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틀라나급 방호순양함

제1차 세계대전기의 러시아 해군 함선
수뢰정페르노프
구축함노빅, 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즈야슬라브급, 피도니시급
잠수함델핀, 솜급, 카사크타급, 미노가, 아쿨라, 카르프급, 카이만급, 크랍, 모르즈급, 바르스급, 나르발급, A급
경순양함알마스급
장갑순양함파먀티 아조노바, 게네랄 아드미라르, 로시아, 블라디미르 모노마프, 그로모보이, 바얀급, 류리크, 아드미라르 나키모브급
방호순양함팔라다급, 스베틀라나급, 아스콜드, 보가틔아급, 이주므루드급
순양전함이즈마일급(보로디노급)
전함
프리 드레드노트급예카테리나 2세급,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2세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 트리 스비아티테리아, 로스티슬라브, 체사레비치, 보로디노급, 페레스베트급, 포템킨, 에프스타피급,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급
드레드노트급강구트급, 임페라트리사 마리야급,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급
취소선: 건조 취소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Swetlana1895-1905.jpg

1 제원

전장101m
전폭13m
높이5.7m
기준배수량3,770t
최대출력10,1000hp
최대속력21.6kt
항속력10kt로 3,500해리
무장15.2cm 단장포 6문, 7.5cm 단장포 4문, 4.7cm 단장포 8문, 3.7cm 단장포 2문, 38.1cm 수중어뢰발사관 단장 2문
탑재기 수없음
승원402명
동형함없음

2 개요

스베틀라나는 러시아 제국해군의 방호순양함으로, 동형함은 없다. 함명은 기독교의 성녀인 성 스베틀리나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스베틀라나는 1895년 6월 28일에 프랑스의 루앙블에 있는 조르쥬 에 샹티에 조선소에서 기공해 1896년 12월에 진수 후 1898년 3월 21일에 취역하여 러시아 해군에 인도되었다.

3 상세

원래 스베틀라나는 해군원수용 무장요트로 사용되었는데 이 때문에 스베틀라나는 평상시에는 외교협상과 외국사절의 접대 등에 주로 사용되어졌다. 1904년에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스베틀라나는 제 2함대의 일원으로 전투에 참가하게 되었다. 극동으로 파견되기전에 무장변환이 이루어져 47mm포 4문과 75mm포를 장비했다.

또 무선기와 광학조준경도 탑재하였는데 스베틀라나는 세르게이 셰인 대좌가 승함하여 러시아 함대의 정찰부대를 지휘했다. 1905년 5월 14일에 이루어진 쓰시마 해전에서 스베틀라나는 적탄에 의해 함수에 구멍이 뚫리며 대파되었다. 스베틀라나는
수뢰정 <뷔스틀루이>를 동반한 채 전장을 이탈했는데 블라디보스톡으로 후퇴하던 중 일본해군의 추격을 받았다.

스베틀라나는 해전으로 인한 손상으로 속력이 15노트에서 올라가지 않아 18노트의 일본순양함에게 따라잡히는 것은 시간문제였다. 15일 오전 9시 경에 셰인 대좌는 조선부근 해역에서 자침하는 것을 결정하여 함의 진로를 서쪽으로 변경했다. 일본해군의 순양함인 니다카(新高)와 오토와(音羽)는 거리 9,000m까지 접근하여 포격을 개시했다.

스베틀라나도 분전하여 오토와에게 2발의 명중탄을 안겨주었다. 오전 10시 40분에 <뷔스틀루이>가 스베틀라나를 벗어나 도주를 개시했다. 니다카는 이를 쫓았다. 전투개시 1시간 후 탄환이 고갈된 스베틀라나의 침몰은 시간문제였다. 사상자가 갈수록 늘어나고 함내는 바닷물이 차올랐다.

셰인 대좌는 자침을 명령했지만 탄약고가 침수되어 자폭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진퇴양난에 빠진 스베틀라나였지만 항복의 깃발은 내걸지 않고 적탄에 의해 침몰하기를 기다렸다. 오전 10시 50분에 오토와는 사격을 중지했는데 이 때 셰인 대좌는 전사했고 부관인 알렉산드르 즐로프 중좌도 빈사의 중상을 입었다.

함장이 전사하면서 수병들은 차례로 바다에 뛰어들었다. 오전 11시 6분에 스베틀라나는 옆으로 기운 채 침몰하고 말았다. 침몰위치는 독도 인근의 북위 37도 6분, 동경 129도 55분이었다. 생존자 291명은 일본 순양함에 의해 구조되었는데 한편 달아났던 <뷔스틀루이>는 어렵사리 조선에 도착한 후 수병들의 손으로 함을 자침시켰다.


출처:해인사 <러시아/소련해군 순양함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