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역사

성균관대학교의 역사

1 성균관대학교 설립 이전

조선 왕조의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을 계승하였으며 성균관까지의 연대를 합치면 역사가 600년이 넘는다. 성균관으로 이름이 바뀌기 전인, 992년에 설립된 국자감 시절까지 합하면 천 년의 역사를 자랑하지만, 성균관대는 성균관이 한양으로 이전된 1398년을 기점으로 하고 있다. 1911년 이후 성균관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성균관의 경학원(經學院)으로 변경 및 축소(1911) → 경학원 내 명륜학원(明倫學院) 설치(1930) → 명륜학원을 명륜전문학교(明倫專門學校)로 개편(1939) → 명륜연성소로의 격하(1944) → 명륜전문학교로의 재개교(1945) → 학린사(學隣舍) 및 명륜전문학교를 통합하여 재단법인 성균관대학 설립(1946)

여기서 문제는 성균관이 친일적인 경학원으로 전락한 이후의 역사를 기존 성균관의 연장선으로 인정할 수 있냐는 점 이다. 일왕의 기금으로 재설립된 경학원은 친일유림 양성, 즉 황도유학의 산실이었다. 때문에 근대적 교육기관인 성균관대학교는 조선시대의 성균관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그러나 경학원부터 명륜전문학교로 이어지던 유학자 교육기관의 성격이 현 유학대학으로 이어졌으므로, 유학자 교육기관의 성격은 여전히 계승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아울러 개교 당시 지방 각지의 향교들과 유림의 기부금으로 근대 성균관대학이 설립된 것은 성균관과 성균관대학교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1940년대 후반, 서울대학교의 모태가 일제가 설립한 경성제국대학이고, 현재의 서울대학교가 경성대학, 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고등상업학교, 수원농림전문학교 등 서울 근처의 9개의 전문학교를 단과대로 승진시켜 이들의 결합체를 서울대학교로 만든다는 탁상행정을 비판하고, 이에 반동적 원리로 조선시대부터 그 '명맥'을 이어온 성균관대가 국립대학이 되었어야 한다는 논리로 국립화 논쟁이 나오기도 했다.[1] 1990년대 초중반에도 당시 우리 사회에 민주화 성공과 함께 불어온 주체적 역사사상 확립, 좌파적 민족주의 역사주의의 재해석 바람이 재단이 퇴출되어 운영주체가 사라졌다는 상황에 힘입어 국립화 논쟁이 나왔으나, 실질적인 본교 국립화 학내 토론이나 정부에서 성균관대를 국립대로 만들려는 움직임은 없었다.

한때 유학대학 학생 가운데 장학생은 현행 천 원짜리 지폐에 등장하는 명륜당 앞 동·서재(성균관 유생들의 기숙사)를 기숙사로 이용하기도 했다. 정부기관 산하 재단법인 성균관 소속의 중요한 문화재기 때문에 그런 식의 사용방침은 불법이였으나, 관할 구청에서도 대충 묵인하고 있었다.

참고로 북한에는 고려성균관이라고 고려시대 성균관을 계승했다는 학교가 존재한다. 설립연대도 국자감이 세워진 992년. 남한의 성균관대학교는 북한의 고려성균관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물론 유학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경공업을 중심으로 하는 종합공과대학이며 1992년 기존의 개성경공업단과대학을 개편해 경공업 분야의 종합대학으로 만들면서 고려 시대 최고의 국립 교육기관이었던 성균관을 계승하는 의미에서 ‘고려성균관’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2]

2 성균관대학교 설립

오늘날의 근대식 성균관대학교는 1946년에 설립. 설립 당시 재단이 따로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굳이 말하자면 설립자이자 초대총장을 지낸 심산 김창숙 선생을 위시한 유림들 정도. 아울러 심산 김창숙 선생은 식민지 시대 후반에 보기 드물었던 유학자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며 다리를 쓰지 못할 정도로 혹독한 고문을 받으면서도 끝까지 친일파로 변절하지 않았고, 해방 이후에도 신탁통치, 분단정국, 자유당 독재에 항거하는 운동을 주도하여 조선의 마지막 선비로 불렸다.

1953년에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고 1965년부터 삼성문화재단이 학교 운영에 참여한다. 자연과학 계열 단과대들이 수원의 자연과학 캠퍼스로 이전된 것도 이 때의 일이다. 당시 삼성이 서울에 있던 학교 부지 일부를 매각하면서 이익을 챙겼다는 이유, 학내의 극렬한 반대 등등으로 결국 1977년 삼성문화재단이 퇴진한다.

삼성문화재단의 뒤를 이어 (도투락 만두로 유명했던 이동녕의 봉명그룹 산하) 봉명재단이 들어서게 된다. 봉명재단이 들어선 이후에 자연과학캠퍼스 이전이 완료되고 10여 년간 운영에 참여했으나 건학 600주년 즈음인 1991년 봉명재단은 퇴진하게 된다. 교수 졸업생 할 것 없이 성균관대학교의 최대 암흑기라고 말하는 시절이다. 봉명재단의 경영이 어려워질 때마다 학교 땅을 팔아 적자를 메웠다는 소문이 아직까지 회자되고 있다.

이후 몇 년간 재단 없이 운영되다가 다시 1996년부터 삼성이 학교 운영에 참여하게 된다. 삼성은 자사가 운영하는 병원에 공급할 의사가 필요하였기에, 자체적으로 의대를 갖고자 하였지만 수년 간 여러 번 시도에도 실패했다. 성균관대 역시 의대 설립을 추진하고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재정 상태가 열악하여 새로운 재단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게다가 자연과학캠퍼스는 경기도에 위치했고 크고 아름다운 학교부지(놀고있는 땅이 컸다) 때문에 의대 신설이 가능한 상태였다. 의대를 간접적으로라도 소유하고자 하는 삼성의료원의 의지, 의대 신설 및 기업 재단의 지원을 모두 바라는 성균관대의 의지, 경기도의 의대 정원 증원이 가능했던 현실 등이 어우러져 성균관대 의과대학이 탄생할 수 있는 상황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故 이병철 회장의 유언과 관련이 있다고도 한다.[3] 성균관대학교 의예과는 97학번이 1기로 시작된다.

재단으로 다시 들어온 후 처음에는 의대 위주의 지원이었으나 점점 그 지원 및 운영 참여가 확대되게 되었다.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같은 특성화 학과의대는 학생 전원에게 장학금을 지원 중. 이외에도 글로벌경영학과, 글로벌경제학과, 소프트웨어학과와 같은 특성화 학과를 계속 신설 중이다.

기업이 재단을 쥐고 있다 보니, 연구 수주나 PR 등에서 기업가적인 면모를 보인다. 연구 수주 시즌때는 몇개의 관련된 과들을 임시로 통폐합해서 연구 지표 관리를 해주기도 하며, PT도 기업가식으로 잘 만든다. 이외에도 재단쪽에서 적극적으로 학교 홍보 및 대외 관계 유지 등을 매우 치밀하게 하고 있다.
  1. 현대의 성균관대학교가 설립된 계기도 저게 상당히 크게 작용했다. 그러나 당시 국가에서 별 관심이 없던 터라, 부득이하게 사립으로 설립하게 된 것이다.
  2. 조선 초 한양에 성균관을 세워 이전하면서, 개성의 성균관은 향교가 되었다.
  3. 전임 서정돈 총장이 바로 이병철 회장 주치의 출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