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833편 기체 파손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사고 요약도
발생일1992년 1월 16일
유형기체 결함, 조종사 과실
발생 위치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탑승인원승객 : 108명
승무원 : 11명
사망자-
생존자전원 생존
기종Boeing 767-38E
항공사아시아나항공
기체 등록번호HL7264
출발지대한민국 김포국제공항
도착지대한민국 제주국제공항

522px
사고 기체 사진. 언제 찍었는지는 불확실.

1 개요

1992년 1월 16일 일어난 아시아나항공 최초의 사고이다. 허나 인명피해는 없었고, 바로 다음 해에 일어난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로 묻혀 버렸다.[1]

2 사고기

아시아나항공의 두 번째 보잉 767기이며 1990년 10월 5일 인도되었다.

3 사고

3.1 발생

김포발 제주행 OZ833편이 제주국제공항에 착륙하던 도중 메인 기어가 활주로에 닿은 뒤 노즈 기어를 너무 세게 박아서[2] 동체가 찌그러졌다. 승객들의 증언으로, 착륙 도중 '쿵'하는 소리가 울리고 산소 마스크가 떨어졌다고 한다.[3]

이 사고의 충격으로 기체 앞문부터 좌익 상단까지 10미터 균열이 생겼고, 아시아나항공이 직접 돈 들여가며 수리했다.[4]

당시 사고는 아무래도 기장의 조작 실수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 보니 유야무야 넘어갔지만, 이후 아메리칸 항공LOT 폴란드 항공의 767기에서도 같은 사고가 일어나자 767의 내구성 문제가 대두되었다. 그래서 보잉사는 개발중인 767-400의 내구도를 크게 강화시켜, -400형 기체에서는 기체가 찌그러지는 일이 없었다.

3.2 이후

파일:Attachment/아시아나항공 833편 기체 파손 사고/OZ833.jpg
아시아나항공 측에서는 사고 직후 사고기에 급히 대한항공 도색을 씌워 버렸는데...[5] 묘하게 KLM 네덜란드 항공의 도색과 비슷하다.

아시아나항공은 자체 정비창이 없는 관계로, 엔진 중정비를 포함하여 항공기 수리는 보통 외주를 맡긴다.[6][7] 그렇다고 대한항공의 시설을 쓸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게다가 아시아나의 특성 중 하나가 기체 대부분이 리스기라는 건데, 이런 경우 리스업체 등 외부의 입김이 많이 작용한다.
현재 아시아나와 KLM의 관계는 그냥 그렇다지만, 당시 외부의 입김으로 인해 KLM 정비창에서 수리를 받으며 저 임시도색을 썼을 것이라 추측된다.

사고 직후 제주국제공항 관계자들 사이에서 '기장 이름[8] 때문에 착륙에 실패한 것 아닐까'라는 농담이 있었다. 아시아나는 미신이라며 발끈했다는 후문.

사고기는 수리 후 잘 날아다니다 2003년 매각되었다.
  1. OZ733편 추락 사고가 스케일이 꽤 컸다. 문학작품에서도 이 사고가 종종 다뤄지곤 했다.
  2. 쉽게 말해서 앞바퀴를 세게 박은 것.
  3. 이 때 떨어진 산소마스크의 개수는 6개였다.
  4. 물론 보험은 들었겠지만 완파되지도 않았고 경미하게 준사고로 끝났으니 보험금은 못 받았을 것이다.sd
  5. 이에 대해선 반론이 있다. 왜냐면 사고 당시엔 아시아나항공 자체의 도색시설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지금도 없지만 비행기는 자동차마냥 페인트 막 칠해서 재도색하는게 아니다. 대신 당시에 우리나라엔 대한항공의 김해 정비창이 유일한 재도색 가능한 장소였다(...). 하지만 김해 정비창은 대한항공 소속이기에 저런 도색은 할 수도 없고, 무엇보다 아시아나가 자칭 라이벌인 대한항공의 시설을 이용할 일은 없다. 이는 지금도 그렇다. 결국 그 때 왜 저런 색깔을 했는지, 어디서 했는지는 의문으로 남아있다.
  6. 아시아나항공보잉 747-400 화물기 개조형은 /BDSF형인데, 이건 이스라엘에 외주를 맡겨 개조한 것이다.
  7. 아시아나항공의 엔진 중정비는 전일본공수, RR, 루프트한자에서 한다. 그래서 트렌트 XWB 엔진만 달리는 A350의 도입도 별 지장 없이 결정된 것. 그러나 RR의 특성상 대한항공A350을 주문하지 않고 있다.
  8. 미국인 기장으로, 페일이라는 이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