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레우코스 왕조(로마: 토탈 워)

그리스계 팩션
그리스셀레우코스마케도니아트라키아

2487700-seleucid_faction_symbol-vanilla.png

그리스인은 세계를 지배할 능력이 있다. 알렉산더가 그것을 해낸 적이 있다. 그는 그리스 군대를 저 멀리 인도까지 진출시켰다. 세상에 더 이상 정복할 지역은 없었다. 세계는 그의 것이었다. 하지만 알렉산더는 죽었고, 그의 제국은 갈라졌다. 그래서 우리가 이 험악한 세상에 사는 것이다. 그리스의 자유민들은, 저 밖의 적과 싸우는 대신 그들끼리 갈라섰다. 그 밖의 적들은 정작, 그리스인이 이루어놓은 것들을 질투하고 시기하고 있었는데도 말이다!

알렉산더가 지하에서 통곡할 것이다. 죽은 자가 통곡할 수 있다면야 말이다. 나도 그의 자리에서 울겠지만, 그래도 난 희망을 놓지 않을 것이다. 세계는 변화한다. 변화해서, 곧 제자리로 돌아올 것이다. 운명의 세 여신들은 운명의 실을 계속 잣고 있다. 그러니 이제, 아마 신들께서 그리스인이 세상을 다시 지배하길 바라실 수도 있다. 아마 새로운 알렉산더가 칼을 들고, 혼란스러운 세상에 질서를 가져와, 인간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다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이 인트로는 그리스, 셀레우코스, 마케도니아, 트라키아가 공동으로 사용한다.

1 팩션 소개

난이도주적특화 유닛
★★★★[1]이집트, 폰투스, 브루투스 가문[2]다양한 조합
추천 획득 속주
시돈, 예루살렘[3], 할리카르나소스[4]
세력 특성
초반 많은 적, 다소 약한 초반 병력, 코끼리, 낫전차, 카타프락트, 군단병을 위시한 막강한 후반 병력
장점좋은 병종들[5]의 조화, 불가사의 선점으로 인한 운영 유리
단점초반 5개 팩션[6]의 합동 공격다굴으로 인한 난이도 급상승, 법 계열 신전 부족

1.1 고유 병종

※ 일반적으로 두 세개의 팩션이 고유 병종을 공유하더라도 문화권 공통 병종이 아닌 경우 서술하는 것이 보통이지만,[7]

예외로 셀레우코스는 매우 다양한 유닛을 생산할 수 있기에, 다음 유닛은 다른 팩션의 기원과 정통성 문제로 생략하였습니다.

징집 장창병, 팔랑크스 장창병, 명예 기병대 - 마케도니아, 정확히는 알렉산더 시대의 유닛으로 그 본토에 속해있는 마케도니아에 포함시켰습니다.
카타프락트 - 동방을 대표하는 유닛이기 때문에 동방 팩션에 포함시켰습니다.
코끼리 - 카르타고를 상징하기 때문에 카르타고나 코끼리를 생산 가능한 다른 팩션에 포함시켰습니다.

특징전반적으로 강력함

Sel_SSPike.thumb.jpg

이름은방패 장창병(Silver Shield Pikemen)
공격력10
돌격보너스4
유닛 속성창병(Spearmen), 중보병(Heavy)
방어력14 (갑옷 6, 방어스킬 6, 방패 2)
생산비용730, 2턴
유지비360
유닛 특성팔랑크스 방진 사용 가능
매우 긴 창
기병 상대시 보너스
높은 사기
좋은 체력
땅굴파기 가능
생산 조건병영 4단계 이상
티어5

스펙은 나쁘지 않으나 팔랑크스를 쓰는데다[8] 너무 늦게 생산된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도 근처에 있는 팩션 가운데 이집트나 잘 봐줘서 아르메니아 정도를[9] 제외하면 보병이 약하디 약하니까 이거 아니면 팔랑크스 장창병으로 밀어버리자.

Sel_Leg.thumb.jpg

이름은방패 군단병(Silver Shield Legionaries)
공격력9 (원거리 13)
돌격보너스3
유닛 속성중보병(Heavy)
방어력22 (갑옷 12, 방어스킬 5, 방패 5)
생산비용710, 2턴
유지비260
유닛 특성돌격 전 투창 던짐
귀갑 진형(테스튜도) 사용 가능
높은 사기
높은 체력
땅굴 파기 가능
생산 조건병영 5단계
티어6

로마 군단병과 비슷해 보이지만, 색깔놀이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생산시간이 2턴이나 걸리고, 유지비도 더 잡아먹으며, 유닛 특성에서 매우 잘 무장됨이 삭제되어 공격반감 효과가 사라졌다. 그래도 꼴에 군단병 아니랄까봐 동방은 물론이고 그리스 본토까지 작살낼 수 있다. 다른 짝퉁 군단병을 보유한 팩션에 비해 성능 자체는 떨어지지 않아 로마 군단병들도 까다로운 상대.

실제 역사의 토라키타이로, 토라키타이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로 인해 '짝퉁 로마 군단병'으로 묘사되어버렸다.

Sel_Char.thumb.jpg

이름낫달린 전차대(Scythed Chariots)
공격력16
돌격보너스7
유닛 속성경기병(Light)
방어력1 (갑옷 0, 방어스킬 1, 방패 0), (체력 4)
생산비용980, 2턴
유지비160
유닛 특성특수 공격
근처의 적의 사기 저하
명령 없이도 돌격할 수 있음
높은 사기
동물들이 날뛸 수 있음
생산 조건대장간 1단계[10]
티어6

이 유닛은 특이하게 카타프락트인데도 갑옷 방어력이 없다. 낮은 테크에서 생산되지만 생산시간이 2턴이나 걸리고 비용도 높다. 전차에 익숙하지 않다는 설정인지 통제 불가능 효과가 발동될 수 있다. 그래도 성능은 전차 중에서도 상위권에 속한다.

1.2 고유 신전

헤파이스토스의 신전대장장이의 신 헤파이스토스의 신전

헤파이스토스는 아시다시피 대장장이의 신이다. 무기 강화를 해주는 건 당연. 최종적으로 공격, 방어 +3씩 더해주므로 군대의 질적 강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신전이다.
신전(옵션) 효과 : 5%(경무기 +1) - 10%(중무기 +1) - 15%(갑옷 +1) - 20%(경험 +1) - 35%(경험 +1)

디오니소스의 신전 계열주신(酒神) 디오니소스의 신전

디오니소스는 포도주, 축제의 신이며, 올림포스의 12신 가운데 가장 마지막에 합류했다. 행복에 관련된 신이므로 만족도 위주의 효과를 받는다. 문화적 이질도가 심한 곳에 건설하면 좋다.
신전(옵션) 효과 : 10% - 20% - 30% - 40% - 60%(인구 +1%)

아스클레피오스의 신전위대한 의술의 보유자 아스클레피오스의 신전

아스클레피오스는 신은 아니지만 아폴론의 아들이다. 케이론을 통해 의술을 배웠고, 심지어 죽은 사람을 살려낼 수도 있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하데스가 이의를 걸자 제우스는 아스클레피오스를 죽였고 아폴론은 빡쳐 제우스의 번개를 만든 키클롭스 3형제를 죽였다. 이 신전은 의술을 위생으로 치환해 만족도 위주의 신전이 되었다. 디오니소스 신전에 비해 만족도가 조금 낮은 대신 위생 보너스가 추가되어 인구가 많은 속주의 위생으로 인한 만족도 감소를 무효화시킬 수 있어 대도시 같은 큰 속주에서는 오히려 이 신전을 짓는 것이 더 좋을 수 있다.
신전(옵션) 효과 : 10% - 20% - 30% - 40% - 50%(교역 +1, 경험 +2)

2 공략

전반적으로 유닛들이 매우 강력하다. 최상급 팔랑크스인 은방패 장창병, 로마 군단병의 카피인 은방패 군단병에[11] 최강의 충격기병인 카타프락트헤타이로이, 낫전차까지 보유. 게임 내 최강의 유닛인 코끼리 부대도 3종이나 있다. 이렇게 강한 유닛들에 비해 캠페인에서는 약한 편인데, 시작 시 속주도 많은 편에 돈도 잘 벌리는 지역에 있지만 사방이 적인데다.[12] 초반 병종이 좋지 않아서[13] 플레이어가 하지 않는 한 보통 다굴당해서 아주 조금의 땅만 가지고 있거나 멸망해버린다.어디서는 답없는 최종보스인데 하지만 암울한 초반을 이겨낸다면 로마를 제외한 최강의 병종들을 보유. 무한확장할 수 있다. 다만 내정용 건물이 좀 좋지 않은게 흠. 행복을 올리는 것은 많은데 법 질서 쪽은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타 지역을 먹을 때 어느정도 확장했다면 경우에 따라 다 학살하는 것이 공공질서 관리에 편할 것이다.

초반이 제일 중요하다. 일단 인접한 적이 파르티아, 아르메니아, 이집트, 폰투스, 그리스로 많은 영토에 비해 초반에 주어지는 유닛이 많지 않아 시작하자마자 벌어지는 주변 팩션들과의 전쟁에서 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사실상 초반에는 전 속주가 위기에 놓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초반에 최소한 한놈은 조져야 하는데 폰투스로 가는것이 좋다. 시작하자마자 안티오크에서 마굿간을 올리면 코끼리를 뽑을 수 있는데 폰투스의 허접한 초반 병종으로는 코끼리를 막기 힘들다.
수도 방어도 문제, 폰투스, 아르메니아, 파르티아, 이집트, 심지어 그리스까지 노리는 소아시아의 심장, 안티오크는 인구가 1.5버전 기준으로 9000명[14]이나 되서 속주 발전 정책으로 가면 순식간에 대도시로 가는 속주이기 때문에 여러 팩션들이 노린다. 따라서 수도를 중심으로 멀리 있는 속주는 최소한의 병력으로 싸우고, 폰투스를 잡은 후에 폰투스 땅에서 아르메니아를 막고 시돈과 다마스쿠스 라인에서 이집트를 방어하는 것을 추천한다.
아르메니아, 파르티아 등의 팩션을 상대할때는 전차를 생산하는 것이 좋다. 보병진이 워낙에 허약해서 전차로 기병만 밀어버리면 상당히 편해진다. 홉라이트들로 상대하려다가는 궁기병들 한대도 때리지 못하고 부대가 전멸하는 수가 있다. 이집트 쪽은 초반 상성이 불리해 욕이 튀어나온다. 팔랑이들은 궁병대에 녹고 전차는 궁전차 쫓다가 화살 맞고...

전망성은 보통이다. 일단 불가사의 공중정원을 가지고 시작하지만, 그 능력이라는 게 농업 수입 +20%라는 별로 눈에 띄지 않는 능력인데다 법, 질서 관련 건물이 약하다. 하지만 테크가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강해지는 숙련자용 대기만성형 팩션. 따라서 초반에는 인구 수를 올리는데 주력하는 게 좋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로마: 토탈 워/등장 팩션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다만, 초반을 잘 넘기면 ★★
  2. 초반에는 아르메니아, 파르티아, 그리스까지 포함이다.
  3. 이상 이집트 진출 저지
  4. 마우솔레움 무덤
  5. 군단병, 전차, 카타프락트, 코끼리 등
  6. 이집트, 폰투스, 파르티아, 그리스, 아르메니아
  7. 그 병종이 주요 유닛인 경우도 있고, 결국 고유 병종이기도 하고.
  8. 팔랑크스라는 건 좋은데 그놈의 기동력이 문제.
  9. 팔랑크스 보병인 중장 창병대 보유.
  10. 대장간이 요구건물이므로 자동으로 공격 +1을 부여받는다.
  11. 게임상에선 색깔놀이지만 실제 역사상으로는 로마 군단병을 흉내낸 것이 아니다. 정확히는 튜레오포로이 병종이 중무장을 통해 진화한 토라키타이로서, 확실히 헬레니즘 세력의 고유 병종이였지만, 무장과 운영방식이 꽤 로마 군단병과 비슷해서 나온 오해다.
  12. 셀레우코스의 주변 팩션을 플레이해보면 알겠지만 셀레우코스를 안털래야 안털 수 가 없다. 특히 궁기병을 보유해 초반 주력 홉라이트 민병대를 쉽게 잡아먹을 수 있는 아르메니아, 파르티아 쪽은 더하다.
  13. 그리스나 마케도니아가 초반에 쓰다가 테크 올라가면 버리는 민병대 홉라이트가 주력이다. 다른 장창병을 뽑을 수 있는 곳도 안티오크나 셀레우키아 정도.
  14. 물론 다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