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전파를 수신하여 영상으로 보여주는 장치
受像機 (한자) / Receiver set (영어)
쉽게 말해서 그냥 텔레비전이다. 예전에 사용했던 말로,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2 기체에 물에 뜰 수 있도록 플로트(Float)를 붙인 비행기
Cessna 172M 플로트 장착형.
영어로는 Floatplane 또는 Seaplane.
수상기는 지상의 활주로 대신 물 위에서 뜨고 내릴 수 있도록 제작된 항공기. 혹은 뜨고 내릴 수 있는 장비를 부착한 항공기이다. 참고로 몬타나 존스의 비행기는 수상기가 아니라 비행정이다.
지형 특성상 지상 활주로를 건설하기 힘들지만 강이나 호수가 많은 지역에서 자주 쓰인다. 특히 미국 알래스카 지역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제1차 세계대전 때 이미 수상기이나 비행정을 전투용으로 쓸 궁리를 했다.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수상기 모함을 비롯한 중대형 군함에 탑재 되었는데, 당시 함선들은 제대로 된 레이더[1]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주포를 장거리로 사격하거나 적 함선을 포착하려면 비행기를 띄워야 했다. 그런데 이륙이야 어떻게든 하더라도, 착륙의 경우는 넓은 공간이 필요했기에 물 위에 내릴 수 있게 수상기를 적재한 것. 이는 항공모함, 헬리콥터, 레이더의 발달로 사라지게 된다.
미 해군은 초음속 수상기를 개발하려고 한적이 있었고 시제기까지 제작하여 수회의 시험비행까지 시행하였으나 결국 취소되었다. 개발하려고 한 이유는 당시 운용하던 항공모함으로는 초음속 함재기를 운용하기 어려운데 수상기로 만들면 항공모함에 들어갈 비용을 아낄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때문이었다고(...). 그러나 각종 문제점 때문에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도 어려웠고 운용에도 제약을 심하게 받는다는 판단에 따라 취소되었다.
물 위에서 뜨고 내릴 수 있다는 점에서 얻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단점도 만만치 않다. 물에 뜨게 해주는 플로트가 비행중에는 그냥 무게와 공기저항만 늘어나게 하고, 물 위에는 뜨고 내릴 수 있는데, 지상 활주로에서 뜰 수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무엇보다도 이착수할 경우 일정 높이 이상의 파고에는 이착수 자체가 안 된다는 것이 있다. 물 위에 있으므로 습기 문제가 따라다니는 건 덤.
최근에는 지상활주로들도 많이 있으니 아예 플로트 장비에 랜딩기어가 달라붙어 있던가, 수납되는 형태들도 존재한다, 물론 이런모델들은 무거워지고, 공기저항에도 안좋아지니 연비가 개판되지만, GPS기술과 지상 활주로시설이 발달한 지금시대에는 얼마든지 연료 모잘라진다 싶으면 근처 지상활주로로도 갈수가 있고, 예전과 달리 지금은 수상항공기의 역할은 택시나 국립공원지역의 순찰정도로 역할이 축소되어있으니 대서양, 태평양 한복판을 날아다녀야 했던 과거에 비하면 활동범위가 대량으로 축소되서 크게 문제는 안될것이다.
2.1 종류
2.1.1 군용기
2.1.2 민간기
- ↑ 2차대전 당시의 레이더로는 보통 어느 지점에 무엇이 있다 정도만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