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플릿 리그

1 개요

승강제가 존재하는 스포츠 리그에서 팀이 짝수개일 경우 팀을 풀 리그 성적에 따라 반으로 나누어서 상위 팀은 우승 경쟁을 하고 하위 팀은 잔류 경쟁을 하는 방식의 리그를 말한다. 스코틀랜드의 프로축구 리그인 스코틀랜드 프리미어십이 대표적.
K리그도 실행중이다

2 방식

먼저 풀 리그를 돌린 후 풀 리그 성적에 따라 반으로 나눈다. 예를 들어, 12팀으로 된 리그라면 1위부터 6위까지는 상위 스플릿에 넣고 7위부터 12위까지는 하위 스플릿에 넣는다. 상위 스플릿에서는 상위 스플릿에 속한 팀들끼리만 경기를 치러서 우승팀을 가리고, 하위 스플릿에서는 하위 스플릿에 속한 팀들끼리만 경기를 치러서 강등팀을 가리게 된다.

정규 라운드에서 거둔 전적(승무패와 골득실 등)은 스플릿 라운드에서도 그대로 승계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위 스플릿이건 하위 스플릿이건 정규 라운드에서 승점을 많이 따 놓은 팀이 경쟁에서 유리하다.

또한, 상위 스플릿과 하위 스플릿 간에는 순위가 역전되지 않는다. 즉, 상위 스플릿에 들면 아무리 못 해도 하위 스플릿에 있는 팀들보다 순위가 낮아지지 않으며, 하위 스플릿에 들면 아무리 잘 해도 상위 스플릿에 있는 팀들보다 순위가 높아지지 않는다.

2부 이하의 리그에도 팀의 숫자가 짝수라면 이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위 스플릿을 승격 경쟁으로, 하위 스플릿을 강등 경쟁으로 하면 된다.

3 예시

이해를 돕기 위해 간략하게 4팀으로 된 리그로 설명한다. 정규 리그와 스플릿 리그 모두 홈과 원정에서 한 번씩 하고 최하위 1팀을 강등시킨다고 가정.

경기팀1점수팀2
1-1A팀1:1B팀
1-2C팀2:3D팀
2-1C팀2:1A팀
2-2D팀3:0B팀
3-1A팀1:1D팀
3-2B팀0:0C팀
4-1B팀1:1A팀
4-2D팀3:0C팀
5-1A팀3:1C팀
5-2B팀1:0D팀
6-1D팀0:0A팀
6-2B팀2:2C팀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승점
1D팀6321104+611
2A팀614176+17
3B팀614157-27
4C팀6123712-55

정규 라운드 결과 상위 2팀에 해당하는 D팀과 A팀이 상위 스플릿에 가고, 하위 2팀에 해당하는 B팀과 2팀이 하위 스플릿에 간다. 이렇게 둘로 나눠서 진행시키면,

경기팀1점수팀2
C1A팀2:2D팀
R1C팀4:0B팀
C2D팀2:1A팀
R2B팀3:2C팀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승점
1D팀8431147+715
2A팀8152101008
{{{}}}
3B팀8242813-510
4C팀82241315-28

정규 라운드에서 1위를 차지한 D팀은 스플릿 라운드에서도 1승 1무로 승점이 가장 높아 우승을 차지했다. 문제는 하위 스플릿에 있는 B팀과 C팀의 결과인데, 스플릿 라운드만 놓고 본다면 양팀 모두 1승 1패인데 1차전은 C팀의 4:0 승리, 2차전은 B팀의 3:2 승리로 C팀이 우월하다. 그러나 정규 리그에서 B팀이 쌓아 놓은 승점이 2점 더 많아서 이 둘을 합산하니 B팀이 C팀을 제치고 강등을 면하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A팀은 B팀보다 승점이 낮으나 상위 스플릿에 있기 때문에 3위로 떨어지지 않고 2위에 랭크되었다. 마찬가지로 B팀도 2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3위로 남았다.

이런 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스플릿 리그다.

4 특징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이 특징들은 장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 당연하지만 경기 수가 많아진다. 예를 들어, 12팀으로 된 리그에서 한 팀이 한 팀을 홈에서 한 번, 원정에서 한 번 상대한다고 하면 일반 리그 방식으로는 22경기(11×2)가 되지만, 여기에 6/6 스플릿을 도입해서 스플릿 라운드를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한다면 32경기(11×2+5×2)로 늘어난다. 경기 수가 많아짐으로 인해 흥행면에서 꽤 좋지만, 한편으로는 오히려 이게 단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는데, 경기 수가 폭발적으로 많아져서 선수의 입장에서나 팀의 입장에서나 경기 일정을 소화하는 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특히, 리그 구성 팀이 많을수록 이 단점은 더욱 커지는데, 한 예로 승강제 도입을 확정한 2012년 K리그의 경우 그 당시 팀이 16개였는데 홈 앤 어웨이 방식의 정규 리그와 스플릿 리그를 돌린 결과 팀당 44경기(15×2+7×2)를 치르게 되었다. 직전 시즌의 30경기(15×2)에 비해 확실히 많은 숫자였다. 때문에 경기 일정을 짜는 데 어려움이 생기자 당시 2011년 K리그 승부조작 사건으로 인해 불거진 리그컵 폐지론과 맞물려 리그컵을 폐지해야 했다.
  • 리그의 긴장감을 증폭시킨다. 일반 리그로 할 경우 상위권 팀들은 우승 경쟁으로 긴장감이 고조되고 하위권 팀들은 강등 탈출을 위한 경쟁으로 긴장감이 고조되지만, 이도 저도 아닌 중위권 팀들은 다소 긴장감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상위권 팀과 하위권 팀의 격차가 크게 벌어질수록 이런 현상이 심해지는데 여기에 스플릿 리그를 톻해 기회를 주먼 상위 스플릿 기준으로 하위권에 속하는 중상위권 팀들은 우승을 노리고 치고 올라가려 하기 때문에 긴장의 끈이 팽팽해지고, 강등권까지 밀려난 하위권 팀들이 잔류를 위해 치고 올라가려 하기 때문에 하위 스플릿 기준으로 상위권에 속하는 중하위권 팀들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만든다.
  • 앞서 말했듯 상위 스플릿과 하위 스플릿 간 순위 역전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위 스플릿에 들어간 팀은 아무리 못해도 하위 스플릿에 들어간 팀보다 항상 높은 순위를 기록하게 되고, 하위 스플릿에 들어간 팀은 아무리 잘해도 상위 스플릿에 들어간 팀보다 항상 낮은 순위를 기록하게 된다. 즉, 상위 스플릿에 들고 나면 아무리 삽질을 거듭하여 리그의 모든 팀들을 통들어 승점이 가장 낮더라도 상위 스플릿에서만 꼴찌일 뿐 전체 꼴찌로 떨어지지는 않으므로 강등을 모면하게 된다. 반대로, 하위 스플릿에 들어간 팀은 설령 다른 팀들을 학살하면서 승점을 차곡차곡 쌓는 동안에 상위 스플릿에서 지들끼리 물고 물리는 바람에 그 팀이 승점에서 전체 1등을 하더라도 우승팀이 되지 못한다. 억울하겠지만 애초에 규칙이 그러니 어쩔 수가 없는 부분이다.[1] 한 예로, 2012년 K리그를 보면 골득실로 인해 아깝게 상위 스플릿에 들지 못한 인천 유나이티드의 최종 성적을 보면 17승 16무 11패(승점 67점)으로 팀 전체 성적만 놓고 본다면 오히려 상위 스플릿 6위를 기록한 제주 유나이티드(16승 15무 13패, 승점 63점)보다 앞선다. 그러나 규칙상 6위로는 올라가지 못하고 하위 스플릿에서 가장 높은 순위인 9위로 기록되었다. 반대로, 상위 스플릿에 간신히 들어간 경남 FC의 최종 성적을 보면 14승 8무 22패(승점 50점)로 하위 스플릿에서 4번째로 성적이 저조한 대전 시티즌(13승 11무 20패, 승점 50점)과 동률이 되고 골득실이 앞서지만 마찬가지로 12위로 떨어지지 않고 상위 스플릿에서 가장 낮은 순위인 8위로 기록되었다.
  • 하지만 스플릿 시스템이 오히려 긴장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할 경우도 없지는 않은데, 특히 팀 성적이 중간쯤에 위치해 있는데 상위 팀 혹은 하위 팀과으 격차가 너무 클 경우. 상위 스플릿에 턱걸이로 들어갔는데 최상위 팀과의 격차가 너무 벌어져서 우승은 너무 까마득하고 어차피 강등은 면했다는 생각에 긴장의 끈이 너무 쉽게 풀어져 버린다. 반대로, 아깝게 하위 스플릿에 들어갔는데 강등권에 진입한 팀과 격차가 너무 커서 사실상 강등을 면했을 경우에도 같은 생각에 긴장의 끈을 쉽게 풀어비릴 수 있다.
  • 스플릿 리그를 대칭으로 하려면 리그의 전체 팀 숫자를 짝수로 맞출 필요가 있다. 만약 홀수일 경우 양 스플릿의 팀 숫자를 똑같이 맞출 수가 없기 때문. 그렇게 되면 양 스플릿 간 경기 숫자도 당연히 달라지게 되어 형평성을 해치는 불합리함이 따를 수밖에 없다. 실제로 2012년 K리그에서 하위 스플릿에 들어간 상주 상무가 스플릿 리그 불참 선언을 하는 통에 비슷한 일이 일어날 뻔했는데 이 문제는 상주가 치를 예정이던 경기를 전부 0:2 몰수패로 처리해서 넘기긴 했다.
  • 하지만 비대칭 스플릿도 가능하다. 상위 스플릿과 하위 스플릿의 팀 수를 다르게 하는 방식. 이스라엘 프리미어리그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이다. 2013년 K리그 클래식처럼 14팀인데 7팀씩 자르는 게 아니라 위에는 6팀, 밑에는 8팀 이렇게 자른다. 이쪽은 한때 '중위 스플릿'이라는 희한한 형태의 스플릿 방식을 채택한 적도 있다. 위아래 6팀에 해당하지 않는 중간 순위의 4팀이 지들끼리 플레이오프하는 방식. 근데 이도저도 아닌 어중간한 순위로는 동기 부여가 잘 안 될 것이라 판단했는지 중위 스플릿을 폐지하고 그냥 상하로 가르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5 스플릿 리그 방식의 리그

괄호 안의 n+n은 정규 리그와 스플릿 리그의 팀당 경기 수. ※표시는 비대칭 스플릿.

- 2012년 16팀(8/8, 30+14, 2팀 강등), 2013년 14팀(7/7, 26+12, 2+1팀 강등)
팀 규모가 12팀으로 축소되는 2014년 시즌에도 스플릿 시스템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전까지 거론된 방안으로는 22+10 또는 33+5가 있었는데, 전자는 정규 리그와 스플릿이 모두 두 바퀴 돌기 때문에 홈과 어웨이의 균형이 맞는데 스플릿 라운드가 늘어져 리그의 재미를 반감시키고 반면 후자는 정규 리그를 세 바퀴 돌리고 스플릿을 한 바퀴 돌려야 해서 균형을 맞추기 어렵다.[2][3] 결국 프로축구연맹은 33+5를 선택했다.

5.1 과거에 시행했던 리그

  • S리그(싱가포르): 12팀(6/6, 22+12, 승강제 없음) - 2013 시즌부터 시행, 2014년 시즌을 끝으로 폐지.
  1. 그러나 억울하다고만 볼 수는 없는 것이, 상위 스플릿 팀들은 하위 스플릿 팀들보다 확률적으로 강팀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같은 실력 기준으로는 승점을 획득하기 더 어렵다.
  2. 17경기 홈 16경기 원정으로 치른 팀과 16경기 홈 17경기 원정으로 치른 팀이 양 스플릿에 균일하게 나뉘어 들어가리라는 보장이 없으므로.
  3. 이전에는 전자는 경기 수가 적은 것이 단점이고, 후자는 경기 수가 많아서 좋다고 했지만, 이는 함부로 단정하기 힘들다. 여름과 겨울이 뚜렷하여 두 계절에 모두 휴식기를 가지는 K리그 특성상 경기 수가 많아지면 경기 일정의 밀도가 매우 높아진다. 이로 인해 로테이션 멤버를 잘 갖춘 상위팀과 그렇지 못한 하위팀간의 차이가 뚜렷해질 수 밖에 없으며(이는 2014시즌 전북 현대와 포항 스틸러스만 봐도 알 수 있다.), 주전급 선수들의 부상 역시 잦아질 수 밖에 없다. 뭐, 그런 거 없이 빡빡한 일정을 잘 뛰어주면 좋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이론상의 이야기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