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조선

1 개요

단재 신채호가 독자적으로 주장한 학설. 조선상고사전후삼한고에 나타난다.

2 설명

신채호는 상고사에 대해 종래와는 완전히 독자적인 학설을 폈다. 단군조선이 존재하되, 대단군진한이 중앙인 진조선을 다스렸고 부단군인 마한변한이 각각 변방인 막조선과 번조선을 다스렸다고 했다.막조선의 영역은 만주 남부와 한반도이며, 번조선의 영역은 난하 일대에서 요동까지, 진조선은 하얼빈을 포함한 북만주 일대를 다스렸다고 했다.

3 비판

하지만 단재는 삼조선이 존재했었다는 실증 근거를 조선상고사에서는 제시하지 않고 전후삼한고에서 그 근거를 제시하였는데, 그 근거가 관련 사서의 한문을 오독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해당 구절을 보면,

自始全燕時嘗略屬眞番朝鮮 - 《사기》 조선열전

(일찍이 연나라의 전성시대에 진번과 조선을 침략하여 복속시켰다.)

이라고 언급되어 있는데, 여기에 붙은 주석으로

"燕嘗略二國以屬己也"

(연나라가 일찍이 두 나라를 공략하여 복속시켰다)

라는 말이 원래는 "진번[1]조선을 공략하였다"라고 해석해야 당시의 시대상[2] 등을 보았을 때 말이 맞는데, 이걸 그만 "진·번조선을 공략하였다"라고 해석하는 오류를 범하였고, 삼조선설은 사실상 여기서 도출된 것이기 때문에 현재 한국의 사학계는 단재의 삼조선설을 인정하지 않는다.

삼조선설에서 신채호는 기자조선을 번조선의 왕조로 보았으며, 위만조선 역시 기자조선을 잇는 번조선의 한 왕조로 보았다.
  1. 진번국, 즉 중국의 지명. 사기에 많이 등장하므로 의심의 여지가 없다. 후의 진번군도 이 국가에서 이름을 딴 것.
  2. 연나라의 전성기, 이 때 고조선은 연나라에 패해서 많은 영토를 잃고 주요 근거지 또한 요동에서 평양으로 이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