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로마: 토탈 워)

그리스계 팩션
그리스셀레우코스마케도니아트라키아

2493193-macedon_faction_symbol-vanilla.png

그리스인은 세계를 지배할 능력이 있다. 알렉산더가 그것을 해낸 적이 있다. 그는 그리스 군대를 저 멀리 인도까지 진출시켰다. 세상에 더 이상 정복할 지역은 없었다. 세계는 그의 것이었다. 하지만 알렉산더는 죽었고, 그의 제국은 갈라졌다. 그래서 우리가 이 험악한 세상에 사는 것이다. 그리스의 자유민들은, 저 밖의 적과 싸우는 대신 그들끼리 갈라섰다. 그 밖의 적들은 정작, 그리스인이 이루어놓은 것들을 질투하고 시기하고 있었는데도 말이다!

알렉산더가 지하에서 통곡할 것이다. 죽은 자가 통곡할 수 있다면야 말이다. 나도 그의 자리에서 울겠지만, 그래도 난 희망을 놓지 않을 것이다. 세계는 변화한다. 변화해서, 곧 제자리로 돌아올 것이다. 운명의 세 여신들은 운명의 실을 계속 잣고 있다. 그러니 이제, 아마 신들께서 그리스인이 세상을 다시 지배하길 바라실 수도 있다. 아마 새로운 알렉산더가 칼을 들고, 혼란스러운 세상에 질서를 가져와, 인간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다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이 인트로는 그리스, 셀레우코스, 마케도니아, 트라키아가 공동으로 사용한다. 참고로 팩션 심볼의 람다(Λ)는 원래 스파르타의 것이다.[1] 멀쩡한 '베르기나의 태양'이란 심볼이 있는데도 왜 하필 스파르타의 것을 가져다 쓰는지는 의문이다.[2]

1 팩션 소개

난이도주적특화 유닛
★★★★[3]그리스, 브루투스 가문, 스키타이, 트라키아충격기병
추천 획득 속주
스파르타[4], 아테네[5], 비잔티움[6], 세게스티카[7] 이외의 발칸반도와 그 주변
세력 특성
강력한 보병과 충격기병, 초반 전염병 이벤트로 인한 난이도 상승
장점주변의 반란군 속주로 인한 안전한 확장, 불가사의 효과로 인한 반란 억제
단점초중반 전염병으로 인한 수도 인구 감소, 그리스와 트라키아의 합동 견제

1.1 고유 병종

특징균형잡힌 보병, 기병[8][9]

Mac_Levy_Pike.thumb.jpg

이름징집 장창병(Levy Pikemen)
공격력6
돌격보너스2
유닛 속성창병(Spearmen), 경보병(Light)
방어력5 (갑옷 0, 방어스킬 3, 방패 2)
생산비용310, 1턴
유지비150
유닛 특성팔랑크스 방진 사용 가능
기병 상대시 보너스
매우 긴 창[10]
낮은 사기
땅굴파기 가능
최대 유닛 수 +50% 증가
생산 조건병영 2단계 이상
티어2

급하게 징집되었다는 설정인지 몰라도 방어력이 극도로 낮다. 그 민병대 홉라이트보다! 같은 조건에 생산되는 그리스의 홉라이트를 보면 마치 오징어가 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그래도 매우 긴 창 특성 덕분에 팔랑크스 진형시 선제공격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장점. 이 계열 유닛이 다 그렇듯이 원거리 공격에 매우 취약하다.

Mac_Royal_Pike.thumb.jpg

이름왕실 장창병(Royal Pikemen)[11]
공격력10
돌격보너스4
유닛 속성창병(Spearmen), 중보병(Heavy)
방어력17 (갑옷 6, 방어스킬 6, 방패 5)
생산비용740, 2턴
유지비360
유닛 특성팔랑크스 방진 사용 가능
기병 상대시 보너스
매우 긴 창
높은 사기
높은 체력
땅굴파기 가능
최대 유닛 수 +50% 증가
생산 조건병영 4단계
티어6

알렉산더의 동방 원정에서 활약한 유명한 부대. 비슷한 유닛인 셀레우코스의 은방패 장창병, 폰투스의 청동방패 장창병보다 방어력이 훨씬 좋다. 스펙에 비해서 비용이 많이 들지 않아 대도시 테크까지 올라간다면 주력으로 쓸 수 있는 유닛.

단, 롬토1은 롬토2 처럼 페제페타이로이를 보조해줄 근접보병이 전혀 없기 때문에 기병으로 보완해줘야한다.

Mac_Lt_Lncr.thumb.jpg

이름경창기병대(Light Lancers)
공격력7
돌격보너스9
유닛 속성경기병(Light)
방어력5 (갑옷 0, 방어스킬 5, 방패 0)
생산비용370, 1턴
유지비140
유닛 특성쐐기 진형 가능
강력한 돌격
높은 사기
빠른 이동
생산 조건마굿간 1단계 이상
티어3

저비용 고효율의 유닛, 일단 고유 병종이다. 참고로 그리스 기병대는 이 유닛보다 한 테크 높은데, 참 불가사의한 부분.
무진장 잘죽지만 돌격 능력이 원체 좋아 가성비가 상당히 좋다. 물론 생존력이 너무 낮아 살아남기는 힘들지만, 어쨋든 초반에 적의 후방을 휘갈기에는 부족함이 전혀 없다.
롬토2에서는 사리사 기병대로 계승된다.

Mac_Cav.thumb.jpg

이름마케도니아 기병대(Macedonian Cavalry)
공격력8
돌격보너스6
유닛 속성중기병(Heavy)
방어력17 (갑옷 11, 방어스킬 6, 방패 0)
생산비용690, 1턴
유지비160
유닛 특성쐐기 진형 가능
높은 사기
높은 체력
생산 조건마굿간 3단계 이상
티어5

대도시 테크까지 올라가면, 마케도니아의 유닛의 성능은 급하게 상승 곡선을 그리게 되는데, 이 유닛이 대표격이다. 전혀 밀릴 것 없는 성능에다, 무엇보다 명예 기병대가 너무 늦게 나오다보니 결국 마케도니아의 주력기병이 된다. 또한 다른 팩션 기병대들[12]보다 일찍 생산되어 다른 팩션보다 수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롬토2에서는 테살리카 기병대로 계승된다.

Mac_Comp.thumb.jpg

이름명예 기병대(Companion Cavalry)[13]
공격력10
돌격보너스9
유닛 속성중기병(Heavy)
방어력17 (갑옷 11, 방어스킬 6, 방패 0)
생산비용760, 1턴
유지비240
유닛 특성쐐기 진형 가능
강력한 돌격
높은 사기
높은 체력
생산 조건마굿간 4단계
티어7

마케도니아 기병대보다 공격력이 올랐고, 돌격 보너스 또한 경창 기병대 만큼 좋다. 게다가 중기병 속성으로 들이받으면 제 아무리 군단병이라 해도 돌격 한방에 꽤 나가 떨어진다. 거대도시에서 생산되는 단점만 극복하면 주력으로 잘 사용할 수 있다.

1.2 고유 신전

대부분의 신전이 농경 개선 옵션을 가지고 있다. 농경 개선은 인구 증가 가속화와 교역 보너스 두가지 효과를 갖는다. 다만 교역 보너스는 헤르메스의 신전 효과비율의 30% 수준이다.

데메테르의 신전곡식과 계절의 여신 데메테르의 신전

농사와 관련된 신이다 보니 농업과 식량 생산 개선 위주의 옵션 효과를 받는다.
신전(옵션) 효과 : 5%(농경 +1) - 10%(농경 +1) - 15%(농경 +1) - 20%(농경 +1) - 35%(농경 +1, 경험 +2)

제우스의 신전주신 제우스의 신전

율리우스의 주피터의 신전과 효과는 동일하지만, 옵션에서 약간 차이가 있다.
신전(옵션) 효과 : 10% - 20% - 30% - 40% - 60%(농경 +2, 경험 +2, 원거리 +2)

아르테미스의 신전달과 사냥의 여신 아르테미스의 신전[14]

사냥과 관련해 원거리 무기의 효과를 받았다. 갈리아의 경우와 같이 아레스의 신전이 있어 버림받는 신전.
신전(옵션) 효과 : 5%(원거리 +1) - 10%(원거리 +1) - 15%(원거리 +1) - 25% - 35%(농경 +2)

아레스의 신전전쟁의 신 아레스의 신전

경험을 올려주고 판테온에서는 교역까지 추가해준다. 원래 사기가 높은 유닛이 많은데 판테온까지 지으면 후퇴를 거의 안한다.
신전(옵션) 효과 : 5% - 10%(경험 +1) - 15%(경험 +1) - 20%(경험 +1) - 35%(사기 +1, 교역 +1)

2 공략

특수 이벤트전염병기원전 256년 테살로니카에서 발생[15]

강력한 팔랑크스 보병과 충격기병을 보유. 시작 시 주어지는 기병 또한 그리스보다는(...) 나은 놈을 가지고 있다. 다만 그 이외에는 셀레우코스처럼 코끼리 등의 쓸만한 보조병이 많지 않기 때문에 전투형태는 단조로운 편. 강력한 충격기병도 최강이라 하기엔 모자라다. 게다가 충격기병 이외의 기병은 그리스와 다를 거 없다(...) 시작할 때부터 그리스의 수도인 스파르타에 성벽이 없는 것을 이용해 바로 점령할 수 있다. 다만 누가 스파르타 아니랄까봐 스파르타 홉라이트가 1부대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 스파르타를 먹고 테르몬, 비잔티움까지 먹으면 동쪽에서 트라키아가 들어 오는데 약체 팩션인 트라키아는 팔랑크스 장창병만 보내도 알아서 털린다.[16] 트라키아도 점령하면 북쪽에서 스키타이가 올 것이다. 기병 다수를 이끌고 오니까 방어를 제대로 해야한다. 기병이 강한 팩션이 다 그렇듯이 보병이 약한 경우가 많음므로 팔랑크스나 왕실병으로 무찌르자. 요새와 도시를 이용해서 최대한 수성전을 유도하면 편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 캠페인에서는 이렇게 되지 않는 경우도 많으므로 팩션에 따라 잘 대처하자. 무엇보다 이 공략에는 그리스 쪽으로 확장해야하는 브루투스에 관한 공략이 없으니 결국 플레이어의 판단에 맡긴다. 조언을 하자면 로마는 보병에 비해서는 기병, 궁병이 약하다. 물론 어디까지나 로마의 매우 강력한 보병에 비해 약한 것으로, 군제개혁 전에 처리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17]

역사적 이벤트 중 마케도니아, 그 중에서도 테살로니카에서 기원전 256년에 전염병이 발생하는데,[18][19] 이때 테살로니카 주변이 전염병으로 죽어나며, 스파이나 군대를 통해 병이 옮기 때문에 퍼지는것도 순식간에다가 진정될 만하면 또 퍼진다. 따라서 전염병이 돌 때는 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가만히 있으면 몇 턴이면 진정된다.

전망성은 플레이어가 전염병 이벤트를 어떻게 극복했느냐에 따라 천차만별로, 전염병 때문에 수도 병력이 많이 줄고, 브루투스와 스키타이가 같이 공격하면 방어하기 매우 어려워진다. 다만 위기를 기회로 삼아 이럴 때 트라키아 먹고 동쪽으로 진출하면 좋다. 아니면 허약하기 그지없는 폰투스가 있는 소아시아를 후려쳐서 셀레우코스랑 전선을 붙여도 좋다. 그쪽은 이집트나 아르메니아 등과 끼리끼리 싸우느라 정신없기 때문.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로마: 토탈 워/등장 팩션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고대 스파르타의 이름이었던 라케다이몬(Λακεδαίμον)의 첫글자 람다(Λ)에서 유래했다.
  2. 아무래도 베르기나의 태양을 쓰기에는 셀레우코스. 이집트, 폰투스가 알렉산더 제국에 속해 있었으므로 마케도니아가 그 문장을 쓸 경우 나머지 팩션이 사도가 되버린다는 것이 문제가 되었던 듯 하지만... 롬토2 에서는 제대로 마케도니아 심볼에 베르기나의 태양을 배치한 걸 보면 그냥 고증오류인듯 하다.
  3. 다만, 초반 전염병을 잘 버티면 ★★★
  4. 초반에 도시에 목책조차 없으니 빨리 먹자.
  5. 매우 많은 교역 수입.
  6. 트라키아 견제
  7. 로마군의 발칸반도 진입로 차단
  8. 다만 상대방을 압살하는 유닛을 가지고 있지 않아 조합이 필수적이다.
  9. 그냥 전반적으로 강력한 셀레우코스와는 또 다르다.
  10. 다른 팔랑크스병들보다 긴 창을 들고 있다. 선제공격을 먼저 할 수 있다.
  11. 페제페타로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문명 5에서 나오는 장갑보병과 같은 위치.
  12. 군단 기병대 2턴, 카타프락트 2턴.
  13. 헤타이로이로 불리기도 한다. 문명 5의 헤타이로이와 같은 위치.
  14. 불가사의인 사르데스의 아르테미스 신전은 별개다.
  15. 테살로니카가 다른 팩션에게 넘어갔어도 발생한다.
  16. 단, 바스타르나이까지 합세할 경우는 왕실 장창병 필요.
  17. 브루투스 공략에 대해서는 차후에 더 추가바람.
  18. 다만 이건 테살로니카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팩션이 테살로니카를 점령하고 있어도 발생한다. 이 지역으로 확장할 때 조심하자.
  19. 참고로 소아시아 전염병 이벤트도 있다고 하는데, 극후반이다. 그래서 거의 볼 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