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쿠라다이트

Sakura Dite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에 등장하는 가상의 광물.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폭발시 분홍색 폭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묘사된다. 건담
상온에서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성질을 이용하여 고용량의 배터리 제작이 가능하다. 전기문명을 뒷받침하고 있는 중요 광물이기도 하다. 또한 나이트메어 프레임의 제작시에도 대량 필요하다고 한다. 그렇지만 게피온 디스터버에는..

일본이 전세계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희귀광물이며, 이 때문에 일본은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에게 침략당했다.(…) 제대로 된 매장자원이 없는 게 일본의 현실이니만큼, 오죽하면 픽션에서라도 저러고 싶었냐는 동정을 받고 있다.[1][2] 유럽에서 현자의 돌으로 찬양받았으나 연구하는데도 부족할 수준이라 대항해시대의 주요 원인이다. 지팡구라는 뜻이 실제 매장량이 많다는 것이 아니라 이거 때문이라고도 나온다.

현실우라늄과 비슷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코드 기아스의 세계에서는 이것을 주 재료로 프레이야(=핵폭탄)가 만들어진다.[3]

액체 상태에서는 강한 폭발력을 지니고 있는 걸로 묘사된다. 이것이 잔뜩 실려있는 화물선에 공격을 자제하는 상황묘사로 봤을때 취급 잘못하면 그대로 폭발하는듯. 2기 23화에선 이것을 이용하여 인조화산폭발을 일으킨다. 도대체 어떤 작용을 하는 물건인지 궁금해진다. 그 이전에 프레이야도 사쿠라다이트로 만든거니, 잘못 취급했을 시에 폭발할지도 모르겠다.
  1. 근데 소설 보면 시베리아에서도 거대 광맥이 발견됐다는 얘기가 나온다. 얼마나 거대한지 편먹고 같이 싸워도 이길까 말까한 EU중화연방이 이거 때문에 갈라설 정도. 역시 시베리아는 이 시대 마지막 보물섬.
  2. 사실 코드기아스 뿐만아니라, 마징가 조차도 초합금Z의 원료인 재패니움은 일본에서만 채굴된다는 설정이고, 이런식의 설정은 일본 관련 서브컬쳐에는 매우 흔한 설정
  3. 다만 1기에서 니나 아인슈타인이 연구했던건 우라늄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