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리크(함선)

제1차 세계대전기의 러시아 해군 함선
수뢰정페르노프
구축함노빅, 데르즈키급, 오르페이급, 이즈야슬라브급, 피도니시급
잠수함델핀, 솜급, 카사크타급, 미노가, 아쿨라, 카르프급, 카이만급, 크랍, 모르즈급, 바르스급, 나르발급, A급
경순양함알마스급
장갑순양함파먀티 아조노바, 게네랄 아드미라르, 로시아, 블라디미르 모노마프, 그로모보이, 바얀급, 류리크, 아드미라르 나키모브급
방호순양함팔라다급, 스베틀라나급, 아스콜드, 보가틔아급, 이주므루드급
순양전함이즈마일급(보로디노급)
전함
프리 드레드노트급예카테리나 2세급, 임페라토르 알렉산드르 2세급, 페트로파블로프스크급, 트리 스비아티테리아, 로스티슬라브, 체사레비치, 보로디노급, 페레스베트급, 포템킨, 에프스타피급, 안드레이 페르보즈반니급
드레드노트급강구트급, 임페라트리사 마리야급,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급
취소선: 건조 취소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Rurik.jpg

1 제원

전장126m
전폭20m
높이7.9m
기준배수량11,960t
최대출력13,250hp
최대속력18kt
항속력10kt로 6,700해리
무장20.3cm 단장포 4기, 15.2cm 단장포 16기, 12cm 단장포 6기,
47mm 단장포 6기, 37mm 단장포 10기, 63.5mm 육상포 2기,
38.1cm 수상어뢰발사관 단장 6기
탑재기 수없음
승원741명
동형함없음

2 개요

류리크는 러시아 제국해군의 장갑순양함으로, 동형함은 없다. 1890년 5월 19일에 발트 공창에서 기공해 1892년 10월 22일 진수 후 1895년 10월 16일에 완공되어 블라디보스톡 순양함대에 편입된 후 통상파괴작전에 주로 투입되었다. 류리크는 기존장갑함보다 선체를 약간 더 연장하여 건현이 높은 평갑판형 선체를 채용한 것이 특징이었다.

류리크의 선체형상은 함수아래 충각을 가졌으며 범주용의 마스트 3개와 중앙에 연돌 2개를 가진 당시 일반적인 장갑함의 형태였다.

3 상세

3.1 무장

본급의 주포는 라이플포인 35구경 1892년형 203mm포였다. 이것은 단장포가로 현측포곽배치로 4기를 탑재했다. 부포로는 45구경 1892년형 152mm포를 채용했는데 단장포가로 현측포곽배치로 16기를 탑재했다. 그 외에 12cm 단장포 6기와 근접전투용의 43구경 호치키스 47mm포를 단장포가에 6기, 20구경 37mm 단장포를 단장포가에 10기를 탑재했다.

육상공격용으로 파라노프스키 20구경 63.5mm 상륙포를 단장포가로 각현 1기씩 2기를 배치했으며 대함공격용으로 38.1cm 수상 어뢰발사관을 단장으로 6기를 탑재했다.

3.2 장갑

본급은 방어면에서 이전보다 더욱 강화되어 선체측면은 203mm~305mm의 두터운 철판으로 보호되었고 포곽부도 305mm, 사령탑도 152mm의 장갑을 덧씌웠다.

출처:헤인사<러시아/소련해군 순양함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