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동


세종특별자치시의 읍면동
읍 / 면조치원읍연기면연동면부강면금남면
장군면연서면전의면전동면소정면
법정동
한솔동한솔동다정동새롬동나성동가람동
도담동도담동어진동
아름동아름동
종촌동종촌동
고운동고운동
보람동보람동대평동소담동반곡동

아름洞[1] / Areum-dong

아름동
아름洞 / Areum-dong
광역자치단체세종특별자치시
기초자치단체없음
행정표준코드3611025000
인구50,380명
(2016년 9월말 주민등록인구)
면적8.69㎢
인구 밀도7.414.7명/㎢
하위 법정동2동
동사무소아름동
아름동 주민센터 홈페이지

1 개요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법정동이자 행정동. 면적은 8.69㎢이며 인구는 74,662명였으나, 2016년 4월 종촌동 주민센터가 개청함으로써 종촌동이 별도의 행정동으로 분리되었다. 분리 이후에도 50,380명[2]으로 세종시내에서 여전히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다. 2-4생활권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행정도시 내에서 나름대로 중심 상권 역할을 할 예정.

2 역사

  • 2005년 5월 24일 : 행정중심복합도시예정지역 편입
  • 2011년 12월 26일 : 남면 첫마을출장소 개소
  • 2012년 7월 1일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으로 법정동으로서 아름동 신설, 행정동으로는 한솔동에 속함.
  • 2014년 2월 10일 : 한솔동의 5개 동을 도담동으로 분동, 행정동으로서 도담동에 속함. [3]
  • 2015년 1월 26일 : 도담동의 3개 동을 아름동으로 분동. [4]
  • 2015년 12월 28일 : 책임동읍제 시행으로 행정동으로서 아름동, 도담동을 관할하는 1생활권 통합 행정복지센터가 개소.
  • 2016년 4월 18일: 아름동에서 행정동으로서 종촌동을 분동.[5]

3 설명

행정중심복합도시 1-2생활권. 세종국제고등학교,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가 있고, 사교육 시장이 발달되어 교육 접근성이 가장 뛰어나다. 아름동교차로 서측을 중심으로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공공 인프라가 아주 뛰어나다. 공설 수영장과 체육시설이 있는 아름스포츠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주민센터, 119안전센터, 파출소 역시 시내 최대 규모이다. 초등학교 2개, 중학교 1개, 고등학교 3개(일반고 1개, 특수목적고 2개)교가 있지만… 각급 학교 규모가 상당함에도 넘쳐나는 학생을 수용하지 못해 신음을 앓고 있다.

4 공동주택

공동주택/세종특별자치시 참조바람

지역 고유어 전래명칭 ‘범지기마을(천), 가운데말, 긴골, 늪말, 평들, 오가낭골, 통뫼, 해지개’ 중에서 조음의 효율성을 고려해 고정리에 위치한 마을이였던 ‘범지기마을’을 활용하여 명명하였다. 마을이 범이 누워있는 모습을 닮아 ‘범지기’라 불렀다는 데서 유래했다.[6]

  • 범지기마을 1단지 세종한양수자인에듀센텀아파트
  • 범지기마을 3단지 세종중흥S클래스에듀하이아파트
  • 범지기마을 4단지 세종한양수자인에듀시티아파트
  • 범지기마을 5~6단지 세종상록어울림아파트
  • 범지기마을 7단지 세종호반베르디움에코시티2차아파트
  • 범지기마을 8, 10단지 세종푸르지오아파트
  • 범지기마을 9단지 세종한신휴플러스엘리트파크아파트
  • 범지기마을 11단지 세종영무예다음아파트
  • 범지기마을 12단지 세종중흥S클래스에코타운아파트
  • 인덕건설 세종조이1, 2

5 기타

  1. 순우리말 지명. 중국어로는 阿凛洞으로 음차 표기한다.
  2. 2016년 9월말 기준 주민등록인구
  3. 세종특별자치시 조례 제436호 세종특별자치시 행정동·리의 명칭과 관할구역 등에 관한 조례, 2014년 1월 10일
  4. 세종특별자치시 조례 제547호 세종특별자치시 행정동·리의 명칭과 관할구역 등에 관한 조례, 2014년 12월 22일
  5. 세종특별자치시 조례 제815호 세종특별자치시 행정동·리의 명칭과 관할구역 등에 관한 조례, 2016년 3월 14일
  6. 「'우리말 천국' 세종시, 우리동네 이름은 무슨 뜻?」, 2015-06-04, 디트뉴스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