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북중학교

이 문서는 우만위키 프로젝트 관련 문서입니다.

우만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해주신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의 내용을 꼭 숙지해 주세요.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대한민국의 중학교 목록
서울
경기강원인천세종
충남충북대전대구
경남경북부산울산
전남전북광주제주
?width=65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중학교
경기체육중학교대평중학교명인중학교송원중학교
수성중학교수원북중학교수일중학교수일여자중학교
율전중학교이목중학교조원중학교창용중학교
천천중학교
나무위키의 학교 관련 정보를 풍부하게 하고자 나무위키 학교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참여해주세요.
교명수원북중학교
개교1936년 6월 8일[1]
유형일반계 중학교
성별남녀공학[2]
운영형태공립
관할지경기도청[3]
소재지수원시 장안구

1 개요

1936년에 개교한 수원의 특성화일반계 고등중학교이다.
1936년에 일제에 의해 당시엔 일제강점기였다는걸 잊지 말자 수원공립농업학교로 개교했고,[4]1951년에 일반계 학급과 농업계 학급으로 분리되었는데,[5]이때는 일반계는 중등교육이고 특성화계열은 고등인 괴랄한 교육이 펼쳐지기도 했다.[6]그러다 1970년에 중학교 평준화로 인해 건물 역시 분리되었고,그 이후 수원농림학교는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해 현재까지도 정상적으로 돌아가는 중.

2 역사

1936년 6월 8일 : 수원공립농업학교로 설립인가
1951년 8월 20일 : 제1회 졸업
1951년 8월 31일 : 수원북중학교와 수원농림고등학교로 개편인가
1970년 3월 1일 : 중학교 평준화로 수원농림고등학교와 분리
2006년 6월 15일 : 남녀공학으로 전환 승인
2006년 11월 14일 : 학교담장 개방 및 그린타운공원 조성
2007년 2월 28일 : 화장실 개보수 및 도장공사 등 환경개선
2007년 11월 1일 : 본관 외관 리모델링 공사
2008년 3월 1일 : 남녀공학으로 전환
2012년 11월 12일 : 잔디구장 개장
2013년 6월 19일 : 학교숲 야외 학습장 개장
2014년 3월 1일 : 제22대 신동천 교장 부임
2015년 2월 6일 : 제65회 졸업(졸업생 270명, 총인원 34,118명)

3 학교 특징

아무래도 일제강점기 건물이다 보니 몇번 공사를 했다고 해도 시설이 전체적으로 낡은 편이다.그 외사항 추가바람

4 교복

추가바람

5 운동부

야구부가 있으며,유명 야구인들도 몇명 나왔다[7]. 대표적인 예로 정수빈,배영섭,최영필.주변에 야구할 고등학교가 없다 보니[8]장안고가 아무래도 가깝긴 하지만,[9]이쪽은 야구부의 창단이 2012년으로,2016년 기준으로 4년밖에 안되어 그다지 좋지 못하다.그 탓에 유신고로 많이 가는 편이지만,유신고는 외진 언덕 위에 있어(사실 유신고의 소재지인 팔달구가 전체적으로 외진 편이기도 하다.)훈련은 둘째치고 집을 이사하지 않으면 등교하기도 힘들다.이 탓에 거의 대부분이 숙소에서 지내지만 숙소도 큰 편이 아니다.[10]

6 기타

TV 촬영을 몇번 하기도 했다.대표적으로 영화 '클래식'이나 KBS의 드라마 '마왕'
  1. 수원 공립농업학교로 개교했을때다.
  2. 원래 남중이었다가 2006년에 공학전환이 허가되었고,2008년부터 여학생들이 통학한다.
  3. 수원시교육은 초중고할것 없이 도청 소재지다.
  4. 개교 당시에도 남자학교
  5. 1945년에 교명을 바꿨는데,농에서 농으로 바꿨다.
  6. 농림교육은 남녀공학이었다.
  7. 유명 야구인의 2세도 이곳에 소속되어 있다고 한다.
  8. 수원시로 한정해도 유신고장안고밖에 없다.
  9. 그렇다고 그렇게 가까운 거리는 아니다.
  10. 사실 이는 경기도 야구가 전체적으로 발전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예이기도 하다.경기도권에서 대회 우승경험이나 유명선수를 많이 배출한게 그나마 유신고 야구부 하나밖에 없다.(심지어 1900년도에 창단한 야구부가 경기에서는 유신밖에 없다.)그래서 구리에 사는 일부 학생들을 제외하면 경기도권 학생들은 거의 유신고로 편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