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어

고등학교 교과과정으로서의 베트남어에 대해서는 베트남어(교과)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동남아시아의 여러 언어
중국티베트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타이카다이어족
버마어라후어베트남어크메르어태국어라오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인도네시아어자바어필리핀어테툼어찌아찌아어
관련 문자
라오 문자 · 라틴 문자 · 버마 문자 · 쯔꾸옥응으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자위 문자 · 쯔놈
Namuwiki, cây kiến thức mà bạn trồng.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Tiếng Việt
베트남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베트남
원어민약 9천 7백만 명
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파
비에트므엉어군
베트남어
문자로마자
언어 코드
ISO-639VI
주요 사용 지역

색칠된 지역 전부: 베트남어가 공용어
파란색: 베트남어가 주요 언어
하늘색: 베트남어가 제2언어
베트남어tiếng Việt / 㗂越
영어Vietnamese language
중국어越南语
태국어ภาษาเวียดนาม
마인어Bahasa Vietnam
일본어ベトナム語
라틴어Lingua Vietnamica
에스페란토Vjetnama lingvo

1 개요

오스트로아시아어족[1]에 속하는 언어. 베트남공용어이다. 사용자 수는 베트남내에서 8000만을 넘는 수준이고 해외의 베트남인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소수민족들까지 합하면 9000만을 넘는다.. 베트남어에는 성조가 6개 있다. 오스트로아시아어는 보통 성조가 없거나 부실한데 베트남어 혼자서 압도적인 성조를 자랑한다. 중국어와 같은 언어동조대에 놓인 탓이다. 같은 계열의 캄보디아어는 성조가 없다! 그리고 모음이 불과 30개, 자음이 21개밖에 없다. [2]

2 문자

한반도와 사정이 매우 비슷하다. 일찍이 중국 지배의 영향으로 한문과 한자가 유입되었고, 초기 베트남어 표기는 고유명사 표기의 필요성에서 나타났으며, 이두나 향찰 표기 비슷한 발상으로 나왔다. 공문서를 포함한 기록이 한문으로만 되었다는 것도 비슷하다.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는 한자를 바탕으로 한 '쯔놈(字喃/𡨸喃)'이라는 문자 체계를 사용하였는데, 사실 독립된 문자 체계라기보다는 기존 한자의 확장일 뿐이라 매우 어렵기는 매한가지여서 그것을 쓸 수 있는 사람들은 이미 한문지식이 풍부한 지식인계층 뿐이었을 뿐 민중의 문자와는 거리가 멀었다. 유럽인들의 도래로 로마자에 의한 베트남어 표기가 시도되었으며, 식민통치 시대에 꾸옥응으가 공식 표기로 지정된 이후, 오늘날에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 쯔꾸옥응으(Chữ Quốc Ngữ)가 베트남어의 정식 정서법이다. 쯔꾸옥응으에는 모음자 12개와 자음자 17개가 있다.

한자 이전에 베트남 고유의 문자가 있다는 주장과 그 증거#도 제기되었으나, 아직 정설로 확인되진 않고 있다.

베트남도 한자 문화권이라 한자어도 많고 이름도 한자로 짓는다. 현대 들어서는 그냥 순수 베트남어로 짓는 경우도 많이 보이기도 하지만 한국식 독음과 달라서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3] 한국어가 한자 어휘도 많지만 전부 한글로 쓰는 것과 같은 셈. 쯔꾸옥응으[4]를 쓰기 때문에 오늘날에 들여오는 외래어들은 중국어처럼 음차하지 않고 그대로 들여온다. 라틴 문자 중 베트남어에 쓰지 않는 글자가 네 개(F, J, W, Z) 있지만 외래어를 들여올 때는 그 네 개의 글자를 그대로 쓴다.

최근에 베트남 학계에서는 한자 단어가 60%에 이르고 중국과의 교류 증가로 베트남 내에서도 한자 교육을 부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3 자음

베트남어 자음은 북부 방언에는 21개가 있고, 남부 방언에는 22개가 있다. 양 지역의 발음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가령 'Việt'을 하노이에서는 '비엇'이라 발음하고 남부에서는 '이억'이라고 발음한다.

일단 북부의 하노이 기준으로 표기되는 자음은 다음과 같다.
g는 i, e 앞에선 /z/ 발음이 나므로 /γi/ 발음을 쓰기 위해선 ghi라고 해야 하며, ng도 마찬가지다. 다만 베트남어에 /nz/ 발음은 없으므로 ngi, nge 등의 표기는 없다.

양순음순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nhng
파열음pth(유기음) t(무기음)ch, trk
내파음bđ
마찰음phs, x(무성음) d,r(유성음)khh
접근음l[5]y, iu, o[6]

지역별 발음 차는 다음과 같다.

표기하노이호찌민표기하노이호찌민
vvj-t[7]-t-k
d, gizj-n[8]-n
rzɹ[9]-ch-k-t
trc[10]-nh-n
ssʂ[11]

참고로 하노이와 호찌민 이외 지역에서도 발음은 또 다르게 달라진다.

현재 베트남어의 표기법이 처음 등장한 것이 17세기인 연유로 로마자 표기가 발음에 비해 보수적인 편이다. 가령 현대 베트남어에서는 남북을 막론하고 'ph', 'kh' 철자가 모두 마찰음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행복(幸福)을 뜻하는 베트남어 단어의 표기는 hạnh phúc이나 읽기는 /hajŋ fuk/ 비슷하게 읽는다. 현재는 'th'철자만이 유일하게 유기파열음으로 남아있는 셈. 이 세 발음은 과거에는 다른 인도차이나 반도의 언어들처럼 셋 모두 유기음이었다고 한다.

옛 베트남어에는 권설음 s /ʂ/, r /ɹ/, tr /ʈ/이 있었으나 현재 북부 발음 기준으로는 모두 사라지고 /s/, /z/, /c/ 발음으로 변해 버렸다. 따라서 베트남인 성씨 'Trần(陳)', 'Triệu(趙)'는 '쩐(cən)', '찌에우(/ciəw/)'에 가까운 발음이 되었다. 또한 d의 경우 /d/가 아닌 /z/ 음가를 나타내고 실제 'ㄷ'에 가까운 /ɗ/는 đ라는 글자를 사용해 표기하는데, 이 역시 원래 d의 발음이 /ð/에서 /z/로 변하면서 이렇게 되었다.

4 모음

베트남어에는 모음 음소가 매우 많으며, 모음 종류가 지방마다 조금씩 다르다. 일단 하노이 지방의 모음은 기본적으로 9개이며, 이 중 ơ(ə)와 a(a)는 장단이 구별되어 â(ə̆)와 ă(ă)는 다른 모음보다 짧게 발음된다. 그러나 Kirby의 "Vietnamese(Hanoi Vietnamese)"라는 논문에 따르면, 중설 중모음 â(ə̆)와 ơ(ə)의 차이는 그렇게 두드러지지 않고 인지적으로 차이가 있는지도 불분명하다. 그리고 ư가 중설 고모음 /ɨ/보다는 한국어의 'ㅡ'와 같은 소리인 후설 고모음 [ɯ]에 더 가깝다는 주장도 있지만, 최근의 음향 음성학 연구에 따르면 중설 고모음 /ɨ/라는 것이 확정적이다. 모음 i, ư, u(i, ɨ, u)은 자음 /k/와 /ŋ/ 앞에서는 [ɪ, ɪ̈, ʊ]로 발음된다. 모음 표기가 일관적이었으면 좋으나 실제론 그렇지 않고 이중모음에서는 소리가 미묘하게 달라진다. 일단 하노이 지방 베트남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베트남어 알파벳 뒤 괄호 안에 IPA 음성기호를 표기하였다.[12]

전설모음중설모음후설모음비고
고모음i(i)ư(ɨ)u(u)
중고모음ê(e)ô(o)
중모음â(ə̆) ơ(ə)â(ə̆)는 짧게 발음한다.
중저모음e(ɛ)o(ɔ)
저모음ă(ă) a(a)ă는 짧게 발음한다.


이중모음일 때에는 발음이 또 달라진다.

-əɪ-əʊ
iiuia, iêiêu
êêu
eeo
ưưyưuưa, ươưoiưou
ââyâu
ơơi
ăayau
aaiao
uuyua, uôuôi
ôôi
ooi

5 성조

베트남어는 6개의 성조가 있다. 물론 지역마다 다 다르다(…). 베트남어 성조는 연음(ngang, huyền) - 굴절되는 경음(nga, hỏi)과 굴절되지 않는 경음(sắc, nặng)으로 나누기도 하며 높은 음역(ngang, ngã, sắc)과 낮은 음역(huyen, hỏi, nặng)으로 구변하기도 한다. 성조를 틀리면 현지인과 대화하기 곤란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13]

성조 이름하노이북중부[14]중부남부
ngang3335, 3533533
huyền21̤333321
sắc3513̰13̰35
hỏi31̰331̰ʔ312214
ngã3ʔ522̰312214
nặng21̰ʔ22̰22̰212

[15]

5성인 저우 응아가 처음 들어보는 사람에겐 상당히 충격적이다.
이는 성조언어로 유명한 중국어도 해당되는 것이지만 같은 계통의 언어인 캄보디아어처럼 베트남어 역시 고대에는 성조가 없었으나 어말의 마찰음이나 성문파열음이 사라지면서 성조가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6 한자어

한국어,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중국어에서 유래한 단어가 많다. 기본어순은 중국어, 태국어, 영어와 같은 주어+동사(서술어)+목적어 어순이다. 다만 프랑스어처럼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놓인다. 예를 들면 베트남어로는 이동전화는 전화이동(電話移動, Điện thoại di động; 뎬톼이 지동)이다. 다만 백마(白馬, Bạch mã; 바익마)처럼 예외도 있다.

여담으로 중국, 일본과 마찬가지로 한국(현재의 대한민국 자체를 가리키는 게 아니라, 한반도의 문화권 및 역사, 민족, 일련의 국가 체계를 가리키는 'Korea'로서의 한국)을 조선(베트남어로는 Triều Tiên, 찌에우띠엔)이라 부른다. 그래서 한반도를 '반도조선(Bán đảo Triều Tiên, 반다오 찌에우띠엔)', 한국 전쟁(6.25 전쟁)을 '전쟁조선(Chiến tranh Triều Tiên, 치엔짜잉 찌에우띠엔)'이라 부른다. 마찬가지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뒤에 놓이는 특성상 '조선반도', '조선전쟁'이 아닌 '반도조선', '전쟁조선' 식으로 쓰는 것.

과거 베트남에서도 한시를 많이 지었고 한시를 베트남식 한자 발음으로 읽는 것이 가능하다. 난후도곤산감작 항목 참조.

7 한글 표기

이웃나라 언어인 태국어, 말레이어와 함께 표기 세칙이 마련되어있다.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유기음/무기음 음소 구분이 있는 언어이기 때문에 다른 언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에는 잘 쓰이지 않는 쌍자음이 자주 쓰인다. 이는 태국어, 중국어도 마찬가지. 베트남어는 한글로 표기할 때 한글의 쌍자음 다섯 개(, , , )를 모두 쓰는 유일한 언어다. 태국어는 아쉽게도 은 쓰지 않는다.

8 들어보기

베트남 국가 Tiến Quân Ca - "진군가"

한류물을 좀 많이 먹은 요즘 베트남 노래 Sơn Tùng M-TP의 Em Cua Ngay Hom Qua GD?

그리고 이건 베트남 민요를 현대식으로 편곡한 노래 Bèo Dạt Mây Trôi. 감미롭다.

겨울왕국의 <Love is an Open Door> 베트남어 더빙판 - Hát cho tính yêu bừng sáng
  1. 오스트로시아어족(베트남어, 크메르어가 속한 어족)과 오스트로시아어족(말레이시아어, 인도네시아어, 타갈로그 등이 속한 어족)은 엄연히 다른 어족이다.
  2. 물론 한국인에게는 한자어가 많은 베트남어가 압도적으로 쉽다.
  3. 한 예로 호치민의 한문식 이름은 胡志明이다.
  4. 이 명칭이 잘 와닿지 않을 수 있는데, 한자로 쓰면 字國語,다시 어순을 뒤집으면 국어자가 된다. 참고로 위 한자를 그대로 읽으면 '자국어'지만, 이 때의 한자는 自國語이다.
  5. 설측접근음
  6. 양순접근음
  7. i, e, ê를 제외한 모음의 뒤
  8. i, e, ê를 제외한 모음의 뒤
  9. 영어의 r 발음이다.
  10. 중국어의 zh 발음이다.
  11. 중국어의 sh 발음이다.
  12. 단, 베트남어의 발음에 관해서는 자음도 그렇지만 연구자에 따라 이견이 갈리므로 다른 표도 있다.
  13. 베트남어 외에도 중국어, 태국어, 라오스어, 미얀마어, 기타 중국 남부 소수민족언어들, 라싸에서 사용되는 표준 티베트어 등이 성조를 갖고 있다.
  14. 하띤 기준.
  15. 1은 가장 낮은 소리, 5는 가장 높은 소리로 나타나며 중간에 ʔ 발음이 들어가거나 기성(氣聲, 밑의 점 2개), 성문음화(밑의 물결)도 표시했다.