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군의 종심돌파이론

1 개요

소련 붉은 군대의 종심돌파 교리는 제정 러시아 군대가 겪은 좌절과 군사력 쇠퇴등으로 인하여 탄생되었다. 제정 러시아군은 크림전쟁과 1차세계대전의 정전협정, 그리고 러일 전쟁에서에 일본군에 의한 패전 등과 폴란드와의 전쟁에서도 쓰라린 실패를 경험 하게 된다.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자, 붉은 군대의 몇몇 머리가 좋은 고위 지휘관들은 러시아의 군사력이 쇠퇴하는 것을 막고 제도와 전술을 새롭게 정립 하려고 시도 하였다. 미하일 투하체프스키블라미디르 트리안다필로프는 당시 혁신적 교리를 고안해낸 붉은 군대장교들로, 1930년대 스탈린대숙청으로 목숨을 잃게 된다.

1.1 종심돌파이론

이 이론의 핵심은 적의 전선을 따라 여러 지점에서 동시에 공격하여 적의 고위 지휘관을 동요하게 만듦으로써 돌파 시도의 초점으로 분명하게 식별된 지점에 예비대를 투입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동시에 적의 지상 작전 지역을 뚫고 종심에 대한 공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철저한 공세 행동은 적의 전투력을 급속하게 저하시켜 전선을 돌파시키게 한다.

적의 전술구역 전선에 침투하게 되면, 기동부대가 적의 전방을 타격하여 적들의 지휘 통제시설을 파괴하고 보급을 막아서 적 일부를 전체적으로 교란 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종심돌파는 소련군이 전력적 목표를 달성하면 종결 된다.

1.2 공식 채택

1933년, 붉은 군대는 이 종심돌파이론을 정식으로 채택 하였다. 종심 돌파 공세를 시작 하기 위한 계획 단계는 주요 전략적 목표를 정하는 것으로 시작 된다. 그것으로 부터 전술이 정의된다.

중심 돌파가 공세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는 하지만, 방어준비도 상당히 중요한 요소기 때문에 전략적 요충지를 정해 전술 구역들을 요새화하고 포병보병을 배치해둔 강력한 방어 진지를 구축 하여야 한다. 일선 방어선 너머에는 광범위 하게 지뢰를 매설 하여 적의 공격을 방어 해야 한다. 이로 인해 적은 많은 인명 피해를 입고 추진력을 잃어 결국에는 아군에게 반격을 당하고 패하게 될 것이다.

1.3 상황

중심돌파이론은 1930년대의 소련군에게 적합한 것 처럼 보였는데, 당시 붉은 군대는 풍부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병사의 대부분은 적절한 훈련을 받지 못했던 상황이였다. 그들은 훈련이 부족한 대규모 병력과 러시아 국토를 이용하여서 길게 뻗은 전선을 따라 중심돌파이론을 실험,계획 그리고 작전을 실행 했을 것이다. 여러지점을 동시에 돌파할 경우 같을 때는, 적이 후방으로 진격하려는 소련군에게 격파당하였기 때문에 중심이론은 더욱 쓸모가 있었다.

그러나 1941년, 정작 독일과 개전하자마자 대숙청 등으로 인해 기량이 떨어질대로 떨어질 소련군들은 이 이론을 통한 제파식 전술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했고, 결국 전초에 역소급의 피해를 입는다. 특히 기계화보병, 정예병력 중심의 1파를 구성하지 못하고 알투병을 축차투입하게 된 것이 컸다. 그나마 1944년부터 소련의 생산력이 독일의 역량을 압도하기 시작하고, 소련군들이 4년간의 실전으로 독일군 못지않은 정예군으로 거듭나자 중심돌파이론은 다시 부활했고, 이는 잔다르크 전투이후 수차례의 소련의 대규모 공세로 나타난다. 그리고 만주 작전으로 유례없는 진격속도를 보여줘 일본군의 마지막 군대라 할 수 있는 관동군을 일주일만에 제압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