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주

1 죽은 사람의 이름,관직 등을 적은 나무 조각

神主. 신주는 죽은 사람의 이름, 친족 관계, 관직 등을 쓴 나무 조각이다. 신주는 죽은 조상을 상징하며 사당에 안치하였다. 비슷하지만, 간략하게 만든 위패(位牌)라고 하는 것도 있다. 그리고 신주를 모실 사당을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일회용 신주격인 지방(紙榜)도 있다. 이는 단어 그대로 종이로 만들어 제사 후 불태운다.

2 神主(かんぬし)

일본어로는 '칸누시'라고 읽는다. 신사에서 일하고 있는 사람(즉, 신관)을 가리키는 말이다(무녀 제외). 신사의 주인이라는 뜻이 아니다. 신사의 주인은 말 그대로 이기 때문. 이 역시 한국의 '박수'와 달리 사실상 직업적인 성격이 강하다.

동방 프로젝트의 개발자인 ZUN의 별명이 '하쿠레이 신사의 신주'이기도 하다. 이것을 두고 'ZUN이 신이냐'라는 비아냥을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위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신주'를 '신사의 주인'이라는 뜻으로 오해하는 바람에 생긴 해프닝이다. (그만큼 한국에서는 대중적으로는 사용되지 않는 말이기도 하다.)

또한 야구에서는 배트를 앞으로 내고 치는 자세를 부르는 비공식 용어이기도 하다.

3 心中; 동반자살

일본어 신주(しんじゅう;心中), 에도시대에 유행하던 남녀동반자살(정사). 서로 사랑하는 남녀가 결혼할 수 없을때 택하는 최후의 수단으로 둘이 함께 죽는 것이다. 당시에 있어서 남녀 사이 최대의 로망이었다. 오사카에서 있었던 소네자키 신주가 분라쿠(일본의 전통 인형극)로 만들어져 엄청난 히트를 치면서 이후 20-30년간 신주는 대단히 유행하였다.

신주가 마치 유행병처럼 번지자 무로마치 시대에 들어 국법으로 신주가 금지되었다. 시도는 했으나 둘 다 살아남은 경우 혼바시에 3일간 벌거벗고 세워놓아 수치를 준 후 천민 계급이 되었으며, 혼자 살아남아도 감옥에 들어가 죽을 날만 기다리는 일생을 살아야한다. 특히 무사가 신주를 시도한 경우 집안 전체가 죠닌(평민)계급으로 강등되었다.

주로 유녀들과의 신주가 많았다고 한다. 유녀 자체가 포주에게 묶인 몸, 돈을 내는 남자에게 팔려갈 수 밖에 없었으니 운명을 거부한다면 가능한 선택지가 몇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시대를 거치며 단어의 뜻이 변하는데, 최초에는 남녀간 치정 문제에 연관된 동반자살이었으나 동성(同性) 연인의 동반자살도 신주라 부르게 되었고, 이후 근대를 거치며 연인이 아닌 집단자살, 최근에는 종교 집단의 집단자살이나, 인터넷에서 만난 사람들끼리[1] 함께 자살하는 것도 신주라 부르게 되었다. 특히 마지막 경우는 넷 신주(ネット心中)라는 신조어로 사용하기도.

4 황동을 이르는 말

황동(黃銅). 황동의 일본식 표현 진유(眞鍮)의 음독이며, 2차 제조업체 현장에서 많이 쓰이는 소위 업계 용어다. 자세한 사항은 해당 항목 참조.

5 도쿄★이노센트의 등장인물

도쿄★이노센트의 등장인물로, 성우는 오가타 겐이치.

백호 일족의 요괴로 한조와 같은 섬 출신. 유키시로 신사의 당주이자 지토세의 할아버지이다. 다만 이 쪽은 원래 모습인 여우로 변신하는 것을 매우 수월하게 하는 것으로 보아 요력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불가능하다.

얼핏 보면 하는 일 없이 느긋하게 시간을 보내고 있는 것 같지만 가사 일을 거의 도맡아서 하고 있다. 사실상 지토세와 시로를 뒷바라지하는 분. 놀랍게도 유키시로 신사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다.

6 중국이나 일본을 달리 이르는 말

神州. 전국 시대 사람 추연이 중국을 ‘적현신주(赤县神州)’라고 한 것에서 유래했다. 비슷한 관념으로 중국을 지칭하는 단어로 '천조'가 있다.

일본에서는 신주, 또는 신국(神國)이라고 하며, 태평양전쟁 당시 신주불멸(神州不滅)이라는 슬로건이 사용되었다.

7 중화민국의 지명

신주시(新竹市)와 신주현(新竹縣)을 참고할 것.
  1. 한국에도 비슷하게, 전혀 모르는 사람끼리 채팅방에서 만나 강릉까지 승용차를 타고 간 후 안에서 연탄불을 피워 4명이 숨진 사건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