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탯관리

1 스탯관리란?

스포츠에서 경기 결과나 승부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개인 기록의 향상에 포인트를 둔 선수들의 모습을 두고 팬들은 스탯관리한다고 부른다.

사실 스탯관리는 팀의 영광이 곧 개인의 영광이라는 듣기에 건전한(?) 생각과 마찬가지로 개인의 영광도 곧 팀의 영광이라는 시각도 충분히 일리가 있다는 점[1]에서 크게 비난받을 점은 없지만, 단체 스포츠에서 희생이란 면모를 중시하는 팬들은 희생이라는 면모가 부족하고 자기만의 이기적인, 혹은 튀는 플레이 성향을 가진 선수들을 보고 스탯관리한다고 말한다는 점에서 이는 호의보다는 비하, 비난의 의미가 더 강한 표현이다.

2 사례

2.1 축구

축구에서는 스코어가 서너골 이상으로 벌어진 후에 골잔치를 벌이는 선수들을 종종 스탯관리한다고 한다.[2] 하지만 축구란게 골이 자주 나오는것도 아닌데다, 승점이 같아 골득실을 따지는 경우 이렇게 넣은 골들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이외에 팬들도 그렇게 스탯관리를 통해 자기 팀 선수가 득점왕에 오르기라도 하면 매우 기뻐하는 것을 볼때 평소에 웬만큼 팀플레이에 충실하고 꾸준한 활약을 보인다는 전제[3] 하에 그리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2.2 야구

그런데 야구에서는 이 말이 꽤 제한적인 의미로 쓰이는데, 야구에서 스탯관리한다고 말할 때의 스탯은 타율만 일컫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타율은 야구계 전반에 걸쳐 가장 널리 알려진 스탯이라서 대부분의 선수들이 가장 중시하는 스탯이기도 하거니와, 야구의 비율스탯 중 가장 관리하기 쉬운 스탯이기 때문이다.[4]

사실 야구는 스탯관리가 꽤나 광범위하게 일어나는 스포츠중 하나인데, 개인의 성적과 팀 성적의 괴리가 다른 어떤 스포츠와도 넓기 때문. 특히 타자의 경우 개인 기록중 자신이 타석에 나와서 기록지에 올라가는 것들중, 팀의 승리에 직결되는 득점 관련 기록이 타점,홈런,득점 이 3가지 뿐이다. 하루 5타수 5안타를 쳤어도 주자 없을때 다 치거나 후속타 불발로 잔루처리 되면 자신의 해당 경기 득점 관여도는 거의 0에 수렴하는 반면, 5타수 0안타 병살 5개를 쳤어도(...) 주자 하나라도 홈에 불러들이고 그 경기 1:0으로 승리했으면 그 타자의 득점 관여도는 1, 승리 관여도는 거의 1점에 수렴할 정도가 되는 것. 투승타타드립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다.

때문에, 오로지 점수만 가지고 우열을 가리는 팀 승패를 위해서는 팀 득점,실점에 관여도가 높은 스탯을 많이 쌓아야 실제 팀 공헌도가 높은데, 타율이란 기록은, 아웃되는 것 보다야 낫지만 팀 득점 관여도에서 가장 낮은 기록이고, 팀 득점에 높은 관여도를 보이는 기록은 홈런,장타율등 장타와 관련된 비율 스탯 또는 (타율을 포함해)출루율이 높을 수록 팀 득점 관여도가 높다. 하지만, 타자의 기록은 전부가 개인 기록이고 타율이 자신이 관여하는 팀의 생산력에 가장 관여도가 적은 스탯임에도 타자를 대표하는 스탯이다. 이때문에 스탯관리의 주요 표적이 되는 것.

타격왕 경쟁이 벌어지는 시즌 막판에 이런 현상이 졸렬한 타율관리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장타력이 부족한 똑딱이 스타일의 타자들이 이런 경우가 많아서, 타율 3할을 찍으면서도 OPS가 8할에도 못 미치는 비생산적인 경우가 의외로 많다.

대표적인 사례가 LG 트윈스/2012년의 큰 이병규이진영. 그리고 2016년의 이대형이다. 공교롭게도 전원 LG 트윈스 관계자들 이 둘은 장타력이 기본소양으로 요구되는 코너 외야수를 보면서도 장타율 .450을 못 쳤을 정도. 이대형은 한술 더떠서, 2016년 9월말 기준 시즌 최다안타 3위에 올라있으면서, OPS순위로 치면 규정타석 채운 타자중 뒤에서 5등이다. 이런 선수들은 부족한 장타력 면에서의 기여도를 도루나 견고한 수비로 메꾼다. 그런데 똑딱질도 겨우겨우 하면서 수비도 개판이고 주루센스마저 꽝이라면? 당장 퇴출감이다(...)

스탯관리를 통해 팀에 기여할 수 있는 스탯은 비율스탯 중에는 출루율장타율이 대표적이며, 개인 차원에 그치지 않고 팀 차원에서 이 두 스탯을 관리하는 것은 팀의 타격성적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스탯관리라고 가벼이 볼 수 없는 점도 있다.

허나 분명한 것은, 타율이든 출루율이든 장타율이든, 그도 아니면 누적스탯이든 간에 선수 개인이 타이틀 딸 수 있는 마지노선을 넘자마자 부상 같은 특별히 불가피한 사유 없이 드러누워버리는 행태는 스탯관리한다고 까여도 할 말이 없다. 야구에서는 타율 3할에 안주하지 않고 4할을 향해 끊임없이 기록을 향상시키는, 홈런왕 타이틀에 그치지 않고 신기록을 향해 계속해서 홈런을 때려내는, 다시말해 지속적인 발전이 가미된 스탯관리야말로 진정으로 팀에 도움이 되는 스탯관리다.

물론 타율만 챙기는데 그치지 않고 출루율이나 장타율 같은 다른 비율스탯과 화려한 누적스탯까지 챙기는 실속파(?) 선수들도 있기야 있는데, 팬들은 그런 선수들을 두고 저새키 분명히 약 빨았다(...)고 말한다. 이대호의 2010년 KBO 리그 타격 7관왕 퍼포먼스야 말이 필요없고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시절 발전이 없는 잉여의 역사적인 11년은 카디널스 프랜차이즈의 역사에 한 획을 그은 MVP 3회 수상과 두번의 우승이 가미되며 스탯관리의 모범사례가 되었다. 마지막 시즌이 좀 개그였긴 했다. 11년 연속 .299 99타점 99득점 대기록 완성... 구구구구

2012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지명타자 아담 던은 올타임 싱글시즌 최다삼진 기록에 한개차로 접근한 채 마지막 경기를 앞둔 시점에서 결장하여 졸렬한 삼진관리라는 행태를 보였다(...) 아담 던은 비율스탯이나 누적 안타수 등은 모두 제쳐놓고 홈런과 볼넷만을 챙기는 변태적인 스탯관리로 이름이 높아 컬트적인 인기를 끄는 선수이기도 하다(...)

이런 졸렬한 스탯 관리가 극에 달한 케이스로 클로저 이상용안준민이 있다. 해당 문서 참고.
  1. 예를 들어 야구에서 탈삼진 스탯을 쌓기 위해 맞춰잡는 피칭을 기피하는 투수들이 있는데, 이들을 두고 탈삼진 스탯관리한다고 까기에는 탈삼진은 투수의 진정한 기량을 나타내는 척도 중 하나임은 물론 팀의 승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이기적인 스탯관리라 볼 수 없다.
  2. 예를 들면 2009년 봄에 리버풀 FC레알 마드리드 C.F.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를 4-0, 4-1로 발라버리며 전 유럽에 걸쳐 맹위를 떨치던 때에 리버풀의 레프트백 안드레아 도세나가 그 두 경기에서 각각 4번째 골을 넣었는데 팬들은 스탯관리하는 도세나를 두고 4신이라고 놀렸다.
  3. 뭐 스텟관리가 있었다고는 해도 득점왕에 오를정도라면 스텟관리가 없었어도 득점 순위권일 확률이 높다.
  4. 스텟관리를 할때 타율은 한경기에 단타 하나만 쳐도 되지만, 장타율은 단어 그대로 2루타 이상의 장타를 쳐야 하고, 출루율은 볼넷, 몸에 맞은 공, 희생플라이까지 보기 때문에 좀 까다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