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자강

상위항목:한백무림서/등장인물

서자강(徐自剛).

산서신협(山西神俠).
초절정고수(超絶頂高手). 숭무련(崇武聯) 제일 호법.
도(刀). 곤(棍). 봉(棒). 장(仗). 창(槍). 오병(五兵)에 특히 능함.
장법(掌法) 일절. 백결연화장. 속가십대장공을 능가한다고 알려짐.
지법(指法) 일절. 이지선(二指線).
선법(煽法) 일절. 백학선(白鶴煽).
천지일기공(天地一氣功) 창안.
.......중략.......

한백무림서 인물편 제 이십 이장

주요 강호 인물 중에서

무협소설한백무림서의 등장인물. 산서신협이라는 별호를 지닌 산서성에서 제일로 손꼽히는 고수. 그 실체는 팔황인 숭무련의 무상(武上)으로서 숭무련에서도 2위의 무공을 지니고 있다.

화산질풍검의 히로인 서영령의 아버지이며 화산질풍검에 등장한다. 실종된 갈염청풍이 살해하고 검을 강탈했다 오해해 청풍을 죽이려 했으며 청풍은 뭔가 해보지도 못하고(…)[1] 박살났지만, 진천이 나타나자 서영령만 데리고 얌전히 물러났다. 청풍을 놓쳤다

사실 이 사람의 무공 수위에 대해서 이야기가 굉장히 미묘한데, 이때 진천 앞에서 외친 "싸우면 전멸이다!" 배를 버려라!가 희대의 명대사로 꼽힌다(...). 무공광 숭무련의 이인자가 외친 말이라 숭무련의 위상을 바닥에 처박은 대사. 다만 의 안전을 고려해 물러난 것이고 서영령이 없었다면 진천과 싸웠을거라고 한다. 하지만 싸웠으면 전멸은 맞다고 작가가 직접 인증해줬다(...). 무려 팔황의 2인자씩이나 되는 사람인데 수하들을 데리고 진천과 승부조차 될 수 없다는게 무척 아이러니하다. 성명무공으로 등장하는 백결연화장 역시 비교 대상이 속가십대장공이라는 미묘한 위치[2]의 무공이라 이 사람 정말로 강한가 하는 의문이 생기기도. 굳이 변명을 해주자면 완성된 십익 기준으로 둘의 협공이라면 진천도 위태해진다는데, 서자강도 본인과 동급 내지는 완성된 십익급 고수가 있었어야 계산이 섰지 싶다. 소속을 생각하면 지파 수장급인 갈염이나 능위쯤은 있어야 할텐데 그 수준을 평소에 수행인원으로 달고 다니기엔 의전이 과할 것이고. 문파 대 문파 비무대회하지 않는 이상 불시의 다툼에 동원되긴 이름값이 너무 비싸다.

화산질풍검 후반부에 청풍서영령에게 청혼하러 왔을 때 언제 원수에게 죽을 지 모르는 사람에게는 딸을 줄 수는 없지만 육극신을 꺾으면 딸을 데려갈 자격이 충분하다며 육극신을 꺾는다는 전제 하에 호쾌하게 승낙한다.[3]

청풍이 "내가 숭무련 고수를 다 꺾겠다"라며 섬서 진출을 미뤄달라는 말에 호감을 품은 듯 섬서 진출을 무기한 연기한다.

진천을 앞에 두고도 싸우지도 않고 퇴각한 일과 딸이 구파의 떠오르는 아이돌 청풍에게 시집을 간 것 때문에 숭무련에서의 입지가 많이 좁아졌다고 한다.

오호도의 이야기에서 숭무련이 본격적으로 등장할 예정이고 서자강 또한 등장이 예고되었다.

  1. 계속된 추격으로 청풍의 몸상태가 정상이 아니긴 했다.
  2. 한백무림서 세계관에서는 구파일방의 무공이 속가 무공과 격차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입정의협살문 참조. 구파도 아니고 속가에서나 꼽힌다는게...
  3. 이때 한 말이 "모든 은원을 마무리 짓고 오라. 무(武)의 증명이라면, 육극신과 겨루는 것으로 그 의지를 보이는 것도 괜찮겠지. 화산파의 촉망 받는 후기지수라 한들, 내 딸의 배필로는 달갑지 않지만 육극신을 꺾은 남자라면 이야기가 달라."로 자신과 동급이자 팔황의 수장 급의 무력을 지닌 육극신을 꺾는다면 딸이 사랑하기까지 하는 이이니 혼인 허락을 해도 좋다고 생각한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