용한다.

그리스어에는 다양한 접속사가 존재하며, 다른 유럽어와 비교해봐도 접속사를 남발하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 별 이유 없이 접속사를 붙이는 경우도 흔하다(…)

ex> Προτιμώ να πάω. '나는 가고 싶어' → Προτιμώ να πάει ο Γιάννης. '난 얀니스가 갔으면 좋겠어.'

위 예문을 직역하면 '나는 가는 것를 선호해(I prefer to go)', '나는 얀니스가 가는 것을 선호해'(I prefer to goes Giannis)가 된다. 영어로는 어색하기 짝이 없는 문장이지만, 그리스어에서는 접속사를 사용해서 문장을 연결하거나, 동사의 의미를 확장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한다. 대표적인 접속사인 'να' (영어의 to 처럼 쓴다)는 동사 여러개가 연결될 때도 쓰이는등 다양한 용법을 가지고 있다. 그리스어 공부의 발목을 잡는 원흉

이러한 그리스어의 접속사는 대충 이정도가 있다.

용법접속사의미
연결και (κι), ούτε, μήτε, ουδέ, μηδέ그리고,
분리ή, είτε또는, 또한
부정μα, αλλά, παρά, όμως, ωστόσο, ενώ, αν και, μολονότι, μόνο하지만, 할지라도, 그러나, 어느곳이든, 다만
추론λοιπόν, ώστε, άρα, επομένως, που그래서, 마찬가지로, 그러므로
결론δηλαδή즉, 그러므로
특별용법ότι, πως, που이,저,그
시간όταν, σαν, ενώ, καθώς, αφού, αφότου, πριν (πριν να), μόλις, προτού, ώσπου, ωσότου, όσο που, όποτε언제, 하는 동안, 이후에, 이전에, 까지
설명γιατί, διότι, επειδή, αφού왜냐하면
가정αν, εάν, άμα, σαν만약, 라면
결론lνα, για να그러므로
목적ώστε (να), που~하기 위한
주저하는 듯한 뉘앙스μη(ν), μήπως아마도, 혹시
비교παρά~~보다 더
  • 그리스어의 어순

그리스어의 어순은 영어와 같이 주어(S)+동사(V)+목적어(O) 형태이지만 소유대명사를 표시할 때 어순이 변하며, 전치사의 사용법이 다르다. 또 고유명사에도 정관사를 붙이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ex>
나의 친구 - ο φίλος μου (o filos mu = the friend my)
그녀의 어머니 - η μητέρα της (i mitera tis = the mother her)
너의 집 - το σπίτι σου (to spiti su = the house your)

나는 와인을 1병 사기를 원합니다.
Θέλω να αγοράσω ένα μπουκάλι κρασί.
(thelo na agoraso ena bukali krasi)
(I want to buy a bottle of wine)

나는 일본인이 아닙니다.
Δεν είμαι ο Ίαπωνας.
(dhen ime o iaponas)
(Not I'm the japanese)

  • 고대 그리스어와의 발음 차이

고대 그리스어와 현대 그리스어는 모음 읽는 방법이 상당히 다르다. 그리스인들은 학교에서 누구나 고대 그리스어를 배우는데, 그리스 도처에 흩어져 있는 유적지들의 비문을 읽어내는 신기도 보여준다. 단 현대 그리스어식으로 읽는다(…). 가령 마라톤 전투가 벌어진 전장에 세워진 비석의 명문은 다음과 같이 읽는다.

"Ελλήνων προμαχούντες Αθηναίοι Μαραθώνι χρυσοφόρων Μήδων εστόρεσαν δύναμιν"

고대식: "hellénon promakhúntes athenaíoi marathóni khrysophóron médhon estóresan dhýnamin"
현대식: "ellínon promahúndes athinéi marathóni hrysofóron mídhon estóresan dhýnamin"[20]

그리스의 수호자 아테네인은 마라톤에서 황금옷으로 치장한 메디아인의 세력을 파멸시켰도다.[21]

  • 차용어

현대 그리스어에는 상당히 많은 터키어 어휘가 들어와있다. 독립 직후 대규모의 언어정화운동을 벌여 상당수의 단어가 고대어로 돌아왔지만, 아직까지 많은 터키어 단어가 남아있다. (주로 식품, 터키로부터 유입된 문물들에 대해) 또한 터키어에도 상당수의 그리스어 단어가 유입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스어와 터키어는 거의 12,000여개에 달하는 어휘를 공유하고 있다. 그리스와 터키는 오늘날에도 종교와 언어만 다를뿐 사실상 한 문화권에 속한다. 이거 두개가 제일 중요한거 아닌가

몇 가지 예시>

그리스어 단어터키어 단어한국어 단어
ο αφέντης (오 아펜디스)efendi (에펜디)어르신, 선생님
ο απτάλης (오 압딸리스)aptal (압탈)바보
το γιαούρτι (또 야우르띠)yoğurt (요우르트)요구르트
το καρπούζι (또 까르뿌지)karpuz (카르푸즈)수박
το κούτι (또 꾸띠)kutu (쿠투)상자
το λιμάνι (또 리마니)liman (리만)항구
ο μάγκας (오 망가스)manga (망가)음?선원, 멋쟁이
το μπαϊράκι (또 바이라끼)bayrak (바이락)깃발
ο μπαλτάς (오 발따스)balta (발타)도끼
το μπαχαρικό (또 바하리꼬)baharat (바하랏)향신료
η μπίρα (이 비라)bira (비라)맥주
η ντομάτα (이 도마따)domates (도마테스)토마토
η πατάτα (이 빠따따)patates (파타테스)감자
το πιπέρι (또 삐뻬리)biber (비베르)후추, 고추, 피망
η σάλτσα (이 살짜)salça (살차)소스 (특히 고추나 토마토로 만든것)
το τζατζίκι (또 자지끼)[22]cacık (자즉)요구르트로 만든 소스
η τσάντα (이 짠다)çanta (찬타)가방
το φιστίκι (또 피스띠끼)fıstık (프스특)피스타치오
το φουντούκι (또 푼두끼)fındık (픈득)헤즐넛
το χάνι (또 하니)han (한)숙소, 여관

그리스어가 어떤 언어인지 들어보고 싶다면 '라디오 살라사(Ράδιο θάλασσα)' - http://www.radiothalassa.gr/gr/index.htm - 에 들어가보길 추천한다. 24시간 내내 그리스 노래만 트는 방송국인데, 터키 음악의 영향이 물씬 풍기는 전통적인 음악(렘베티카)과 가끔 음악도 틀어준다. 가뜩이나 빠른 그리스어로 록을 하면 그야말로 충공깽. 외국인들은 그리스어가 굉장히 빠르다고 생각한다. 게다가 남유럽 언어들이 그렇지만 억양이 굉장히 높은 편이기 때문에 싸우는 것처럼 들린다고. 한번 그리스어로 말하는 영상 몇개를 보자.



한국의 88만원 세대와 비교될 수 있는 그리스의 700유로 세대[23] (Η γένια τών 700 Ευρώ)에 대한 뉴스. 이 뉴스에서는 그리스의 물가가 다른 유럽국가들보다 훨씬 비쌈에도 불구하고 임금수준은 유럽 최저수준이며, 노동시간은 유럽 최장수준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그리스의 임금수준은 기준에 따라 약간씩 차이가 나긴 하지만 한국의 절반 정도다. 원래도 유럽기준으로 임금수준이 그리 높지는 않지만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 전반적인 임금수준이 깎이고 취업시장에서 정규직이라는 개념자체도 거의 사라지다시피하면서 한국보다 낮아지게 된 것.


그리스 유머프로그램 AMAN의 한 장면. 한 남자가 기로스 가게에 들어와서는 이미 다 팔린 수블라키[24]를 자꾸만 찾자 빡친 주인이 그를 쫒아냈는데, 그 뒷사람도 수블라키를 찾아 화내는 이야기. 보통 그리스에서는 기로스[25]와 수블라키를 함께 판다.

5 들어보기

한국인에겐 가장 친숙한 선율일 그리스어 노래 <기차는 8시에 떠나네> - "To Treno Fevgi Stis Okto"

그리스의 국가 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 - 자유의 찬가

그리스 정교회의 성모송(Θεοτόκε Παρθένε).[26]

겨울왕국의 <Love is an Open Door> 그리스어 더빙판 <Σε άλλον ουρανό>

노틀담의 꼽추의 <Bells of Notre Dame>(리프라이즈) 그리스어 더빙판 <ΣΤΑ ΣΚΑΛΙΑ ΤΗΣ ΠΑΝΑΓΙΑΣ>(노틀담의 계단)

Ε, να που η αγάπη στο τέλος νικά στα σκαλιά της Παναγιάς
아, 그리하여 끝내는 사랑이 노틀담의 계단 위에서 승리하리니

Δεν μας τρομάζουνε εμάς τα στοιχειά!
우리는 짐승들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Και ηχούν παντού καμπάνες στην καρδιά της Παναγιάς)
(그리고 종소리는 노틀담의 중심에서 계속 울려퍼지리)

Τα ωραία παραμύθια που λεν' την αλήθεια αγγίζουνε πάντα βαθιά
아름다운 이야기 속에서 그들이 말하네. 진실은 언제나

στην καρδιά της Παναγιάς
성모 마리아를 깊이 감동시킨다는 것을

6 대한민국의 그리스어 교육

전술했듯이 고대 그리스어나 코이네 그리스어를 주로 가르친다.

고대 그리스어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다.[27] 서울대학교에서 학문 언어로서 가르치고 있다.[28] 전남대학교에서 1학기에 교양과목으로 개설되고 있다.[29] 성균관대학교에서도 1학년 교양 기초인문사회에서 고대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가르치고 있다

코이네 그리스어는 일반적으로 전국의 신학대학에 헬라어나 희랍어 등의 이름으로 강의가 개설된다. 신약성경의 언어가 코이네 그리스어이기 때문이다.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에서조차 학부생 대부분이 "Hell라어"라며 저주할 정도.

현재 우리나라에서 일반인이 현대 그리스어를 전공으로 배울 수 있는 곳은 한국외국어대학교 뿐이다. 이곳 글로벌 캠퍼스에 학과가 있는데, 무슨 사연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불가리아어 전공과 묶여 학부제[30]처럼 운영된다. 그렇다고 학부제처럼 칼 같이 자르는 건 아니고, 1학년 때 뭘 공부할 건지 알아서 선택하는 것이다. 그리스어가 가지는 문화적 배경 덕분인지 한국인 교수(유재원 명예교수)는 정교회 신자, 원어민 교수는 놀랍게도 정교회 한국대교구 대주교이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직업까지 있으니, 가끔 대주교가 서울 정교회 성당에서 그리스어 강좌를 여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외에도 한국에 있는 정교회 사제들이나 일부 신자들은 그리스 유학 경험이 있기 때문에, 그냥 읽고 해석하는 수준이 아니라 회화에도 능통하다.
  1. 키프로스터키어와 함께 그리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2. 엘리니키 글로사 고전 그리스어는 Ἑλληνική(헬레니케, 현대식 발음으로는 엘리니키)
  3. 물론 바이어명명법이 완전하게 별의 밝기순을 대변하지는 않는다.
  4. 사실 고대에는 발음이 달랐다. 현재에 같은 이유는 중세 그리스어에서 모음이 폭풍 단순화를 거쳤기 때문이다. 약간 다른 경우지만 한국어에서 발음상으로 ㅔ와 ㅐ의 발음이 거의 같아졌지만 표기는 여전히 있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5. 영어 표현 중에서 'That's Greek to me'라는 표현이 있다. 직역하면 '그거는 나에게는 그리스어처럼 들린다.'. 그러니깐 이게 무슨 소리야!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는 뜻이다. 이런 표현을 처음한 사람은 셰익스피어로 전해진다.
  6.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소설 정도가 예외.
  7. 비잔틴 제국 시절에는 왕족을 유배하는데 쓰였고, 오스만 제국 시절에는 '환락의 중심지'(...)였던 이스탄불 및 에게해 주변의 도서들에는 현재까지도 터키국적의 그리스인들이 상당수 거주하고 있으며 조지아에도 그리스인들이 소수민족으로 살아가고 있다.
  8. 가령 버스는 그리스어로 λεωφορείο(leoforio)인데, 라틴어 'omnibus'를 그리스화 시킨 단어다. 경찰을 뜻하는 αστυνομία (astynomia)도 '법을 수호하는 사람' 이란 뜻으로 창조된 단어.
  9.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현대 터키에서도 터키어에서 아랍어나 페르시아어의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투리든 고어든 투르크계 단어를 긁어모은 일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터키어 항목 참고. 극과 극은 통한다
  10. 모노토니코스 표기로는 Ο Άγιος Παύλος
  11. 그리스어로 담배는 τσιγάρα(찌가라)이다. 유머 속에서 주인공은 '담배 1갑'(Ενα πακέτο τσιγάρα - 에나 빠께또 찌가라) 달라는걸 '탐패 1갑'(Ενα πακέτο κιγάρα - 에나 빠께또 끼가라)라 발음하는데 이게 웃음포인트
  12. 한국식으로 동무 려권내라우의 '립국'하고 비슷하다. 북한에서도 '입국'이라고 발음하는데 두음법칙이 과도하게 적용된 것.
  13. 키릴로스와 메토디오스
  14. 보조단위인 Cent는 그리스어로 Λεπτό(렙또) - 복수형은 Λεπτά 렙따 - 며 동전에도 쓰여있다.
  15. 예를 들어 시그마(Σ)는 영어의 S에 대응한다. 총합을 뜻하는 영어 단어 Sum의 머릿글자 S를 따서 시그마란 기호를 쓰게 된 것. 수열의 모든 수를 곱하는 기호 Π(파이)도 P에 대응하여, 곱(Product)의 앞글자를 따 만든 기호.
  16. 실제 발음상으로는 둘다 '삐'에 가깝다. 기식성이 없기 때문.
  17. 악센트를 넣어서 ή라고 쓰면 '또는'(=or)이라는 뜻이 된다.
  18.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두 격이 통합되어있지만, 고대 그리스어에서는 구분되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분류가 나온다.
  19. 명사가 무성음인 κ, π, τ, 이중자음인 ξ, ψ, 두 글자이지만 1개의 음가를 갖는 μπ, ντ, γκ, τσ, τζ 로 시작될 경우에는 μιαν이라고 쓴다.
  20. 각각 대충 "헬레논 쁘로마쿤떼스 아테나이오이 마라토니 크리소포론 메돈 에스또레산 디나민 / 엘리논 쁘로마훈데스 아씨네이 마라쏘니 흐리소포론 미돈 에스또레산 디나민 정도다.
  21. 그리스인들은 페르시아를 지칭할 때 '메디아'라는 표현 역시 사용했다. 민족은 다르지만 메디아 왕국은 아케메네스 제국의 전신격이며, 아케메네스 제국에 정복당한 뒤에도 페르시아인 다음 가는 2등 민족으로 고관으로서 황제와 함께 있는 모습이 황궁 벽화에 여럿 그려질 정도로 위세를 누렸기 때문.
  22. 한국에서는 짜찌끼, 혹은 차치키로도 불리는데, 제대로 된 발음은 자지끼가 맞다. τζ발음이 영어의 j발음과 동일하기 때문인데 우리말의 ㅉ와 같은 발음은 τσ를 사용한다.
  23. 2010년대에는 긴축정책과 구조조정에 따라 최저임금이 까이면서 592유로 세대라는 말로 대체(...)되었으며경제상황을 풍자한 동명의 시트콤도 있다.
  24. 케밥 비스무리한 돼지고기 꼬치구이.
  25. 영상에서 큰 고기덩어리가 바로 그것. 저것을 깎아서 삐따에 싸서 먹거나 한다.
  26. 테오토케 파르테네라고 읽으며, 가톨릭의 성모송(Ave Maria)와는 약간 기도문이 다른데, 한국 정교회의 공식 번역문은 다음과 같다. "테오토코스, 은혜로우신 동정녀 마리아여, 기뻐하소서. 주님이 함께 계시며, 모든 여인 중에서 제일 복되시며, 태중의 아기 또한 복되시었나니, 우리 영혼의 구세주를 낳으셨나이다."
  27. 이 학교는 고대 그리스어 이외에도 라틴어나 고트어, 히브리어도 개설되는 학교다. 다만 고트어는 08년 이후로 거듭된 폐강으로 이제 더 이상 개설되진 않는다.
  28. 인문대학 대학원에 설치된 협동과정 서양고전학과정에서 주관한다. 그리스어뿐만 아니라 (고전) 라틴어, 그리스-로마 문학 등 서양 고전 텍스트 전반을 다룬다.
  29. 폐강을 근근히 넘기고 있었으나 입소문을 타고 최근에는 은근히 많은 학생들이 듣고 있는 것 같다.
  30. 학과명칭은 그냥 그리스-불가리아어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