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인트 세이야 조디악 브레이브

세인트 세이야 조디악 브레이브(코스모 판타지)
유통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플랫폼안드로이드/iOS
장르RPG
링크일본 공식 홈페이지
한국 공식 홈페이지
한국 공식 페이스북
서비스
일본안드로이드 : 2016년 1월 29일
iOS : 2016년 4월 12일

일본 : 聖闘士星矢ゾディアックブレイブ -ZODIAC BRAVE-
한국 : 세인트 세이야 코스모 판타지 -COSMO FANTASY-
대만 : 聖闘士星矢 小宇宙幻想伝 -COSMO FANTASY-[1]

1 개요

쿠루마다 마사미 원작의 동명 코믹/애니메이션을 바탕으로 30주년 기념 프로젝트 중 하나로 제작된 모바일 게임이다. 세인트 세이야에 등장하는 다양한 세인트들을 모아서 파티를 편성하고 원작 스토리를 따라 진행하는 형태의 RPG로, 전체적인 시스템은 도탑전기와 거의 비슷하다.

원래는 안드로이드와 iOS로 동시에 서비스할 예정이었으나 안드로이드 버전이 먼저 출시되었고 iOS판은 현재 출시 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 게임 서비스는 반다이 남코에서 하고 있지만 제작은 세가에서 맡았다. 전체적인 시스템이 중국에서 유행하는 도탑전기류 게임들과 동일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주요 시장 타겟을 중국 및 대만 등으로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시스템

세인트 세이야의 캐릭터들과 세계관을 가져온 것만 빼면 도탑전기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도탑류 게임을 플레이 해 본 경험이 있다면 매우 친숙한 느낌을 받을 것이다. 세인트 세이야의 껍데기를 씌운 도탑전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2.1 육성 시스템

뽑기, 혹은 퀘스트 보상을 통해 원작에 등장한 세인트들을 입수할 수 있으며, 퀘스트에 보내거나 레벨업용 아이템을 이용하여 레벨을 올릴 수 있다. 세인트는 코스모 조각을 일정 개수 모아야 얻으며 운이 좋다면 뽑기에서 완제품(?)이 나올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얻을 수 있는 최상위 레어도는 3성까지가 한계. 또한 획득한 세인트에 소우주 조각을 일정 수 모으면 진화를 시킬 수 있는데 레어도(=별의 갯수)가 올라가며 능력치도 상승한다. 이 레어도는 캐릭터마다 한계치가 다르게 매겨진 것은 아니라서, 어떤 캐릭터라도 코스모 조각만 모은다면 5성까지 진화시킬 수 있다. 또, 레어도로 올라가는 능력치의 상승폭은 캐릭터 레벨과는 관계 없으므로 저레벨때 올리든 고레벨때 올리든 같은 레벨에 도달했을 때의 캐릭터의 능력치는 똑같다. 일부 골드 세인트들의 경우에는 기간 한정 뽑기나 프리미엄 뽑기 이외에는 획득할 방법이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얻고 싶은 캐릭터가 있다면 어떤 이벤트가 열리고 있는지 잘 확인하자.
세인트마다 필요한 소우주 조각이 각각 다르게 설정되어 있는데, 주로 원작에서의 묘사에 따라 필요한 코스모 조각 수량이 늘어난다. 즉, 브론즈 세인트보다 골드 세인트쪽이 훨씬 많은 조각이 필요하며 그만큼 능력치도 높은 편이다. 물론 브론즈 세인트이면서도 능력치 면에서는 골드 세인트와 맞먹는 피닉스 잇키 등 일부 예외도 있으며, 골드 세인트라고 해서 반드시 브론즈 세인트보다 강한 것도 아니다. 캐릭터별 성능은 아래 항목을 참조.
레어도와는 별개로 클래스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원작에서는 골드 세인트라고 해도 게임 내에서는 가장 낮은 클래스인 그린에서 시작되고 6가지의 아이템을 장비하면 다음 클래스로 승격하여 스킬이 추가되는 방식으로 성장한다. 클래스는 그린→블루→블루+1→브론즈→브론즈+1→브론즈+2→실버→실버+1→실버+2→실버+3→실버+4→골드→골드+1 순으로 올라가며 블루/브론즈/실버로 승격할 때마다 스킬이 하나씩 개방된다. 클래스를 올리는 데에 필요한 아이템들은 등급이 올라갈수록 얻기 힘든 상위 아이템들을 요구하고, 또 하위 등급의 아이템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야 할 경우도 상당히 많기 때문에 부족한 재료는 상점에서 꾸준히 구매해두는 것이 좋다.
각 세인트별로 대열마다 배치할 수 있는 위치가 정해져 있다. 대열은 전열/중열/후열의 3열로 나뉘어지며 하나의 파티 당 최대 5명까지 편성할 수 있고 대열마다 정해진 숫자는 없기 때문에 후열만 5명이거나 하는 편성도 가능하다. 또한 일부 퀘스트에서는 길드원의 서포터 세인트를 불러와서 사용할 수도 있다.

2.2 퀘스트

일정 스태미너를 소비하여 퀘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크게 스토리/요일퀘스트/제한퀘스트로 나뉘어진다.

스토리의 경우 낮은 스태미너로 다양한 재료와 특정 유닛의 코스모를 모으기 위한 용도로 자주 다니며 노멀은 주로 재료,

엑스트라는 코스모를 얻기 위해 클리어 해야하나 노멀에 비에 엑스트라는 소모되는 스태미너가 많은 편이니 필요없는 유닛은 돌지
않는 것이 좋다.

요일퀘스트의 경우 평일에는 레벨업을 위한 드링크류와 골드로 환전이 되는 코인을 얻기 위해 갈 수 있고 레벨에 따라 참여가능한

등급과 보상이 틀리며 1일 2회 참여 가능하다.

제한 퀘스트는 얻기 피곤한 특정 재료를 얻기 위해 하는 퀘스트로 재료도 중요하고 미션을 위해서도 기본 3회 이상은 참여해야한다.

2.2.1 스토리 퀘스트

페가수스 세이야가 성역을 탈출하는 부분부터 원작대로 스토리를 따라가는 퀘스트로, 일부 퀘스트에서는 특정 세인트를 파티에 넣으면 원작을 재현 시나리오가 나온다. 서비스 초반 기준으로 갤럭시안 워즈편에서부터 성역 12궁편 초반까지 구현되어 있다. 퀘스트를 클리어하면 엑스트라 모드가 개방되며 여기에서는 난이도가 더 높은 대신 일정 확률로 세인트들의 소우주 조각이 드랍된다. 엑스트라 모드에서는 하나의 퀘스트 당 하루에 3회까지만 반복할 수 있다.[2]

2.2.2 요일퀘스트

요일마다 각각 다른 보상을 지급하는 퀘스트로, 클리어하면 100% 보상을 지급하며 하루에 2번씩 플레이할 수 있다. 주로 게임 머니와 경험치 아이템을 드랍한다.

2.2.3 제한퀘스트

요일퀘스트와 마찬가지로 특정 장비품 또는 장비품 제작 재료를 100% 드랍하며 하루에 5번씩 플레이할 수 있다. 제한퀘스트라는 이름답게 물리 혹은 투기로만 공격할 수 있는 적이나 브론즈 세인트로만 파티를 짜야하는 등의 제약이 있다.

2.3 배틀

2.3.1 투기장

다른 사람의 파티와 PvP를 할 수 있는 곳으로, 하루에 최대 5번 참가할 수 있으며 과금하면 참가 횟수를 늘릴 수 있다. 자신보다 순위가 높은 사람과만 붙을 수 있고, 승리하면 랭킹이 올라가고 편성해둔 방어용 파티가 누군가에게 패배하면 랭킹이 내려간다. 매일 21시에 순위를 매겨서 보상을 지급하며, 보상인 메달로 투기장 내의 상점에서 매일 갱신되는 아이템 혹은 소우주 조각과 교환할 수 있다.

2.3.2 그라드 콜로세움

기본적으로 투기장과 진행 방식이 비슷하지만 1개 파티 대 파티인 투기장과는 달리 3개 파티 대 3개 파티로 팀 배틀이 벌어진다. 60레벨에 개방되며 기본적으로 투기장과 진행 방식이 같다. 대신 3개 파티로 3선2승제 전투가 벌어지므로 적어도 10명은 최대한 키워둘 필요가 있다. 투기장과 마찬가지로 메달 보상이 주어지며, 순위에 따라 시간당 입수하는 메달의 양이 증가한다. 메달로 교환할 수 있는 보상은 투기장보다 더 좋으며, 주로 잇키와 골드 세인트들이다.

2.3.3 코스모 챌린지

NPC 파티와 15번 연속 전투를 하는 곳으로, 투기장과 전투 방식이 동일하며 투기장 랭크가 자신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파티와 전투를 벌이게 된다. 전투에서 입은 피해는 다음 전투에 그대로 가져가기 때문에 적절한 회복요원 혹은 세인트들을 최대한 여럿 키워두는 편이 좋다. 전투에서 1회 승리할 때마다 게임 머니 및 메달, 아이템, 소우주 조각을 지급하며 매일 갱신되는 상점에서 원하는 소우주 조각이나 아이템과 교환할 수 있다.

투기장 랭크에 따라 NPC 파티를 결정되는 시스템 상 운이 없다면 과금 파티를 만나서 끔살당할 확률이 매우 높으므로 투기장에서 1승만 하던가 방어용 파티를 1레벨 1명만 넣어두는 등 랭킹을 최대한 낮춰 두면 NPC 파티 역시 낮은 랭킹의 파티가 나오기 때문에 비교적 부실한 투기장 보상을 희생하는 대신 확실하게 15연속 전투를 모두 클리어해서 보상을 챙기는 편법이 존재한다.

2.4 길드

32레벨이 되면 길드에 가입하거나 스스로 창설할 수 있다. 길드 멤버들은 자신이 소유한 성투사들 중에서 최대 2명까지 길드 서포터로 등록시킬 수 있는데, 등록해 놓은 서포터를 다른 길드원이 퀘스트 혹은 레이드 등에서 빌려서 사용하면 그만큼의 골드를 보상으로 받게 된다. 서포터로 등록한다고 해서 그 세인트를 자신이 일반 퀘스트에서 쓰지 못하는 것은 아니니 가급적 최대한 전투력이 높은 캐릭터나 레이드 모드에서 효율이 높은 캐릭터를 등록하는 것이 좋다. 물론 아무도 사용하지 않는다고 해도 등록해놓고 시간이 지나면 어느 정도 돈을 받을 수 있다.

길드 전용 콘텐츠로 차례차례 등장하는 강적을 길드원들이 공격해서 체력을 깎는 방식의 레이드 모드가 있다. 스토리 퀘스트상에서 간혹 등장하는 보스 대전 모드와 같은 형식의 5:1 대전을 하게 되는데 충전 스킬을 강화시키는 성명점 찬스는 이 모드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하루에 최대 4회까지 참가할 수 있고 강적의 체력을 많이 깎은 순서대로 보상을 받는다. 레이드 시작은 길드 마스터 혹은 서브마스터에 의해 길드포인트 10점을 소모하여 시작이 가능하며 일정기간 동안 모든 적을 격파하면 조기 클리어 보상을 받는다. 레이드 중간에 초기화를 하기 위해서는 3만점의 길드포인트가 필요하다. 이 길드포인트는 길드원들이 스테미너를 소모한 만큼 적립된다.

보상인 레이드 메달로는 투기장/코스모 챌린지와 같이 길드 전용 상점에서 소우주 조각이나 아이템으로 교환할 수 있다. 레이드 참가시 파티 편성은 다른 퀘스트와는 달리 자신의 유닛은 3명만 선택 가능하고 나머지는 유닛은 길드원들이 등록한 서포트 유닛 2명으로 구성된다. 참가 가능한 서포트 유닛은 자신의 레벨 ±20레벨이다. 레이드 중 간혹 추적자가 나타났다는 이벤트가 발생하는데 현재 진행중인 보스 스테이지까지 추적자를 저지하지 못하면 보스가 강화된다. 이는 특별한 대전 없이 스태미너 10을 소모하여 적의 숫자를 줄일 수 있으며 추적자 처치에 참여해도 마찬가지로 레이드 메달을 획득 가능하다.

이 레이드 메달로 알데바란/아르골/아프로디테/블랙 페가수스의 코스모를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길드에 반드시 가입하는 것이 좋으나, 레이드를 하지 않는 길드라면 들어가는 의미가 없다. 본인의 길드가 레이드 모드를 개방했다면 열심히 참여하자.

2.5 상점

일정 시간을 주기로 판매품의 목록이 바뀌는 상점으로, 각종 소우주 조각이나 장비품 및 재료를 유료 캐시나 게임 머니로 구입할 수 있다.

스토리 퀘스트를 클리어하다보면 랜덤으로 레어 상점 혹은 프리미엄 상점이 오픈되며 이곳에서는 일반 상점보다 더 좋은 상품이 올라오기
때문에 열릴 때마다 부지런히 들려 보는 것이 좋다.
(단, 즉시 완료 티켓으로 클리어하면 등장하지 않는다)

또한 금화나 은화 등 판매 전용 아이템들은 상점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팔아서 게임 머니로 바꿔준다.

3 등장 세인트

서비스 초반 기준으로 게임 내에서 구현된 성투사들은 브론즈/실버/골드 세인트의 일부로, 가샤 혹은 퀘스트 드랍이나 상점 구입 등을 통해 소우주 조각을 모아서 얻을 수 있다. 기본적으로 원작과 마찬가지로 등급이 높을 수록 총합 능력치가 높은 편이지만 전투 시스템 상 평타 대미지 딜링보다 독이나 디버프 등이 훨씬 유용하기 때문에 일부 세인트들의 성능은 게임 내 성능은 원작의 활약상과 전혀 다른 것이 특징.

3.1 브론즈 세인트(청동 성투사)

페가수스 세이야의 높은 체력과 회복력의 원작 구현을 제외하면 피닉스 잇키를 제외한 브론즈 세인트 주인공 4인은 능력이 영 시원찮다. 오히려 게임 제목을 세인트 쟈부나 세인트 이치로 바꿔야 할 정도로 시스템의 혜택을 받아 원작의 듣보잡들이 주인공들보다 훨씬 강력한 것이 특징. 다만 패치가 계속되면서 원작에서 등장했던 신생 성의나 황금 성의를 걸친 청동 좀비 5인방들이 계속 출시되고 있으므로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봐야한다. 제한 퀘스트 중에는 브론즈 세인트만으로 파티를 만들어 플레이해야 하는 퀘스트도 있으므로 강한 캐릭터들을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좋다.

  • [전열]페가수스(Pegasus) 세이야 - TV 버전
게임 시작과 동시에 1성 세이야를 하나 얻을 수 있다. 전방에 위치한 만큼 기본 HP가 무지막지하게 높고 웨이브가 끝날 때마다 회복하는 양도 상당하지만 방어력은 그렇게 높은 편이 아니라서 독과 적의 집중 공격에 순식간에 깎여나간다. 게이지를 모아 쓰는 필살기인 페가수스 유성권이 히트수가 많고 맞으면 스턴에 걸리지만 공격력이 낮고 레벨이 높은 적에게는 미스가 잘 나는 점이 흠.
  • [전열]페가수스(Pegasus) 세이야 - 원작 코믹스 버전
사전 등록 보상으로 게임을 시작하고 튜토리얼인 2장을 마치면 원작 코믹스 버전으로 1성 세이야를 받는다. 2016년 2월 말까지 30레벨을 달성하면 2성으로 진화시킬 수 있는 소우주 조각을 지급하며 3월 말까지 40레벨을 달성하면 3성까지 진화시킬 수 있는 조각을 서비스 오픈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 TV판과 같이 대열 위치는 전방이며 TV판에 비해 HP가 낮은 대신 공격을 맞출 때마다 HP를 회복하는 능력과 페가수스 유성권이 일반 공격이고 스피드 다운 추가 옵션이 붙었으며 관통 능력을 지닌 페가수스 혜성권이 차지 필살기이다.
  • [중열]드래곤(Dragon) 시류
세이야와 마찬가지로 튜토리얼 가샤에서 1성 시류를 하나 받는다. 차지 필살기가 한방 타입이라 초반에는 쓸만하지만 일반 스킬들의 빈틈이 너무 커서 다른 성투사들을 얻기 시작하면 버려진다.
  • [중열]시그너스(Cygnus) 효가
스토리를 일정 수 진행하면 미션 달성 보상으로 1성 효가를 받을 수 있다. 차지 필살기인 다이아몬드 더스트가 적 전체를 공격하며 일반 스킬인 프리징 링도 다수의 적을 공격하고 오로라 선더 어택도 적을 얼리는 등 스킬 구성이 그렇게 나쁜 편은 아니지만 히드라 이치가 딜러로서는 더 우수한데다 신생 효가가 비교도 안될만큼 강력해서...
  • [중열]신생 시그너스(Cygnus) 효가
4월 로그인 보너스로 배포된 캐릭터. 오리지널 효가보다 압도적으로 강력하다. 충전 스킬이 오로라 선더 어택이 되었고 광역 공격으로 바뀌었으며 다이아몬드 더스 트는 일반 스킬로 내려왔고 감속 효과가 부여되었다. 새롭게 부여된 다른 두 스킬이 상당히 강력한데, 동결권은 단일 대상 한정이긴 하지만 고 데미지+즉시 빙결 효과를 가진 좋은 스킬. 마지막 패시브는 아군 전체의 충전 게이지를 초당 회복시키는데 신생 효가가 없는 파티와 비교해보면 충전 속도가 넘사벽의 차이가 난다. 때문에 충전 스킬이 고데미지 광역기인 히드라 이치나 블랙 스완과의 조합은 완벽 그 자체. 자체 딜링 능력도 평균 이상이라 나무랄데 없는 강캐.
  • [후열]안드로메다(Andromeda)
능력치는 고만고만한데다가 일반 스킬은 부실하고 차지 스킬도 공격계가 아니라 공격 흡수+회복계라서 만인에게 버림받는 불운한 세인트. 최종 스킬이 아군 전체 공격력을 올려주지만 후반 레벨업이 매우 느리기 때문에 최종 스킬 개방까지 시간이 엄청나게 걸리는 반면 로그인 보너스로 받는 샤이나가 초반부터 파티 전체 공격력 상승 버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잉여 신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형님 소환하기 스킬이나 가져왔으면 좋겠지만 형님은 따로 나오니
  • [전열]피닉스(Phoenix) 잇키
서비스 초반 기준으로 브론즈 세인트면서도 능력치는 골드 세인트와 맞먹는 강자. 차지 필살기 봉황 환마권에는 스턴 효과가 붙어 있고 일반 스킬로는 봉익천상을 쓰는데 데미지가 상당히 강력한 광역 스킬이다. 여기에 아군 전체에 HP 흡수 버프를 걸어주는 봉황의 날갯짓까지 갖추고 있으며 실버 클래스 스킬인 불사조는 전투중에 한 번 누워도 부활하는 사기급. 또다른 장점이라면, 잇키가 한번 다운되어 부활하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리는데, 이때도 적의 어그로는 계속 잇키에게 유지되어 공격들이 모조리 헛방을 날리는 꼴이 되어버린다. 광역 공격은 어쩔 수 없지만 그 시간동안 아군이 공격 대상이 되지 않는 것만으로도 큰 장점. 차지 스킬과 일반 스킬 어느것 하나 버릴것이 없는 강력한 세인트로 현 브론즈 세인트 중에서는 최강이다.
  • [전열]유니콘(Unicorn) 쟈부
원작에서는 초반에 사라지는 엑스트라성 세인트인 덕분에 다들 거들떠보지 않았지만 세이야와 능력치가 비슷하고 차지 필살기는 발로 하나의 대상에 연타를 날리며 일반 스킬이 적의 명중&회피를 상당히 깎고 돌진 스킬로 적에게 스턴을 걸기 때문에 재조명받아 오히려 세이야보다 훨씬 쓸만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중열]히드라(Hydra) 이치
쟈부와 마찬가지로 비호감 외모와 원작의 활약상은 볼품이 없으나 이 게임에서는 그야말로 용이 되었다. 돌진기인 멜로우 포이즌은 데미지도 강력하고 이 게임에서 독을 걸수 있는 몇 안되는 스킬. 다른 일반 스킬로 광역 공격을 가지고는 있지만 데미지는 크게 기대할 수준은 못 된다. 주목해야 할 점은 충전 스킬인 고져스 팽. 데미지가 그야말로 미친듯이 강력해서 알데바란의 보호막이 없는 상대라면 왠만큼 레벨이 높아도 한방에 골로 보낼 수도 있다. 이걸 맞고 상대가 두 명 이상 뻗으면 이치의 충전 게이지도 그만큼 올라가기에 난사까지 할 수 있는 것이 또 장점. 엑스트라 퀘스트에서 코스모를 얻기도 비교적 쉬워서 육성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없다.
입버릇처럼 외치는 퍼펙트! 가 스킬명으로 되어 있는 점이 특징. 스킬 네 개중 세 개가 죄다 자기 버프기이다. 문제는 공격력과 공격 속도가 올라가는 것은 좋은데 해 당되는 것은 자기 하나 뿐이고 그마저도 방어력이 깎이질 않나, 공격 수단이라고는 평타와 충전 스킬인 데드 하울링밖에 없다는 것. 더군다나 데드 하울링의 데미지가 특별히 강력한 것도 아닌데다 광역 공격 수단이 이것 하나 뿐이라는 것도 문제. 때문에 고레벨로 올라갈수록 다른 세인트들에 비해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 [전열]라이오넷(Lionet)
무개성의 잉여 세인트 2. 특이한 점이라면 웨이브가 시작된 직후에는 필드에 나와있지 않다가 잠시 후에 라이오넷 봄버로 적진에 돌진하며 등장한다. 적들을 밀쳐내고 잠시 경직을 거는 성능이 있지만 스킬 레벨이 높지 않으면 별로 효율이 좋지 않고 데미지도 낮은 편. 거기다 반이 등장하지 않는 동안 중열이나 후열의 다른 세인트들이 공격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전열에 반 이외의 세인트가 하나 더 있어야 한다.
  • [후열]카멜레온(Chameleon) 쥬네
스토리 퀘스트 클리어 보상으로 1성을 하나 얻을 수 있다. 전투 능력이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지만 차지 필살기가 아군 전체 지속형 회복이라서 독에 걸렸을 때나 소우주 챌린지 등에서 활약할 기회가 많다. 또한 일반 스킬 역시 적 하나를 일시적으로 아군으로 돌아서게 만드는 것이라서 비교적 쓸만한 지원형 세인트.
무개성의 잉여 세인트 3. 몸빵 자체는 그럭저럭 쓸만하지만 그 외는 전혀.
전 세인트 중에서 최하의 능력치. 정식 세인트도 아니고 원작에서는 고기방패가 되어서 죽어버릴 정도니 성능은 말할 것도 없다.

3.2 블랙 세인트(암흑 성투사)

원작에서는 주인공 일당들에게 모조리 털리는 신세였지만 게임에서는 정 반대. 원작에서도 잡몹(?)이었던 피닉스 하나 빼고 각각 대응하는 브론즈 세인트들보다 압도적으로 뛰어나며 왠만한 골드 세인트들보다도 강력하다. 특히 블랙 페가수스는 단점이 하나도 없는 완전체 혹은 OP라는 말을 들을 정도.

능력치는 평범하지만 비공을 찔러 가장 HP가 낮은 아군을 회복시키는 스킬과 스턴기 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알데바란 등 압도적으로
우월한 전열 캐릭터가 있다면 보조 전열 캐릭터 겸 회복역으로 파티에 넣어두면 나쁘지 않다.
무과금의 신이라는 한 마디로 표현 가능하다.[3]
엑스트라 퀘스트 드랍으로 나오기 때문에 드랍 운이 따라줘야 하지만 꾸준히 모으면 비교적 어렵지 않게 얻을 수 있다. 이 게임에서 히드라 이치와 함께 유이하게 독 속성 공격이 가능한데, 사실 독 데미지로 따지자면 이치는 블랙 페가수스에게 비교도 안될 정도. 차지 스킬인 암흑 유성권은 자체 데미지+독을 거는데 이 도트 데미 지가 어마어마하게 아프다. 거기에 일반 스킬인 블랙 쇼크는 페가수스 혜성권과 비슷한 관통형 범위 공격인데, 독+방어력 감소를 걸고 이 도트 데미지는 블랙 유성권 의 독과는 따로 취급된다. 덕분에 블랙 페가수스가 파티에 있다면 상대방 대부분이 보랏빛으로 물들어 독이 말라죽는 꼴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게임 시스템 상 독에 대한 내성치가 존재하지 않고 독 대미지는 스킬 레벨에 따라 증가하며 고정값으로 깎이기 때문에 무지막지한 체력의 적이 나오는 레이 드 모드에서도 대활약한다. 세이야와는 달리 후열에 위치하는 바람에 적에게 맞을 일도 적은데다가 후열에 걸맞지 않게 능력치도 탄탄하고 물리 데미지 증가+투기 데미지 내성 패시브 스킬까지 달려 있기 때문에 평타 딜링과 방어력 모두 준수하다. 적으로 등장하면 끝까지 안죽고 아군을 독으로 괴롭히기 때문에 뒷목을 잡게 만 든다.
기본적으로 효가와 비슷한 스킬과 능력치를 지녔는데 충전 스킬 블랙 블리자드는 효가의 다이아몬드 더스트보다 데미지가 훨씬 강력한데다 넉백 기능이 달려 있고, 프리징 링과 비슷한 암흑 냉기는 효가와는 달리 적에게 튕겨지지는 않지만 데미지가 더 강하고 스턴 기능이 달려 있다. 여기에 세번째 공격 스킬 블랙 킥은 공중으로 뛰어올라 발차기를 연속으로 먹이는 기술인데, 데미지도 상당히 강력하고 마린이나 시류의 비슷한 날아차기 공격과는 달리 거의 제자리에서 시전하기 때문에 적의 공격에 노출될 위험도 적은 편. 후열에 서는 데미지 딜러로 매우 우수한 캐릭터.
안드로메다 슌과는 달리 중열에 서며 스킬들이 서포트가 아닌 딜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스턴기도 있고 광역 딜링 스킬도 가지고 있지만 데미지가 그다지 강력한 편은 아닌 것이 단점. 하지만 충전 스킬인 블랙 네뷸러 체인의 딜링이 미친 듯이 강력한데다 체력 흡수까지 달려있어 생존력이 매우 높다. 때문에 다른 모드에서는 블 랙 페가수스나 블랙 스완만큼 위력을 발휘하지 못하지만 레이드 모드에서만큼은 넘사벽. 혼자서 20만 이상의 딜을 넣는 미친 효율을 보여준다. 빠른 레이드 진행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캐릭터.
능력치 자체는 그렇게 높은 편은 아니지만 퀘스트에서 자코급으로 쏟아져 나오며 셀프 버프 스킬과 툭하면 쓰는 관통형 돌진기로 아군의 전열을 눕히거나 아군 뒤로 돌아들어가서 진형을 어지럽히는 등 꽤나 귀찮은 적이지만 아군이 쓰면 적으로 등장할 때만큼의 활약을 하지 못한다. 우선 충전 스킬이 공격기가 아닌 버프기인데, 공격력과 회복력 모두 상승시키지만 자신에게만 한정되는 것이 단점. 공격 수단이라고는 평타와 암흑 봉황 환마권 둘뿐이다. 크리티컬 확률을 높이는 패시브를 가지 고는 있지만 공격 수단이 부족한 탓에 효율이 높지 않다.

3.3 실버 세인트(백은 성투사)

튜토리얼 가샤에서 1성 마린을 하나 받을 수 있다. 능력치는 고만고만하고 차지 스킬은 발로 쓰는 유성권이라 세이야의 그것과 장단점이 같고 적을 침묵시키는 일반 스킬을 갖고 있기 때문에 평가는 중간 정도.
1~2월 로그인 보너스로 받는 소우주 조각을 모아서 얻는다. 무난히 쓸만한 위력의 전체 공격기와 웨이브 시작시마다 아군 전체에 공격력 상승 버프를 걸어주기 때문에 상당히 쓸만하다. 몇 안되는 여성 세인트 중에서 가장 강력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스토리 진행중에는 가면을 벗은 일러스트도 나오기 때문에 모두가 한 목소리로 가면 벗은 버전을 추가해달라고 외치는 중.
3월 로그인 보너스로 받는 소우주 조각을 모아서 얻는다. 스킬이 하나같이 상대방의 가장 후열에 위치한 적을 공격하는 것이 특징이며 전체적인 능력치도 양호한 편이다. 스킬의 특성상 후열의 강력한 유닛 암살에 뛰어나다.
4월 로그인 보너스로 받는 소우주 조각을 모아서 얻는다.
엑스트라 퀘스트 드랍으로 소우주 조각을 모을 수 있다. 능력치는 실버 세인트 평균을 약간 상회하며 적 전체에 대미지와 동시에 침묵을 거는 필살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법 쓸만한 편이다.
  • [중열]페르세우스(Perceus) 알골
가샤 혹은 상점울 통해서만 입수할 수 있으며 적 전체를 석화시키는 필살기가 강력하다. 침묵에 걸리면 평타만을 쓸 수 있는것에 반해 석화되면 아예 아무것도 못하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상대를 때려줄 수 있다. 단 효과가 강력한 만큼 스킬 레벨보다 레벨이 높은 상대에게는 잘 안걸린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스킬 레벨을 언제나 최대치로 유지해주는 것이 좋다.

3.4 골드 세인트(황금 성투사)

리세마라 1순위. 이 게임 최고의 0티어 탱커이다. 브론즈 클래스로 진화시키면 매 웨이브마다 대미지를 일정치 흡수하는 바리어를 아군 전체에 치는 스킬을 익히는데 이 바리어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독 데미지조차 무시할 수 있기 때문에 파티의 생존력이 크게 늘어난다. 충전 스킬인 그레이트 혼은 준수한 데미지+넓은 공격 범위+넉백 기능을 가진 삼위일체 스킬. 자동 스킬 역시 적에게 스턴을 걸기 때문에 스킬 하나 하나가 버릴 것이 없다. 알데바란이 나오면 1성이라도 바로 리세마라를 종료해도 좋을 정도로 모두가 원하는 골드 세인트.
사가는 튜토리얼 전투에서만 잠시 출현하며 가샤를 통해 뽑을 수 있는 것은 사가가 조종하는 제미니의 허상 버전이다.

능력치는 골드 세인트 중에서 평균적이나 공격 속도가 느려서 데미지 딜링을 기대하기는 힘들지만, 충전 스킬인 어나더 디멘션은 최후방의
캐릭터를 강제로 최전방으로 끌어와 일점사를 가능하게 해주며 적의 방어력을 무시무시하게 깎아낼 수도 있고, 아군 전체의 데미지를 상시
증가시키는 등 가까워서 서포팅에 제법 효율적인 캐릭터. 스토리 및 투기장보다는 레이드 모드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역습의 게자리. 중열 최강의 데미지 딜러로, 방어 관련 능력치는 약간 낮지만 공격계 능력치가 제법 높고 스킬 구성이 굉장히 좋다. 주목할 스킬은 적 또는 아군이 다운될때마다 데스마스크의 공격력이 올라가는데, 이 버프가 퀘스트 모드의 경우 스테이지가 끝날때까지 유지가 되므로 3번째 웨이브쯤의 데스마스크는 평타 한방에 스칼렛 니들급 데미지를 뽑아내는 괴물이 된다. 충전 스킬인 적시기 명계파는 전방으로 느리게 날아가는 광역 공격기로 적중시키기까지는 시간이 좀 걸리지만 자체 공격력도 높은 편인데다 공격력 버프까지 걸린 상태에서 사용할 시 그야말로 압도적인 위력을 자랑한다. 따라서 전열의 세인트들이 공격을 잘 막아준다면 하나 하나 쓰러지는 적들로 데스마스크의 공격력을 끌어올려 나중에는 아예 녹여버릴 수 있다. 체력 흡수도 높고 적의 물리 공격력을 깎아버리는 패시브까지 갖고 있는 강캐.
사전등록 보상으로 튜토리얼이 끝나면 1성 아이올리아를 받을 수 있고 매일 로그인 보상으로 3월 말까지 소우주 조각을 주기 때문에 꾸준히 로그인하면 3월 말에 3성까지 진화시킬 수 있다. 현재까지 등장한 유일한 신성의를 걸친 캐릭터라 좋아보이는데 막상 실속은 별로 없다. 돌진기인 라이트닝 바이트가 강력한 데미지에 적의 명중력을 크게 감소시키지만 단일 대상 한정이라는게 단점. 라이트닝 볼트는 무난한 데미지의 관통형 스킬이고, 패시브 스킬은 자신의 행동 속도를 퍼센트 단위로 상승시킨다. 여기까지는 그래도 괜찮지만 충전 스킬인 라이트닝 플라즈마의 위력이 정말 형편없는 수준. 단 하나, 레이드 모드에서는 적의 명중력을 감소시킨다는 점을 살려 아군의 생존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중열]비르고(Virgo) 샤카
나중에 나올 세인트가 먼저 나오는, VIP등급 일정 이상만이 사용할 수 있는 프리미엄 가샤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다. 능력치가 평균적으로 높고 스킬의 대부분이 공격 끊기 및 방해 계열이라서 강력해 보이지만 행동 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제대로 쓰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소유자 역시 얼마 되지 않아서 아직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후열]스콜피온(Scorpion) 미로
가샤 외에도 유저 레벨 20 전까지 구입할 수 있는 초보자팩 3종을 모두 구입하면 1성 미로를 하나 얻을 수 있는 소우주 조각을 준다. 체력이 가장 낮은 적을 집중적으로 공격하며 행동을 캔슬시키는 스킬을 갖고 있고 위력 역시 강력하기 때문에 평가가 높다.
  • [전열]카프리콘(Capricon) 슈라
전위 캐릭터인 만큼 능력치는 준수한 편이지만 오라 능력치가 가장 높은 적을 우선적으로 공격하는 스킬 위주로 되어 있어서 전위 주제에 제자리를 지키지 않고 이리저리 워프를 해 대기 때문에 아군 중위와 후위가 피해를 받는 일이 많아서 평가가 좋지 않다. 스킬 한 방의 위력은 높은 편이지만 쓰려고 준비하는 자세가 길어서 죽은 적에게 스킬을 날리는 상황이 종종 벌어진다.
  • [중열]아쿠에리어스(Aquarius) 카뮤
충전 스킬인 오로라 엑스큐션이 적 전체 데미지 + 빙결 효과를 가지고 있고 일반 스킬인 프리징 코핀도 빙결 효과를 갖고 있다. 효가와 마찬가지로 다이아몬드 더스트를 갖고 있는데 데미지 자체는 쓸만하지만 공격 범위는 타겟 주변에 한정되어 있어서 적 다수를 맞추기가 어려운 편. 4번째 스킬로는 초당 데미지를 관통으로 거는 스킬을 보유해서 나름대로 스킬 구성은 괜찮은 편이고 노멀 효가보다는 확실히 강력하지만 의외로 한방 한방의 데미지가 안나와서 아쉬운 캐릭터.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석화나 침묵과는 달리 빙결 효과는 약간 시간이 지나야 발동된다는 것도 단점.
다수의 적에게 장미를 꽂아서 체력을 빨아먹는 스킬을 지녔으나 자신만 회복하기 때문에 힐러로 사용할 수 없다. 단 범위 공격의 위력 자체는 꽤나 높은 편이다.

4 프리미엄 랭크

  • 과금을 해서 올릴거나 퀘스트를 완료해서 얻는 프리미엄 포인트로 랭크를 올릴 수 있으며 랭크가 오를수록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프리미엄 랭크는 15랭크 까지 있으며 그로 인한 특전은 다음과 같다.

  • 15랭크시

스태미너 구매 가능 횟수 1일 16회
아테나의 기적 이용 가능 횟수 1일 300회
세인트 스톤 구매 시 보너스 +120%
스킬 포인트 구매 가능 횟수 1일 30회
즉시 완료 티켓 배포 수 매일 160장

엑스트라 퀘스트 도전권 구매 가능 횟수 1일 14회
투기장 도전권 초기화 가능 횟수 1일 13회
그라드 콜로세움 도전권 초기화 가능 횟수 1일 13회
레이드 배틀 도전권 초기화 가능 횟수 1일 3회
스킬 포인트 소지 수 +20 포인트
길드 멤버 응원 가능 횟수 1일 3회
서포트 세인트 상한 4명
코스모 챌린지 도전권 초기화 가능 횟수 1일 2회

스태미너 구매나 아테나의 기적 이용 횟수, 스킬 포인트 구매 가능 횟수는 늘어봐야 사용하려면 세인트 스톤을 소모하며 이용횟수가

증가할 수록 소모되는 스톤의 양도 늘어나기 때문에 과금러가 아닌이상 1랭크 이상은 굳이 올리려고 노력할 가치는 없다.

적정하게 과금을 한다면 3~4랭크정도로도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움이 될만한 서포트 세인트 상한은 12랭크에서나 3명으로 늘어나고 14랭크에서나 4명이 되기때문에 핵과금러가 아닌 이상 굳이

올릴 이유가 없다.

5 그 외

  • 사전등록자 보상이 개인별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접속자 전체에게 배포되며 보상을 지급하는 시기는 튜토리얼이 끝나는 2장 종료이기 때문에 15~20분 정도 걸린다. 하지만 보상으로 받는 유료 캐시로 10연 가샤를 한 번 돌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골드 세인트를 뽑는 리세마라를 한다. (현재는 적용되지 않음.)
  • 미션창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던가 레이드 모드에 들어갈 수 없는 등 버그가 상당히 많고 점검을 하면 연장은 기본이라서 정말로 세가에서 제작한 게임인지 의심하거나 운영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다.
  • 서비스 초반 기준 투기장 상위 랭커들의 파티는 알데바란/잇키/데스마스크/암흑 페가수스/샤이나로 거의 고정된 상태.
  • 게임상에는 표기되지 않으나 케릭터 생성시 서버가 몇개로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랭킹이나 채팅을 통해서 같은 서버라고 확인하지 않으면

지인과 틀린 서버에서 시작할 수 있으니 주의

6 참고 자료

세인트 평가표

일본 세인트 세이야 조디악 브레이브 공략 사이트의 내용을 번역 (6월 2일~4일자 포스팅)
http://xn--o9j0bk3keh0fwfzbxbzmb8z8232cfvqb67cq43gjmjxo4bk58f.com/post-979/
http://xn--o9j0bk3keh0fwfzbxbzmb8z8232cfvqb67cq43gjmjxo4bk58f.com/post-976/
http://xn--o9j0bk3keh0fwfzbxbzmb8z8232cfvqb67cq43gjmjxo4bk58f.com/post-972/

이름┃퀘스트┃투기장┃코스모챌린지┃레이드┃평가┃

전열

사지타리우스 세이야┃?┃?┃?┃?┃?┃
타우러스 알데바란┃10┃10┃10┃10┃SS┃
피닉스 잇키┃9┃9┃10┃8┃SS┃
제미니 사가┃9┃9┃9┃?┃S┃
카프리콘 슈라┃7┃8┃6┃8┃A┃
유니콘 쟈부┃7┃9┃8┃7┃A┃
웨일 모제스┃7┃7┃7┃?┃B┃
페가수스┃7┃7┃7┃6┃B┃
라이오넷 반┃7┃7┃8┃?┃B┃
신생 페가수스 세이야┃6┃6┃6┃6┃C┃
베어 게키┃6┃6┃7┃?┃C┃
블랙 드래곤┃6┃7┃7┃?┃C┃
카시오스┃5┃6┃6┃?┃D┃

중앙

라이브라 도코┃?┃?┃?┃?┃?┃
캔서 데스마스크┃9┃9┃7┃8┃SS┃
신생 시그너스 효가┃10┃9┃10┃?┃SS┃
히드라 이치┃10┃7┃10┃8┃SS┃
아쿠에리어스 카뮈┃10┃8┃8┃8┃S┃
페르세우스 아르골┃7┃10┃8┃7┃S┃
피스케스 아프로디테7┃9┃7┃7┃A┃
하운드 아스테리온┃8┃8┃8┃7┃A┃
드래곤 시류┃7┃9┃7┃?┃A┃
시그너스 효가┃9┃6┃9┃6┃A┃
갓 크로스 레오 아이오리아┃8┃7┃7┃6┃
블랙 안드로메다┃5┃6┃5┃5┃D┃
비르고 샤카┃4┃4┃4┃5┃E┃

후열

신생 드래곤 시류┃?┃?┃?┃?┃?┃
아리에스 므우┃10┃10┃10┃??┃SS┃
사지타리우스 아이오로스┃9┃10┃10┃?┃SS┃
블랙 페가수스┃9┃10┃8┃10┃SS┃
블랙 스완┃10┃9┃10┃6┃SS┃
오퓨크스 샤이나┃9┃9┃8┃6┃S┃
제미니 ???┃6┃6┃6┃10┃A┃
스콜피온 미로┃7┃8┃7┃7┃A┃
이글 마린┃7┃9┃7┃5┃A┃
울프 나치┃8┃8┃8┃6┃A┃
리자드 미스티┃7┃8┃7┃?┃B┃
블랙 피닉스┃7┃6┃5┃?┃C┃
안드로메다┃5┃5┃6┃5┃D┃

카멜레온 쥬네┃4┃5┃5┃5┃E┃
  1. 한국/일본/대만에서 동시에 사전등록자 접수를 진행했고 국가별 다른 명칭으로 서비스하나 게임 내용 및 이벤트 진행 등 운영은 동일하다.
  2. 과금을 하면 제한 회수를 늘릴 수 있다.
  3. 물론 골드 세인트를 종류별로 모두 갖춘 핵과금러들 역시 애용할 정도로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