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Hormone
1.1 개요
- 상위 문서 : 생물학 관련 정보
아마도 당신을 지배하고 있는 물질[1]
아마도 고2생물시험을 지배하고 있는 물질
동물 호르몬의 경우 특정 장기[2]에서 분비되어 혈액을 통해 전신에 산포되며, 특정한 수용기[3]에만 작용하는 생체물질의 총칭.
각각의 호르몬은 신체 내에 특이적인 수용체가 있으며 표적세포만이 호르몬에 반응한다. 이런 특정 수용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세포는 호르몬에 반응하지 않는다.
이러한 호르몬은 되먹임(Feedback)작용을 통해 신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데, 예컨대 뇌하수체는 갑상선 호르몬의 농도가 모자라면 갑상선 자극 호르몬을 많이 분비하고 넘치면 조금 분비한다. 이렇게 자신이 일으킨 변화에 의해 자신이 제약되는 되먹임을 음성 되먹임(Negative Feedback)이라고 한다. 양성 되먹임(Positive Feedback)이라는 반응도 있으며 반응이 반응을 더욱 가속시키는 움직임인데 여성의 출산 때 볼 수 있다.
어쩌면 인간의 감정과 의지를 조절하고 있을 수도 있는 물질이다. 예컨대 갑상선 호르몬의 경우, 갑상선이 미쳐서 호르몬을 많이 분비하면 활력이 넘치는 조증형 인간이 되고, 벙쪄서 호르몬을 조금 분비하면 방콕만 하려고 하는 울증형 인간이 된다. 물론 둘 다 병이다. 그 외에도 생화학자들은 인간의 의욕, 성욕, 심지어는 사랑(!)까지도 호르몬(옥시토신)의 작용이라고 주장하니, 실로 인간을 지배한다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다.
물론 이 호르몬이 동물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식물에도 호르몬이 있어서 개화나 낙과, 낙엽, 생장, 세포분열, 발아 등에 영향을 끼친다. 식물 호르몬 중에서 유명한 것 중 하나는 에틸렌으로, 식물의 노화·성숙을 도와줄 뿐 아니라 세포자살을 일으키기도 한다.[4] 그 외에도 옥신이나 사이토키닌 등의 호르몬이 있다.
1.2 호르몬의 화학적 종류
호르몬 분자는 일반적으로 폴리펩타이드, 스테로이드호르몬, 아민의 3종류로 나눌 수 있다.
폴리펩타이드와 대부분의 아민 호르몬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세포막을 이루는 인지질을 통과할 수 없어,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와 결합해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정보를 전달한다. 하지만 스테로이드호르몬과 일부 아민 호르몬은 지용성이기 때문에 인지질을 통과할 수 있어 세포 내로 직접 들어가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1.3 호르몬의 분비선
1.3.1 동물 호르몬
1.3.1.1 뇌하수체 후엽
1.3.1.2 뇌하수체 전엽
- 성장호르몬 = 생장호르몬 = GH: 생장과 물질대사를 촉진
- 프로락틴: 젖의 생성과 분비를 촉진
- 여포자극호르몬 = FSH: 생식세포의 생성을 촉진
- 황체형성호르몬 = LH: 생식소를 자극
- 갑상샘자극호르몬 = TSH: 갑상샘을 자극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한지? - 부신피질자극호르몬 = ACTH: 부신 피질을 자극하여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분비
1.3.1.3 갑상샘
1.3.1.4 부갑상샘
1.3.1.5 췌장
1.3.1.6 부신
1.3.1.6.1 부신수질
1.3.1.6.2 부신피질
1.3.1.7 생식소
1.3.1.7.1 정소
1.3.1.7.2 난소
1.3.1.8 송과샘
- 멜라토닌: 생체 주기
1.3.1.9 기타
1.3.2 식물 호르몬
1.3.3 기타
1.3.4 가공의 호르몬
세크레틴ㅅ....뭐??
1.4 여담
그런데 국립국어원 일부 관계자는 1번 항목의 호르몬이 2번 항목에서 유래된 것으로 잘못 추정하기도 한다.(관련컬럼) 물론 저 국립국어원 관계자도 독일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언급하긴 했지만, 일본어일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확신을 담아 주장한 것이 문제. 좆문가 사실은 독일어에서 유래한 표기법이지, 절대로 일본식 영어 표기가 아닌데, 우리나라에서 독일어의 위상이 낮아지다 보니 이런 안습한 오해가 빚어지고 있다.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 규정에도 독일어로 명시되어 있다.(#) 국립국어원 학예사가 자기 소속 기관의 규정도 모른다
2 일본의 고기 요리
ホルモン焼き
일본 요리에서 소나 돼지의 내장, 넓은 의미에서는 정육 이외의 모든 것을 의미한다. 곱창이나 막창이 이것과 유사하다.
호루몬(放るもん) 설에 따르면 고기 요리가 발달하지 못한 일본은 근대까지도 내장을 먹을 줄 몰라서 호루몬(放るもん, '버리는 물건'이라는 뜻의 간사이벤)로 취급하여 그냥 버렸는데, 관서지방에 많이 모여 살던 재일교포들이 당시 가난한 형편에 내장을 얻어와 요리해 먹은 조리법이 전파되었다고 한다.
다른 설로는 재일교포가 아니라 오사카의 양식 레스토랑 셰프인 키타자토 시게오가 1940년 개발한 요리이며 이름에 대해서 1의 호르몬과 연관지어 '자양강장을 위한 요리'라는 이미지를 위해 붙인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