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

1 야사(역사)에 대치되는 정사(正史)

1.1 개요

말 그대로, 실제로 일어났던 역사를 정확한 사실대로 기록한 것. 특히 한자문화권에서는 시대별로 특정한 역사서를 정사로 지정하여 특별 관리하기도 한다. 야사(역사)선비들의 개인적 입장에서 역사를 기록한 거라면, 정사는 국가가 직접적으로 관여해서 나라의 입장에서 만든 기록물이기 때문에 이전 역사를 분석하는데 정확도가 매우 높으며, 현재 남아있는 정사서는 국가의 매우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중국의 흠정24사[1]와 추가로 언급되는 4권[2], 한국삼국사기,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등이 정사에 속한다[3].

대다수의 정사는 국가가 직접 관여해서 제작한 역사서이지만, 개인이 편찬한 역사서인데 높은 완성도와 신뢰성 덕분에 국가 공인 정사로 지정된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사기를 비롯한 전사사(前四史)가 있다. 의미 그대로 흠정 24사 중 가장 먼저 편찬된 사기, 한서, 삼국지, 후한서의 네 사서를 말한다. 정사가 국가의 공인을 받은 한 왕조 혹은 한 시대를 대표하는 역사서이긴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국가 차원에서 인정하는 내용을 담은 것이지 100% 완벽한 진실이라 볼 수는 없다.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사례로는 중국의 24사의 경우 남북조 시대가 있는데, 남조의 정사와 북조의 정사들이 각각 편찬되어 서로를 디스하는 용어, 내용 등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래도 유교 문화권의 역사 기록 전통에 따라 상당한 수준의 객관성을 확보하려 노력한 것만은 분명하며, 객관성 및 정확성이 떨어지는 정사는 아예 예사(穢史), 더러운 역사서라는 별명으로 비하하기도 한다.

1.2 중국

중국은 사기에서 기전체라는 기록 양식을 창시한 이래, 하나의 왕조가 멸망하면 그 뒤를 이은 왕조에서 전 왕조 혹은 전 시대의 역사서를 기전체로 편찬하는 전통이 수립되었다. 그렇게 편찬된 전대 왕조의 역사서를 정사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보통은 한 왕조당 하나의 정사가 편찬되지만, 혼란기인 경우에는 여러 왕조 및 지방 정권의 역사를 묶어서 하나의 시대로 다루는 정사를 편찬하며, 앞서 편찬된 정사가 미흡하다고 하여 새롭게 정사를 편찬한 경우도 있다. 구당서와 신당서, 구오대사와 신오대사가 대표적인 경우. 청나라가 망한 뒤에 중화민국중화인민공화국에서 기전체 형식으로 편찬한 신원사, 청사고, 청사(淸史) 등이 있지만, 현대에 작성된 책들이라 보통 전통적인 정사로는 청나라 때 최종적으로 정리된 흠정 24사를 말하고 신원사, 청사고 등은 별개로 친다. 물론 함께 묶어서 25사, 26사라고 하기도 한다.

1.3 한국

한국도 삼국시대 때부터 신집, 국사 등 자국사를 책으로 편찬하기도 했지만 현전하지 않고, 중국의 정사 전통을 받아들여 고려 때 최초로 삼국사기를 편찬한 이래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등이 정사로 편찬·구분되어 전해지고 있다. 삼국사기와 고려사는 중국의 전통에 따라 기전체 양식으로 기록되었고, 고려사절요는 이름 그대로 고려사의 내용을 축약한 것이다. 원래 후대 왕조가 전대 왕조의 정사를 편찬하는 것이 전통인데 조선이 망한 뒤에 일제는 기전체 형식의 정사를 따로 편찬하지 않았기 때문에[4] 원래대로라면 기전체 정사를 편찬하는데 사용될 원사료인 조선왕조실록이 그대로 정사로 취급되고 있다.

1.4 일본

일본은 일본서기를 시작으로 헤이안 시대 동안 6개의 역사서가 국가 주도로 편찬되었다. 이를 육국사(六國史)라고 부르며, 일본에서 정사의 개념은 이 육국사만을 의미한다. 일본서기, 속일본기, 일본후기, 속일본후기, 일본문덕천황실록, 일본삼대실록이 육국사로 901년에 일본삼대실록이 편찬된 이후 국가에 의한 정사의 편찬은 중단되었다. 10세기에 신국사(新國史)를 편찬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실패하였고, 메이지 유신 이후에도 육국사 이후의 정사를 편찬하려는 사업이 진행되었으나 완성하지 못하였다. 일본의 정사는 기전체가 아닌 편년체 양식이며, 속일본기에서 사용한 기록 양식을 국사체(國史體)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1.5 류큐

류큐 왕국의 정사인 중산세감(中山世鑑)이 1650년에 6권으로 편찬되었다.

1.6 베트남

  • 대월사기(大越史記, Đại Việt sử ký)
  • 대월사기전서(大越史記全書,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 흠정월사통감강목(欽定越史通鑑綱目, Khâm định Việt sử Thông giám cương mục),
  • 대남식록(大南寔録, Đại Nam thực lục)

등이 있다.

1.7 기타

역사 외 창작물에도 사용하는 단어이다.[5] 작가가 특정 작품을 만들었는데 그것이 인기있을 경우 거기서 가지가 뻗쳐 여러가지가 만들어지기 마련인데, 이것들은 모두 동인설정 또는 2차 창작(야사/외전)이므로 중요도가 떨어진다. 작가가 "이 작품은 정식 설정입니다"라고 공언하면 작가의 세계관에 포함되어 정사로 취급받는 셈. 악성 빠들은 정사 아니면 없는 작품 취급해 어그로를 끌기도 한다.

2 政事

  1. 정치상의 일.
2. 관리의 일면, 출척(黜陟)에 관한 일.

3 60갑자의 54번째 갑자 丁巳

60갑자
甲子
갑자
乙丑
을축
丙寅
병인
丁卯
정묘
戊辰
무진
己巳
기사
庚午
경오
辛未
신미
壬申
임신
癸酉
계유
甲戌
갑술
乙亥
을해
丙子
병자
丁丑
정축
戊寅
무인
己卯
기묘
庚辰
경진
辛巳
신사
壬午
임오
癸未
계미
甲申
갑신
乙酉
을유
丙戌
병술
丁亥
정해
戊子
무자
己丑
기축
庚寅
경인
辛卯
신묘
壬辰
임진
癸巳
계사
甲午
갑오
乙未
을미
丙申
병신
丁酉
정유
戊戌
무술
己亥
기해
庚子
경자
辛丑
신축
壬寅
임인
癸卯
계묘
甲辰
갑진
乙巳
을사
丙午
병오
丁未
정미
戊申
무신
己酉
기유
庚戌
경술
辛亥
신해
壬子
임자
癸丑
계축
甲寅
갑인
乙卯
을묘
丙辰
병진
丁巳
정사
戊午
무오
己未
기미
庚申
경신
辛酉
신유
壬戌
임술
癸亥
계해


60갑자의 순서를 표기할 때 54번째로 나타낸다. 한자표기는 丁巳.
'정' 은 빨간색을 상징하며, '사' 는 을 상징하므로 정사년은 "적사의 해" 가 된다.

4 情事

주의. 성(性)적 내용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성(性)적인 요소에 대해 직간접적인 언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읽는 이에 따라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시기 바라며 원치 않으시면 문서를 닫아주세요.
  1. 남녀 사이의 사랑에 관한 일.
2. 남녀 사이에 벌이는 육체적인 사랑의 행위.

5 情死

경고. 절대로 따라하지 마세요!

본 문서에는 본인과 타인에게 신체적·물질적인 피해를 입을 위험이 있는 행위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 행위를 모방할 시 부상을 당하거나, 물질적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절대로 따라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사랑하는 남녀가 사랑을 이루지 못한 것을 비관하여 동반 자살하는 것을 이르는 표현이다. 20세기 초까지 한국에서는 거의 일어나지도, 쓰이지도 않았다. 사실상 일본에서 수입된 것에 가깝다.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면, 에도시대에도 정사에 대한 기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주로 유곽의 기녀와 사랑 때문에 자살을 하다보니, 당시 '정사'는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 물론 소네자키 신주처럼 조루리가부키로 정사가 미화되어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끄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이후 메이지~다이쇼시기 일본에서 지식인들 사이에서 자살이 자주 벌어지게 되는데[6] 그 가운데 정사가 존재했으며 <정사론>도 쏟아져 나왔었다.
이에 대해서 당시 역사학자인 미우에 산지(三上参次)는 이 시기 빈번했던 정사의 원인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7]

  • 내세에서 함께 살 수있다는 불교적 세계관
  • 할복과 같이 죽음을 경시하고 아름답게 보는 풍조 [8]
  • 부인의 정조 문제
  • 사회적인 억압

어쨋든 당시 이러한 동반자살에 부정적인 의견도 있었지만, 동정적인 의견도 많았으며 낭만적으로 미화하기도 했었다.

5.1 관련항목

6 精舍

직역하면 '깨끗한 집'. 불교사찰 이름에 종종 쓰인다.
  1. 건륭제 시기에 공인된 정사 24권으로 청나라 이전 시기인 명나라를 다룬 명사까지만 포함되어 있다.
  2. 24사의 선정이 청나라 초기이기 때문에 청나라 멸망 이후에 중화민국 정부에서 청의 역사를 다룬 청사고, 중화민국 총통 쉬스창이 원사를 보충하게 공식적으로 언급하여 편찬된 신원사가 주로 정사로 언급되고 있으며, 여기에 24사 형성 이전 시기에는 정사에 포함되었다가 24사에서 제외된 동관한기나 청나라 멸망 이후를 다룬 중화민국사 정도가 억지로 꼽으면 정사에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4권.
  3. 그래서 정사의 비중은 극도로 좁다. 승정원일기는 국가에 공인된 자료이고 역사적 가치도 높지만 애초에 역사서로 서술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사는 물론이고 야사에도 포함되지 못하며, 순수하게 개인의 힘으로 편찬한 안정복의 동사강목 같은 책은 물론이고 국가의 지원을 받아서 편찬 되었고 이후 역사서들에도 엄청난 영향을 준 일연삼국유사사마광자치통감 등 마저도 관찬이 아닌 사찬 사서이므로 야사가 된다.
  4. 위와 같이 중국의 경우는 중화민국 시대에도 전통적 양식의 정사를 편찬했다.
  5. 영어로는 캐논(캐넌).
  6. 주로 전통적인 가치관과 새로운 가치관의 충돌로 인해 벌어지거나, 염세주의와 자살을 생의 일부로 긍정하는 등이 다양한 원인이 존재했다. 특히 이 시기 죽음을 찬미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7. <歴史上より見たる自殺、特に情死論>(1909)
  8. 원문에는 사무라이 기질이라고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