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부치기

1 소개

아마추어 야구에서 사용되는 일종의 촉진룰. 무승부를 방지하면서 무제한 연장승부의 시간지연을 방지하기 위한 룰이다.

축구의 승부차기나 핸드볼의 승부던지기에서 인용하여 승부치기라고 번역되었다. 원래는 Tie Break System인데.. 이건 그냥 동점을 깨고 승부를 결정한다는 말일 뿐. 동점 박살 시스템

물론 아이스하키에서의 슛아웃을 번역할때 승부치기로 번역한다.

2 방식

파일:Attachment/baseball 1 2.png

IBAF 공식 규정(영문)

방법은 10회까지 무승부일 경우 11회 시작에[1] 위 그림처럼 무사 1, 2루로 주자가 세팅된 상황에서 경기에 돌입하게 된다. 야구는 특유의 패널티 요소가 주루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되는 것. 즉 예를들어 주자가 1, 2번이 나가 있으면 타자는 3번부터 타석에 들어서게 된다.[2] 만약 그 전회의 승부치기에서 승부가 가려지지 않았다면 다음 회의 타자는 기존 룰대로 전회의 마지막 타석에 들어선 타자의 다음 순번 선수가 들어서게 되고, 반대로 주자는 마지막 타석에 들어선 타자와 그 전 타순의 타자가 된다.

예를 들면, 11회에 승부치기를 시작하게 되어 9번과 1번이 각각 2루, 1루 주자로 나간다면 2번 타자부터 타석에 들어서게 된다. 그리고 5번 타자가 아웃이 되면서 11회가 끝났다. 이 때 승부를 가리지 못했다면 12회에는 4번 타자가 2루에, 5번 타자가 1루에 주자로서 나가고 6번 타자부터 타석에 들어서게 된다.

3 승부치기의 도입사(史)

주로 아마추어 야구를 담당하고 해외 야구 선도에 앞장서는 기구인 국제야구연맹(IBAF)에 의해 주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공식적으로 이걸 리그에 처음 쓰인 것은 이스라엘 프로리그였다. 그러나 리그가 너무나도 사람이 없어서[3] 결국 1년(2007~2008)만에 문닫은 통에 그다지 주목을 받지 못했다가, 베이징 올림픽 야구에 사용하기 전 2008 IBAF 세계청소년야구선수권 대회[4]에서 시범 영을 실시했고 대만과 푸에르토리코의 예선 마지막 경기에 국제대회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승부치기, 이닝 말 공격팀이 유리

본격적으로 승부치기라는 단어가 국내에 알려진건 베이징 올림픽 야구 예선 때였으며 이후에 WBC 2회 대회 때 조별리그에 도입된 적이 있다. 한국에서도 고교야구와 대학야구에 도입되어 있고[5], 한국프로야구 쪽에서도 2009년 시범경기에 한해 도입되었다가 2010년 시즌에도 시범경기에 한하여 도입되었다. 단,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 측에서는 이딴 거 절대 없다. 무조건 정석대로 끝장승부.

국제야구연맹의 상위 단체에서 시행되는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도 승부치기가 적용되었다.

제한시간이 없다는 것이 야구의 매력이지만, 페넌트레이스가 아닌 대회들에서는 일정이 빡빡하기에 무승부 상태로 질질 끌다가 1박2일 승부라도 나와버리면 일정에 큰 문제를 겪게 되기 때문에 도입되었다. 특히나 강행군을 해야되는 단기전의 특성상 1박2일 경기가 나오면 웬만해서는 베스트 라인으로 돌려야 되는 단기전의 특성상 이렇게 길어지면 팀 운용이 상당히 힘들어지게 된다.

한국에서는 무승부 룰이 패배로 인정되던 2009년 초반에 한국프로야구의 정식경기에도 본격적으로 도입하잔 주장이 있었으나, 그 당시나 지금이나 문제점이 확연하게 존재했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물론 시범경기때는 주로 실전 경기를 통해 선수의 컨디션을 정확히 확인해야 되며, 또한 일정이 빡빡하게 짜여져 있다는 조건이 달려 있기 때문에 2010시즌 시범경기 때 첫 도입된 이후 2011년시즌 시범경기에서도 도입되었다.

그리고 한국프로야구 올스타전의 경우에 연장전에 들어가면 승부치기를 하도록 되어 있다.

WBSC 프리미어 12에도 승부치기 규정이 적용된다. 승부치기 돌입 시점은 9회말이 동점으로 끝나고 10회 시작할 때부터이다. 즉, 연장전에 들어가자마자 승부치기를 한다. 여기에 추가적인 규칙으로 10회 시작하기 전에 양 팀에 타순을 바꿀 기회를 딱 한 번 준다. 다만, 여기서 타순을 바꾼다는 게 라인업의 타순을 통째로 바꾸는 게 아니라 그 라인업에서 몇 번 타자부터 타격을 시작할지를 지정하는 식이다.

4 승부치기에 대한 반대의견들

하지만 도입된 이후로도 승부치기에는 큰 반대의견이 존재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타임아웃이 없는 경기라는 야구의 특성을 무시한 것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이지만 다른 복합적인 문제도 상당히 많다. 타순은 1회에 들어온 순서대로가 아닌, 중간부터 들어오게 된다는 문제점. 그리고 가장 큰 문제인 승부치기에서 일어나는 피칭 및 타격행위는 기록에 특수상황을 만들어놓고 이뤄지는 상황이므로 작성할 수 없지만, 기록에 넣지 않는다면 승자는 있지만 승리투수나 패전투수가 없는 경기가 되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도 기록의 경우는 베이징 올림픽 야구 때 1, 2루에 기출루해 있는 주자들의 득점은 투수의 자책점으로 취급하지 않지만 타자들의 타점으로는 인정하는 등의 기록방식을 취했으며, 그나마 이쪽이 가장 현실성이 있는지라 아마 이 방식으로 쭉 이어질듯 보인다.

5 그외

승부치기로 인한 무사 1, 2루 세팅이 퍼펙트 게임 기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는 추가바람(…).

이거 보기에는 극단적인 가정일진 몰라도 굉장히 흠좀무한 사안이다. 대한민국 고교야구 사상 유일의 대기록인 2008년 김태훈의 퍼펙트게임이 만약 9회까지 0:0이었다면 어땠을지 상상해보라. 충공깽이다. 27 up 27 down 또는 30 up 30 down의 완벽한 상황에 점수가 안나서 연장에 들어갈 경우 주자가 임의로 베이스에 나가있는 것이 과연 옳은가의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숙제다.

누가 베이스에 나가도록 임의로 설정한다는 것 자체가 야구의 규칙을 확 뒤집어버리는 문제다. DH처럼 라인업에 투수 대신 누구 한명을 내보내면서 평소대로 하는 지경이 아니라 이건 타순을 임의로 갈아엎는 제도이기 때문이다. 이래저래 골때리는 문제다. 이것이 진정 야구 저변을 넓히는 데에 좋은지도 생각해봐야 할 문제.

축구의 승부차기처럼 홈런 더비를 벌여 승부를 정하는 방식의 승부치기도 있다. 이스라엘 야구 리그에 도입한 승부치기가 바로 이런 방식이었다.

  1.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기준으로는 9회까지 무승부일 경우 10회부터.
  2. 당연하지만 이미 교체로 나간 선수는 투입될 수 없다.
  3. 평균관중이 200명 남짓이었다. 이스라엘 프로 농구의 1만 1500명 평균 관중, 축구의 22,500명(2007) 관중과 극과 극이다.
  4. 에드먼턴 키즈가 나온 그 대회 맞다. 에이스 성영훈을 앞세워 세계대회 2연패를 달성한 팀으로 유명하다.
  5. 다만 콜드게임과 마찬가지로 결승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