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이 물질은 위험 물질입니다.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물질을 섭취 및 복용하거나 함부로 취급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물질을 섭취 및 복용하거나 함부로 취급할 경우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 |
한국어 | 액체 헬륨 |
한자 | 液體헬륨 |
영어 | liquid helium |
프랑스어 | Hélium liquide |
스페인어 | Helio líquido |
폴란드어 | Ciekły hel |
일본어 | 液体ヘリウム |
중국어 | 液氦 |
베트남어 | Heli lỏng |
아랍어 | هيليوم سائل |
1 개요
액체 상태의 헬륨이다. 보통 극저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데 그래서 1기압에서 끓는 점은 -268℃로 무지 낮다.[2] 그 이유는 헬륨은 원자들 사이에 인력이 약하기 때문이다. 액체 질소의 경우 질소는 구하기도 쉽고[3] 그래서 싼데 비해 액체 헬륨은 많이 비싸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액체질소의 약 20배 정도인데 액체 질소가 1L에 500원이라고 하면 액체 헬륨은 약 만원 사이이다.
액체 질소와 같이 이 물질도 농도가 높아지면 질식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질식은 구토감 등으로 알 수 있는데 질소나 헬륨가스 중독은 그런 전조증상 없이 그냥 픽 쓰러진다. 인체의 경고 시스템이 이산화탄소만 감지할 수 있게 진화했기 때문이다.[4] 다만 액체 질소와 달리 아직 질식으로 죽었다는 얘기는 없다. 그 전에 목소리가 변하는 이상증상을 먼저 경험하겠지 액체는 아니지만 헬륨을 마셔서 죽은 경우는 있다
2 초유동
액체 헬륨같이 매우 온도가 낮은 물질은 점성이 없어지는 현상이 있는데 이를 초유동(超流動, Superfluid)라고 한다.
자세한 것은 초유동체 항목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