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화 헬싱의 등장인물에 대해서는 슈뢰딩거 준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슈뢰딩거 준위를 찾아오신 분들은 항목 참조.
< 193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 ||||
1932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 | P.A.M 디랙, 에르빈 슈뢰딩거 | → | 1934 - 수상자 없음 |
1887년 8월 12일 ~ 1961년 1월 4일 전 세계의 고양이들이 이 문서를 싫어합니다.
Erwin Rudolf Josef Alexander Schrödinger (에르빈 루돌프 요제프 알렉산더 슈뢰딩거)[1]
오스트리아의 이론물리학자. 양자 역학의 체계를 세우는데 큰 공헌을 한 과학자이다.
상당히 다방면으로 재능이 있던 과학자로, 물리학 뿐만이 아니라 식물학, 고대문법, 철학 등에도 조예가 있었다. 20대 때에는 쇼펜하우어에 심취해 있었다고...
하이젠베르크가 처음으로 행렬을 이용하여 양자 역학의 기본이론을 제시했는데, 이를 탐탁치 않게 여긴 슈뢰딩거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양자 역학의 기본이론을 제시하려고 했다. 한편 역학, 특히 고전 역학은 뉴턴의 방법, 라그랑주의 방법, 해밀턴의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었다. 이 중 슈뢰딩거는 해밀턴의 방법과 입자의 파동성에서 착안하여, 1926년 '슈뢰딩거의 방정식(파동방적식)'을 발표하였다.[2] 이는 양자 역학의 기본이론을 새로운 방법으로 정립한 것이다.[3] 모든 물질은 파동의 성격과 입자의 성격을 가지는데, 물질들이 가지는 파동의 성격에 대한 방정식이 슈뢰딩거의 (파동) 방정식이다.[4][5]
193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수상의 이유는 당연히 지금까지도 전세계의 물리학과 및 화학과 학생들을 엿먹이고 있는 슈뢰딩거 방정식 때문.
1935년 논문 "양자역학의 현상에 대해서"에서 슈뢰딩거의 고양이 역설을 발표했다.
참고로 이 '슈뢰딩거의 고양이' 역설은 원래 양자역학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던 그가 불확정성 원리를 '까기 위해서' 사용했던 비유이나, 비유가 너무나도 적절하게 양자역학의 이중성에 대해서 비유하는 바람에 오히려 양자역학을 '설명하는' 비유로 유명해졌다.
이후 양자역학쪽에는 별로 손을 대지 않고 다른 분야의 물리학과 생물학에 공헌했다[6].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에딘버러 대학으로 가기 위해서 준비하던 차에 하필 비자 발급이 늦어지는 바람에 오스트리아 그라츠에 남아서 연구를 하다가 독일이 오스트리아를 먹어버리는 바람에(...) 반나치주의 성향을 띄던 슈뢰딩거는 당연히 탄압 대상이 되어버렸다. 이 때문에 슈뢰딩거는 반강제로 '나는 나치즘에 반대하지 않는다'라는 성명을 해야 했으며[7] 이 때문에 나중에 아인슈타인에게 사과했다고 한다.[8]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에서 쫓겨나고 출국 금지 조치까지 당해야 했다. 그러다가 기회를 봐서 먼저 이탈리아로 도망간 후 아일랜드로 가서 거기에 있는 더블린 고등연구소 이론물리학부에 몸을 두게 되었다. 이 분도 인생 참 험하게 산 케이스. 사실 이 분이 이걸 피할 수 있는 길이 미리 있긴 있었다. 바로 1934년에 프린스턴에서 교수직 제의가 들어왔던 것. 슈뢰딩거는 이를 거절했는데, 자신이 죽은 후 미망인이 받는 연금이 다른 대학에 비해 적은 편이었기 때문이었다.
평생을 결핵 때문에 개고생했다고 한다. 그의 사인 역시 결핵. 죽기 몇달 전인 1960년 5월경 한동안 잠잠하던 결핵증세가 다시 나타나 빈과 인스부르크에서 정밀한 진단을 받은 후 의사의 요양 권고를 받고 평생을 그가 사랑하던 알프바흐로 떠나게 된다. 하지만, 나이는 이길 수 없는 법. 요양을 해도 병세는 나아지지 않았고, 결국 1961년 1월 4일 오후 7시경에 아내인 안네마리 베르텔 곁에서 눈을 감았다. 그의 시신은 이틀 후인 1월 9일 요양지였던 알프바흐에 매장되었다.
능력이 인성과 비례하지 않는다는 말이 있는데, 이 사람도 예외는 아니었던 모양이다. 이 사람의 개인적인 문제는 바로 여성편력증.[9] 어느 정도냐면 두 여자와 같이 살았을 정도. 아내가 있긴 있었는데[10], 슈뢰딩거가 너무 여자에 집착하다 보니 나중엔 포기하고 여자를 소개해줬다 한다.
심지어 파동방정식의 핵심적인 부분도 애인과 산장에 2주간 밀회 여행을 가서 완성했다 한다. 여성편력이 그의 연구의 원동력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 이 파동방정식을 완성할 때 친한 수학자 헤르만 바일(Hermann Weyl)의 조언을 많이 구했는데, 그 바일은 또 슈뢰딩거 아내와 바람 난 상태였다. 당연히 둘 사이 자녀는 없었다.
그런데, 사실 슈뢰딩거가 파동함수를 만든 것은 분명 사실이긴 하지만, 웃긴것은 그도 사실 파동함수가 정확히 무엇인지 몰랐다(...).[11] 입자들이 파동의 양상으로 나타날 때, 그 파동을 서술하는 것이 파동함수라는 것까지는 슈뢰딩거가 제안하였다. 그런데 이 파동의 진폭이 복소수라서,(중심축에서 멀어진 정도가 허수 i라면, 상상이 가는가?) 파동함수가 존재한다는 건 확실한데 그 자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가 문제가 되었는데, 막스 보른이 '어떤 점에서의 파동함수의 진폭의 절댓값의 제곱, 즉 복소수의 절댓값의 제곱은 그 지점에서 입자를 발견할 확률에 비례한다'라는 뭔소리야 해석을 내놓았다.[12] 이는 현재까지 표준적인 해석으로 내려오고 있다. 다만 정작 슈뢰딩거는 이 해석을 대단히 싫어했는데, 1946년 아인슈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보른의 이름을 대며 그의 해석을 싫어한다고 노골적으로 말했다. 또한 1960년 보른에게 직접 보낸 편지에서는 "저는 박사님을 정말로 존경하지만...(중략)...박사님은 역사의 심판이 걱정스럽지 않으십니까? 인류가 박사님의 어리석은 판단에 굴복할 것이라고 정말로 확신하십니까?"라는 거의 비난 수준의 비판을 했을 정도이다.[13]
- ↑ 독일어는 연음이 없기 때문에 슈뢰딩거가 아닌 슈뢰딩어에 가깝다. 그런데 외래어 표기법의 용례집에서는 슈뢰딩거로 규정하고 있다. 독일어에서 모음 또는 l 앞의 ng[ŋ]에는 'ㄱ'을 첨가하여 표기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Tübingen이나 Göttingen 같은 독일의 지명도 튀빙겐, 괴팅겐으로 표기하고 있다.
- ↑ 사실 슈뢰딩거 방정식을 슈뢰딩거가 혼자 만든 것은 아니였다. 당시 대학생이던 드 브로이가 자신의 교수 랑주방에게 물질파 가설에 대한 논문을 제출햇는데, 랑주방은 '이딴 걸 논문이라고 낸 건가?'라고 생각할 정도로 말이 되지 않았지만, 드브로이는 귀족집안의 자제였기에 함부로 할 수 없었고, 그 논문은 아인슈타인에게 보내진다.아인슈타인은 이를 당시 조교였던 슈뢰딩거에게 보냈고, 슈뢰딩거는 그 논문을 보고 "어? 이거 괜찮은데?"하며 만든 것이 슈뢰딩거 방정식이다. 드브로이->랑주방->아인슈타인->슈뢰딩거(...)
- ↑ 뉴턴의 방법은 힘이라는 개념에 중점을 둔다면, 라그랑주나 해밀턴의 방법은 에너지의 개념에 중점을 둔다. 그런데 미시 세계에서는 힘의 개념을 적용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물리학자들은 라그랑주의 방법과 해밀턴의 방법의 양자 역학 버전을 개발하려고 했다.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는 각기 다른 방법으로 해밀턴의 방법의 양자 역학 버전을 개발했는데, 나중에 파인만이 라그랑주의 방법의 양자 역학 버전을 개발했다. 경로 적분이 이와 연관되어 있다.
- ↑ (파동)이라는 게 붙는 이유는, 대개 슈뢰딩거 방정식을 만족하는 함수는 파동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 ↑ 물론 파동과 같은 성격을 띠었다고 입자가 파동 방정식에서 나온해와 같이 움직이는 것이 아니다. 파동 함수는 단지 추상적인 것일 뿐이다
- ↑ 그는 명저 '생명이란 무엇인가'에서 생명현상에 대해 양자역학을 통한 철학적이고도 본질적인 설명을 시도하는데, 이러한 해석은 후대 생물학자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 ↑ 정확하게는 나치스가 슈뢰딩거와 안면이 있는 학자를 통해 나치즘에 찬성하라는 편지를 쓰면 신변의 안전을 보장하며, 이 서신은 비공개로 하겠다라 전달했다. 슈뢰딩거가 어쩔 수 없이 나치즘에 반대하지 않으며 새로운 국가 아래 기쁜 마음으로 봉사할 수 있다는 것에 감사한다라는 내용의 편지를 쓰자 나치스는 바로 약속을 어기고 주요 일간지에 슈뢰딩거의 편지를 게재하였다.
- ↑ 2차 세계대전 이후 두 사람이 편지를 주고 받은 걸로 봐서 아인슈타인이 평생 슈뢰딩거를 외면했다는 속설은 사실이 아니다.
- ↑ 이게 어느 정도였냐면 일정한 숫자의 난민만 받아들이던 영국이 슈뢰딩거에게 영주권을 내주었을 때 슈뢰딩거는 제자를 위해 한장 더 달라고 요구했는데... 다름아닌 제자의 아내와 불륜관계여서 챙긴 거였다.
- ↑ 1920년 안네마리 베르텔(Annemarie Bertel)과 결혼함
- ↑ 이것 때문에 파동함수의 성격 문제로 물리학계가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이 당시에 발터 후켈이라는 사람은 이런 시를 썼을 정도이다. "슈뢰딩거는 그의 '파동함수'를 가지고 많은 계산을 할 수 있었다네. 그러나 오직 한가지 알지 못한 것은 도대체 파동함수가 뭘 의미하느냐였지."
- ↑ 막스 보른은 이 업적으로 (보다 정확히는 '파동함수에 대한 통계적 연구'를 통해) 195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 ↑ 다만 이와는 별도로 두 사람은 평생 절친으로 우정을 나눈 사이이기도 했다. 막스 보른은 슈뢰딩거의 사망 후 "그는 아주 멋지고 개성적이며 유쾌하고 별나면서도 친절하고 관대한 사람이었습니다. 또 그의 두뇌는 정말로 완벽하고 비상했습니다."라고 그를 기렸다.
오오 대인배 - ↑ 정확히는 광속도불변 법률 위반. 광속보다 25Km/h 더 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